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토종벌과 설탕 실정법이나 Daum규정을 위반하거나 링크 및 스크렙글은 쓰는 건 금지되어 있습니다 규정을 위반한 글은 삭제 후 무통보강퇴 됩니다.귀농사모 cafe.daum.net/refarm 지금은 10월 언제 이곳은 서리가 내릴지도 모르는 강원도 이미 중순으로 날은 접어들어 늦가을의 기미가 완연해 몇일 내에 꿀 채취를 해야 할 .. 양봉 2011.10.09
[스크랩] 꿀벌 잇단 떼죽음 휴대전화 전파 탓” 스위스 생물학자 실험 “꿀벌 잇단 떼죽음 휴대전화 전파 탓” 스위스 생물학자 실험 ‘꿀벌의 잇따른 돌연사…범인은 휴대전화?’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된 의문의 꿀벌 떼죽음(군집 붕괴현상·CCD) 원인이 휴대전화와 관련이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동통신기기에서 나오는 전자기파가 꿀벌들의 행동 .. 양봉 2011.09.01
[스크랩] 꿀벌없는 세상, 과일없는 가을 최근에 미국책이 번역 출판되었는데 책명-Fruitless fall (꿀벌없는 세상, 결실없는 가을) 이 책의 제목을 보면 생태계의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직감할 수 있다. 책의 제목을 <꿀벌없는 세상, 결실없는 가을>보다는 좀 더 강한 직설적인 표현으로 <꿀벌없는 세상, 과일 없는 가을>로 했으면 더 .. 양봉 2011.09.01
[스크랩] "사라지는 꿀벌 살려 지구도 살리자" 도심 속 양봉 급증 미 뉴욕 맨해튼에 사는 변호사 비비안 왕(27)은 자신의 아파트 발코니에 두 개의 벌통을 들여놨다. 일요일 아침마다 벌통을 살피고 꿀벌을 돌보는 그는 도심 속 양봉(養蜂)을 "자연과 접속하는 특별한 방법"이라고 소개한다. 영국 런던의 카밀라 가다드(38)도 대학 캠퍼스와 화장품 회사 옥상에 있는 벌.. 양봉 2011.08.17
[스크랩] 목숨을 담보로 히말라야산에서 꿀따는 사람들 네팔의 히말라야 높은산 절벽에서 목숨을 꿀을 따는 사람들이 있다. 히말라야에 서식하는 꿀벌은 Apis dorsata laboriosa로 분류되는 체형이 큰 벌이다. 해발 2,500m에 있는 히말라야 속 작은 마을에 사는 사람들은 그들이 일상생활에 먹을 것과 생계수단으로 꿀을 채집한다. 벌꿀을 따는 시즌이 오면 이들은 .. 양봉 2011.04.28
[스크랩] 토종벌 설통 놓은 방법 <토종벌 설통 놓은 방법> 꽃이 만발하고 신록의 계절이 오면 토종벌이 산란을 많이 하게 되고 살림도 나게 됨니다. 분봉 열이 발생하고 왕대가 익어 가면 설 벌이 살림을 나기 위해 이사할 곳은 찾게 되지요 이 벌들은 가장 안전하면서도 아늑한 큰 바위틈이나 큰 고목 나무을 찾아다니게 되고 그런.. 양봉 2011.04.26
[스크랩] 토종꿀의 우수성 현재 토종꿀의 어원에 대한 정의는 없고, 식품 위생법 상에는 벌꿀이라 함은 "꿀벌등이 꽃꿀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 숙성한 것을 말한다"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채밀 기준은 "벌꿀은 충분히 숙성된 것을 채밀하여야 한다." "채밀 기구 및 용기는 위생적으로 처리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식품위생법.. 양봉 2011.04.26
[스크랩] 벌을 안나오게 해야 수명이 길어집니다 벌은 비상수명이란게 있읍니다. 태어나서 일정한 거리를 날면 죽는다는 말씀입니다. 겨울에 벌이 자꾸만 나오는 이유는 다들 잘 아시죠! 안나오게 하는 방법 1. 계상월동 2. 급수 : 농축된 양식을 녹여 먹기 위하여 물이 필요해서 자꾸 나온답니다. 소문 사양기는 추우면 소문까지 벌들이 물을 가지러 .. 양봉 2011.04.26
[스크랩] 벌꿀의 효과 벌꿀의 효과 1.꿀에는 각종비타민 및 다량의 효소가 있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끓여서는 안 된다. ⇒특히 임산부에게 호박과 함께 꿀을 넣고 달여 먹는 것은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는데 그건 옳지 않다. 호박은 득이 될지 모르나 벌 꿀은 마치 생수를 끓여 먹는 것과 같이 아무런 효과를 얻지 못한다. .. 양봉 2011.04.26
[스크랩] 혹여나 토종벌을 키우시는 분이 게시면 참고 하시면 어떨까요 저는 평창 방림면에 사는데요 작년과 제작년 그러니까 2009년과 2010년 2년에 걸처 토종벌 낭충봉아부패병에 실음을 알았습니다. 최초로 농진청에 최용수 박사님이 저의 봉장에 내려 오시여 낭충봉아부패병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였지요 이렇게 해서 2년동안의 괴질로 많은 고생과 연구 실험도 하게.. 양봉 2011.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