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세계 최고의 육종학자 우장춘박사의 슬픈 삶 <고달픈 삶을 살다 간 우장춘박사> 세계 최고의 육종학자 우장춘박사의 슬픈 삶 우장춘 박사하면 아직도 "씨없는 수박을 만든 사람"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과 다르다. 씨 없는 수박은 일본인 농학박사 '기하라 히토시'가 처음 만들었고 그것을 우장춘박사가 한국에 들고 온 것뿐이다. .. 농업 2017.02.21
[스크랩] 오리나무 Ⅰ. 오리나무의 종류 오리나무, 두메오리나무, 사방오리나무, 떡오리나무(잔털오리나무), 물오리나무(산오리나무), 좀사방오리나무, 물갬나무, 덤불오리나무(설령오 리나무) 등의 종이 우리 나라에 분포되어 있다. 이 중에서 우리 나라의 토종인 '두메오리나무'의 수액이 약효면에서 가장.. 수산 2017.02.19
[스크랩] “비타민 보충제, 값비싼 소변에 불과 … 필요없다” “비타민 보충제, 값비싼 소변에 불과…필요없다” 송혜민 기자 / 2017.02.15 18:19 기사 원문,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215601027&section=culture&type=&page= 호주 의사 협회(AMA)가, 멀티 비타민(종합 비타민) 보충제 섭취를 두고, “값비싼 소변을 만들어내는 일”이라고 주장.. 건식 2017.02.19
[스크랩] "피자 · 햄버거, 한 번만 먹어도 대사 기능 손상" 피자·햄버거, 한 번만 먹어도 대사 기능 손상 (연구) 윤태희 기자 / 2017.02.17 16:11 기사 원문,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217601017&section=culture&type=&page= 다량의 포화 지방산이, 간과 근육, 그리고 지방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 독일 당뇨병 센터 (DDZ) 과체중이나.. 건식 2017.02.19
[스크랩] 하나님과 인류의 감춰진 비밀 우리 인간이 생노병사를 겪으며 평생을 고통과 불행 속에서 발버둥치며 살아가야 하는 진짜 이유와 그 진실을 파헤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먹고 사는 일에 얽매여 살다 보면 먹고 사는 일이 삶의 전부가 되버리는 것이 현실이고 진실을 찿아 나선다 해도 그리 쉽게 진실을 발견 .. 생활 2017.02.19
[스크랩] 쓰레기시멘트 승리의 길을 열다 쓰레기시멘트 승리의 길을 열다 전 세계에서 발암 물질 제일 많은 대한민국 시멘트. 쓰레기시멘트와의 길고 긴 3년간의 싸움에서 드디어 승리의 길이 열렸습니다. 지난 주말 끝난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여야의 많은 국회의원들이 쓰레기시멘트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따졌고, 내년 환경부 .. 건강 2017.02.12
[스크랩] 미국.일본.중국.인도 시멘트와 비교해보니 미국.일본.중국.인도 시멘트와 비교해보니 국내 시멘트가 '세계 제일' 유해물질 많은 시멘트, '세계최고'이니 축하드려야하나요? 울어야 하나요? 세계 여러 나라의 시멘트와 국내 시멘트의 유해성을 조사해보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한마디로 국내 시멘트는 ‘세계에서 제일 유해 물질 .. 건강 2017.02.12
[스크랩] ▣ 보리밥속의 칼슘.( 이원섭할아버지 지식기부) 보리밥속의 칼슘의 기전 우리가 반만년 먹어오는 우리 토종 양분 ,,,,,,,,,보리 사실 쌀은 남방계 작물 입니다, 보리보다 훨씬뒤에 우리나라에 정착된것이 벼 농사 입니다.해서세계 벼종자 개량센터가남방 필리핀에 있읍니다. 수렵시대 훨씬 훗날에 야생콩을 훑어다 삶아 먹고,밤, 도토리, .. 건식 2017.02.11
[스크랩] 생태자급자족퀴즈 376번 퀴즈 정답 - 식물의 능력? 본 퀴즈 정답을 작성하면서 느낀 소감은 진정한 지구의 주인이자 지배자가 식물인 이유는 식물들의 탁월한 적응력 덕분인데 지구의 바이오매스중 99.7%가 식물이며 나머지 0.3%는 인간과 다른 동물들(미생물 포함)이 분할 점유중으로 지구촌 인류 65억명의 체중을 합한 무게가 지구상의 모.. 비료 2017.02.05
[스크랩] 겨울농사 작년에 깨 베고 비닐 걷지 않고 파종기로 보리를 비닐위에 넉줄씩 밀었더니 잘 크네요 고라니 때문에 망을 쳤더니 못들어옵니다 밭둑엔 유채를 뿌렸는데 안죽고 잘 큽니다 보리를 점파한것은 땅도 뚫고 밭도 좋아지기 때문이죠 내년의 농사는 겨울에 이미 결정됩니다 겨울에 밭을 놀리는.. 비료 2017.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