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상당산성에서 촬영
![]() | |||||||||||||||||||||||||
![]() | |||||||||||||||||||||||||
![]() |
| ||||||||||||||||||||||||
![]() |
| ||||||||||||||||||||||||
![]() | |||||||||||||||||||||||||
잎은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2개씩 나오고 길이 15-30cm, 폭 4-6cm로서 약간 두꺼우며 표면은 수채처럼 파지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여러 잎이 근생한다. | |||||||||||||||||||||||||
![]() | |||||||||||||||||||||||||
삭과는 길이 5mm로서 도란상 구형이고 종자는 넓은 피침형이다. | |||||||||||||||||||||||||
![]() | |||||||||||||||||||||||||
꽃은 7-9월에 피고 화경(花莖)은 높이 20-50cm로서 끝에 길이 4-7cm의 총상화서가 달리며 화서는 길이 12cm이다. 포는 길이 1-2mm로서 좁은 피침형이고 소화경은 길이 5-12mm이며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이고 도피침형으로 길이 약 3mm이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가늘지만 밑부분이 넓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타원형으로서 잔털이 3줄로 돋는다. | |||||||||||||||||||||||||
![]() | |||||||||||||||||||||||||
인경(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길이 2-3cm이고, 외피는 흑갈색이다. 수염뿌리가 내린다. | |||||||||||||||||||||||||
![]() | |||||||||||||||||||||||||
한국 | |||||||||||||||||||||||||
![]() | |||||||||||||||||||||||||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 |||||||||||||||||||||||||
![]() | |||||||||||||||||||||||||
다년초. | |||||||||||||||||||||||||
![]() | |||||||||||||||||||||||||
화경(花莖)은 높이 20-50cm이다. | |||||||||||||||||||||||||
![]() | |
![]() | |
▶들에서 자란다. ▶해가 잘 드는 곳에서도 재배할 수 있으나 반그늘진 곳이 좋다. 토질은 보수력이 있는 다소 습한 땅이 좋으며 토심이 깊고 유기질이 많은 비옥한 땅이 좋다. | |
![]() | |
양생,중생 | |
![]() | |
비옥 | |
![]() | |
습윤 | |
![]() | |
▶씨와 뿌리로서 번식시킨다. 1.씨: 익으면 채종하여 땅에 가매장했다가 다음해 봄 4월에 파종한다. 2.뿌리: 자연분구가 되는 만큼 늦가을이나 이른 봄 싹트기 전에 깊이 파서 뿌리를 상하지 않게 하여 자연분구된 것을 어미뿌리와 따로 크기대로 분류해서 10cm간격으로 심는다. | |
![]() | |
다비성이므로 밑거름을 충분히 넣고 깊이 갈아엎은 뒤에 심는다. 무릇은 인경이 깊이 들어가는 성질이 있다. 다른 식물처럼 잎을 베고 나면 봄에는 다시 잎이 돋아나지 않으므로 동화작용을 할 수 없어 인경이 사그라지는 경우가 있다. | |
![]() | |
▶어린 잎은 끓는 물에 데쳐서 아린 맛을 우려낸 뒤 나물로 이용한다. ▶鱗莖(인경) 또는 全草(전초)를 綿棗兒(면조아)라 하며 약용한다. ①개화기에 채취하여 生用(생용)하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인경에는 과당, 蔗糖(자당), 전분 amylopectin과 같은 다당류 및 inulin과 같은 다당이 함유되었고 또 proscillaridin A 및 유독 glucoside가 들어 있다. ③약효 : 活血(활혈), 해독,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乳癰(유옹), 腸癰(장옹), 타박상, 腰腿痛(요퇴통), 筋骨痛(근골통), 癰疽(옹저)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 |
![]() | |
▶흰무릇 (for.alba T.LEE) : 백색꽃이 피며 수원 근처에서 자란다. |
출처 : 우암산
글쓴이 : 해오라기 원글보기
메모 :
'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솔우님, 아피오스 비교합니다. (0) | 2011.09.09 |
---|---|
[스크랩] ♣. 금은화(金銀花) 사용에 정통한 명의?. (0) | 2011.09.05 |
[스크랩] 인삼 잎 저년근일 수록 사포닌 함량이 높다. (0) | 2011.08.29 |
[스크랩] 아이엠에스영농조합 기술고문 유진바이오팜 `싸리버섯`도 인공재배 시대 (0) | 2011.08.27 |
[스크랩] 오미자, 제대로 즐기는 법! (0) | 201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