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참송이버섯` 대량 재배 성공한 전용구씨 아인농산 '참송이버섯' 대량 재배 성공한 전용구씨 2003 11/06ㅣ뉴스메이커 547호 자연산 송이버섯은 인공 재배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왔다. 우리나라에서는 태백-소백산맥을 중심으로 7부능선을 이룬 산 중에서도 30년 이상 된 살아 있는 소나무 아래서만 자라는 등 생육 조건이 특이하고 .. 작물 2012.02.03
[스크랩] 장현유 교수의 이색버섯 이야기 (44)천마 재배에 쓰이는 뽕나무버섯 장현유 교수의 이색버섯 이야기 (44)천마 재배에 쓰이는 뽕나무버섯 뽕나무버섯(Armillariella mellea)은 난과 식물인 천마재배에 종균으로 만들어 쓰이는 버섯균이다. 외국에서는 침엽수 등의 수목에 치명적인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잣나무 등에 피해를 주고 있.. 작물 2012.02.03
[스크랩] 장현유 교수의 이색버섯 (43)된장국과 튀김 맛이 일품인 ‘검은비늘버섯` 장현유 교수의 이색버섯 이야기 (43)된장국과 튀김 맛이 일품인 ‘검은비늘버섯’ ‘검은비늘버섯’(Pholiota adipose)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의 버섯으로 한국·중국·일본·유럽·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봄부터 가을에 걸쳐 참나무나 너도밤나무 등의 활엽수 그루터.. 작물 2012.02.03
[스크랩] 장현유 교수의 이색버섯 (41)과일 향기와 닭고기의 맛이 담긴 ‘싸리버섯` 장현유 교수의 이색버섯 이야기 (41)과일 향기와 닭고기의 맛이 담긴 ‘싸리버섯’ 싸리버섯은 갓 형태가 산호 모양 또는 싸리 빗자루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가지 끝이 쥐의 다리 끝과 흡사하여 쥐버섯, 쥐다리버섯이라고도 부른다. 가지의 끝부분에도 작은 가닥이 있고 여.. 작물 2012.02.03
[스크랩] 버섯에 미치기 까지 (최종수: 야생버섯 애호가, 미국) 버섯에 미치기 까지 (최종수: 야생버섯 애호가, 미국) 야생버섯의 신비(1) 영지버섯의 일종인 쓰가불로초 ⓒ www.naturei.net 2007-09-25 [ 최종수 ] (영지버섯의 일종인 쓰가 불로초[Ganoderma tsugae]가 많이 돋은 펜실바니아주의 주 나무 State Tree인 Eastern Hemlock이라고 하는 침엽수 옆에 서 있는.. 작물 2012.02.03
[스크랩] 특집 주목 받는 버섯, 베니쿠스 역풍 속에서 “차세대 버섯” 개척으로!-유전자핵산 건강산업신문 2007년 2월 21일 제 1187호 특집 주목 받는 버섯 소재 베니쿠스노키타케•잎새버섯•잿빛만가닥버섯•버들송이 ▶ 역풍 속에서 “차세대 버섯” 개척으로! 작년 2월의 아가리쿠스.b의 안전성 문제에서 비롯된 허위사실 피해로, 안전성 면에서 재점검.. 작물 2012.02.03
[스크랩] 송이산 가꾸기 일본에서 재선충이 창궐하여, 소나무 숲이 많이 없어진 이후에 송이생산량이 급감(1/12 수준)하였습니다. 또한 송이버섯 인공재배 기술이 축적되었으므로 조만간 송이버섯 인공재배는 실현될 것입니다. 송이버섯은 소나무의 실뿌리에 활물기생하므로 인공재배를 위해서는 적당한.. 작물 2012.02.03
[스크랩] 송이버섯 인공재배 성공 송이버섯의 인공증식에 나선 요네자와(米沢)시의 한 민간연구가의 삼림에서는 독자(獨自)의 종균으로 이식(移植)공법을 사용한 장소에 금년에도 송이버섯이 순조롭게 발생했다. 이번 시즌을 흉작이라고 하는 만큼 오랫동안 재배해 온 공법(工法)이 정착됐다며 자신감을 나.. 작물 2012.02.03
[스크랩] 송이버섯 발생림의 환경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S.ITO & IMAI) Singer]은 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 특유한 소나무림(Pinus densiflora)의 지상에 발생하나 때에 따라서는 해송, 가문비나무, 솔송나무, 눈잣나무, 섬잣나무 임내에서도 발생한다고 하며(1) 소나무와는 외생균근을 만든다(2). 송이버섯은 경제상 매우.. 작물 2012.02.03
[스크랩] 일본에서 발명된 송이버섯 원기의 인공재배법 일본에서 발명된 송이버섯 원기의 인공재배법 김영련/임업시험장 임산화학과 1. 머리말 지금까지 소나무재의 생산능력이 낮은 지방에서 송이버섯은 도리어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이와 같은 지방은 산촌지역이기 때문에 이러한 지방에서는 목재생산의 저능률을 .. 작물 2012.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