[스크랩] 오래 살고 싶으면 우유 마시지 마라 오래 살고 싶으면 절대로 우유 마시지 말라 ! 우유는 동물성 지방과 동물성 단백질이 많이 포함된 산성 식품이기 때문에, 알칼리성인 뼈의 칼슘이 중화제 역할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실제로 미국보건국은 우유를 통해 섭취되는 칼슘의 양이 시금치 등 채소에서 섭취되는 칼슘의 양과 질량 대비로 환산.. 건식 2011.09.01
[스크랩] 현미에 대한 맹신은 금물이다. 현미가 가지고 있는 영양소의 양과 질은 실로 다른 어떤 식품도 그 비교를 불허할 정도라고 몇 차례 강조한 바 있다. 현미가 인체 생리학적으로나 영양학적으로 봤을 때 우수한 영양물질의 보고로 보기 때문일 것이다. 어느 영양학자는 “현미는 신이 인간에게 내려 준 지상 최고의 식품이다” 라고 .. 건식 2011.09.01
[스크랩] 기능성 농산물 광고규제 개혁하라 2008.5.13 문화일보 농산물의 기능성을 알리는데 규제가 너무 까다로워서 판매에 애로가 많다. 어떤 농산물이나 약재가 고혈압, 당뇨병, 위장병, 동맥경화 등에 효험이 있다고 하면 그런 질병 명칭을 구체적으로 표기해 주어야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쉬원데 그런 선전을 할 수가 없게되어 있다. 이러한 규제상황하에서 농.. 건식 2011.09.01
[스크랩] 금분이 포함된 금나노음료 개발-북한 김일성 대학 2008.4.20 신문에 소개된 것을 보면 북한에서 금나노음료를 개발했다는 짤막한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사람이 금을 먹는 것은 오래된 이야기이며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서 먹기도하지만 치아의 교정에도 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재료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금을 나노 사이즈로 분쇄하여 .. 건식 2011.09.01
[스크랩] 붕어즙의 건강효능 체험기-강성만 교장 2009. 6. 11 유천궁 심소동건강전문반 연구발표 붕어즙에 대해서 발표자 강 성 만 교장 붕어는 원래 잔가시가 많으며 푹 고아도 가시의 세기가 만만치 않다. (※ 따라서 즙을 내어 복용할 때에도 약한 불로 장시간 끓이지 않으면 즙으로서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붕어의 단백질.. 건식 2011.09.01
[스크랩] 야채발효--마리오농장, 경남 고성군 김성호씨 경남 고성의 명산 향로봉 깊은 골짜기에 성마리오 농장 산야초 3~5년 발효숙성시킨 야채발효액 40여종의 야채, 해조류 브로콜리, 여주, 신선초, 삼백초, 케일, 두릅순,쑥, 당귀, 토마토, 매실, 포도, 당근, 질경이, 죽순, 박하, 고들빼기, 씀바귀, 차조기, 칡순, 냉이, 도라지, 셀러리, 엉겅퀴, 민들레, 까마.. 건식 2011.09.01
[스크랩] 기능성김치의 개발시대로 스타터 첨가 없이 만든 전통김치 스타터 첨가하여 만든 기능성 요구르트 요구르트의 제조에 스타터를 사용한 것은 불과 50여년 전이다. 그 전까지는 우유, 말젖, 낙타유 등을 짜서 방안에 하루밤 두면 저절로 발효가 일어나서 우유가 순두부처럼 응긴다. 이것을 먹고 남은 것은 떡처럼 뭉쳐서 말려 놓.. 건식 2011.09.01
[스크랩] 항암식품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는 현미김치 --한라산 하르방의 건강이야기 홍암칼럼에서 퍼옴-- 암과 싸워서 이길 수 있는 새로운 항암병법(抗癌兵法) 2007년도 국민건강 보험공단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암 이병환자가 50만 명이고 갓 난 어린아이를 포함하여 우리나라 인구 100명 가운데 1명이 암이라고 한다. 사망원인별로 보면 암이 1위, 2.. 건식 2011.09.01
[스크랩] 유산균 균수의 논쟁 유산균 생균수 측정의 기술적 논쟁과 그 원인(2000년)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배형석 I. 과거 유산균 수 측정 문제점 평가 1. 문제점 II. 시료 희석 1. 유산균 함유 상품 2. 희석 액 제조 3. 희석 방법 Ⅲ. 배양 1. 통성 혐기성 유산균 2. 절대 혐기성 유산균 Ⅳ. 배지 1. 유산균 배지 2. 배지 성분 Ⅴ. 유산균 .. 건식 2011.09.01
[스크랩] 유산균의 독성문제-배형석 박사 강연에서 발췌 2000년 유산균워크샵 발효유 제품에 사용해온 유산균들은 수천 년 동안 음용 해왔기 때문에 인체에 독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미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유산균 주들은 표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급성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새로 개발될 유산균들은 안전성을 확인하지 않고 사용하.. 건식 2011.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