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의 일반상식
● 모든 식물은 광합성작용을 위해 적당한 빛이 필요하다.(식물마다 필요한 빛의 세기가 다릅니다.)
① 식물이 가장 왕성하게 성장하는 빛의 양을 '광 포화치' 라한다
② 또 하나, 식물이 살아가기 위한 최저한의 광량이 있다는데, 이것을 '보상점'이라고 합니다.
● 빛의 세기를 표현하는 단위는 klux(킬로룩스)라고 한다
● 태양 광은 어느 정도 밝기일까?
① 한여름의 맑은 날의 옥외는 90 klux 전후
② 한여름의 흐린 날의 옥외는 45 klux 전후
③ 한겨울의 맑은 날의 옥외는 30 klux 전후
④ 한겨울의 흐린 날의 옥외는 15 klux 전후
● 그렇담 자연광이 유리를 통과했을 때는....
① 실외의 75~80 %수준
② 유리가 더러워졌을 경우는 다시 10 % 더 감소.
● 또 인공조명은...
※독서를 하는데 필요한 광량은 0.3 klux 전후
● 보상점 ; 낮은 식물 0.15 ~ 0.2 klux
높은 식물 0.2 ~ 0.3 klux
● 여름의 옥외는 우리가 기르고자 하는 식물에 있어서 대부분 과잉, 겨울실내는 부족
● 보상점이 0.2 klux인 식물이 0.1klux 의 환경에서 살아간다면 좀더 오랫동안 햇볕을 비추는 시간을 연장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광도가 부족한 상태에서 생활하는 식물들은 좀더 많은 햇볕을 쪼이기 위해서 잎이 넓어지거나 줄기가 길어진다. |
● 분 돌리기 - 특히 겨울철 실내에서 어쩔 수 없이 가꾸다 보면, 햇볕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식물의 줄기가 기울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굴광성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끔 화분을 돌려주면 됩니다.
● 한자리에서 길들인다. - 식물은 환경의 변화를 싫어한다.
● 식물별로 본 광량의 차이
선인장 > 분화류 > 얼룩무늬 관엽 > 일반관엽
양지 |
하루중 직사광선이 적어도 5시간 이상 쪼이는 장소를 일컫는다. |
반양지 |
직사광선이 겨울철에 2시간 정도밖에 쪼이지 않는곳을 말하며, 하루중 대부분 밝은 반사광 또는 밝은 간접광이 닿는 곳이다. |
반음지 |
직사광선이 전혀 닿지 않지만 밝은 간접광이 충분히 쪼이는 장소를 말한다. |
음지 |
직사광선이 전혀 닿지 않으며 한낮에도 어느정도 어두운 장소를 뜻하지만 그림자를 만드는 정도의 간접광은 필요하다. |
■ 광의 종류
자연광 |
중요한 것은 식물생육에 있어서 자연광이 가장 적합한가 아닌가의 문제가 아니라, 식물에 닿는 광의 강도와 시간이다. 실내공간에 들어오는 광의 양은 공간의 일부만 보더라도 일일중 시간변화에따라 점점 변하는 것을 알수 있다. 보통 하루종일 직사광선을 받더라도 건강하게 생육하는 것은 선인장이나 다육식물 등의 건조지방 원산의 식물들 뿐이다. |
백열등 |
백열등은 적외선이 점하는 비율이 높으며, 꽃을 피우는 식물에는 유효한 광이다. 그러나 파란색과 보라색 파장의 광선이 전체적으로 부족하다. |
형광둥 |
형광등이 백열등과 다른점은 잎을 무성하게 하는 파란색 파장의 광선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잎을 무성하게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면 형광등 만으로 식물을 재배해도 좋을 것이다.최근에는 파란색,보라색 적색 파장의 광도 얻을수 있도록 개량된 형광등도 판매되고 있다. |
할로겐 |
할로겐 금속램프는 백열등보다 몇배나 강한 광을 발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 램프는 광 스펙트럼을 완전한 형태로 갖추고 있는 램프이다. |
■ 식물별 광선호도
양지식물 |
반양지식물 |
반음지식물 |
음지식물 |
알로에베라 |
알로에 베라 |
싱고니움 |
싱고니움 |
'화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발아가 안되는 씨앗이 우주를 다녀온 후 발아가 되고 급속 생장을 해 주목을 끌고 있다. (0) | 2011.02.25 |
---|---|
[스크랩] 식물과 조명(인공광원) (0) | 2011.01.23 |
[스크랩] 인공광원을 이용한 광합성 (0) | 2011.01.23 |
[스크랩] [코리아 히든카드] 화훼 강국 네덜란드도 "한국産이 최고" (0) | 2011.01.01 |
[스크랩] 초코렛해바라기~ (0) | 2010.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