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아파트, 사무실의 실내 벽면, 천장 녹화용 식물들의 제반 정보입니다.
필요하신분들은 비금에게 연락(010-7568-8967 ), kahnchoi@hanmail.net으로 주시면 원하시는 가격과 식재 식물로 주문제작해 드리겠읍니다.
등반기능에 의한 넝쿨식물의 분류
형태 |
특성 |
대표적인 종류 |
부착반형 |
넝쿨손의 선단세포에 의한 부착, 부착력이 강함, 유리나 표면이 미끄러운 금속에는 부착하지 않음 |
담쟁이덩쿨 등 |
부착근형 |
종에 따라 부착력 차이가 큼, 하수지(아래로 늘어지는 가지)는 부착력이 거의 없음 |
헤데라류, 마삭줄, 능소화, 모람 등 |
넝쿨손형 |
형태는 천차만별, 접촉자극에 의해 휘감김, 굵은 가지에는 감기지 않음 |
포도, 시계초, 수세미, 쥐참외, 비그노니아 등 |
권엽병형 |
길게 자란 줄기 잎이 접촉작용에 의해 감김 |
위령선, 클레마티스류 등 |
넝쿨형 |
넝쿨이 가지나 줄기에 나선상으로 감김 |
다래, 등나무, 으름, 멀꿀, 남오미자, 칡, 나팔꽃, 키위 등 |
가시형 |
가시 등으로 다른 물체에 걸쳐 등반 |
넝쿨장미, 나무딸기류 등 |
지엽형 |
잎이나 가지를 다른 물체에 걸쳐 등반 |
목향차(상록넝쿨장미) |
벽면& 파티션 녹화시 유의사항
1. 주변조건 조사에 이은 식물의 종류와 보조재등을 결정한다.
2. 결정된 식물의 생산유무와 구입가능 유무를 확인한다. 최근에는포트재배형으로 재배되고 있다.
3. 식물의 조건
ㄱ. 목본 또는 다년생초본으로 가능한 한 영구적인 녹화가 가능한 것
ㄴ. 생육이 왕성, 빨리 피복시킬수 있는 것
ㄷ. 식물의 형태와 모습, 녹화상태가 아름다운 것
ㄹ. 병충해가 적고 튼튼하며 유지관리가 쉬운 것
ㅁ. 증식이 쉽고 시장성이 있는 것
ㅂ. 건조, 내한, 내음, 내조풍,내건등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
ㅅ. 식재자의 개인적 취향을 만족시키는 것. 예)과일(예: 다래), 꽃, 향기 등등
4. 덩굴식물은 새롭게 뻗어난 덩굴에 등반기관이 생기므로 묘목으로 식재하거나 인위적으로 유인할 필요가 있다.
5. 단일 식물을 식재할 경우 병충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여러 종류를 심어서 자연에 가까운 식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부착뿌리형 식물(모람, 송악, 마삭줄, 미국능소화 등)은 벽면에 습기가 없으면 붙기 어려우므로 부착판형 식물을 먼저 벽면에 부착시켜 습기를 확보한 후에 부착하는 방법도 있으나 아이비같은 부착근 식물도 그물망을 사용하여 키울수 있다.
덩굴식물의 벽면 & 파티션에 의한 영향
갈라진 벽면 틈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는 것은 만성부착형 덩굴식물뿐이다. 이런 흡착근이 틈새 깊은 곳까지 들어가 자라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1. 적당한 크기의 틈새가 존재할것
2. 그 틈새가 매우 습한 상태일것
3. 뿌리 본래의 흡수능력이 약해진 경우 벽면틈새로 들어가 자랄 확률이 매우 낮지만 벽면 시공전에 벽면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덩굴식물과 보조재
휘감고 올라가는데 필요한 보조재가 도움이 되는 식물들.
부착형 식물은 보조재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이 경우에도 표면에 요철이나 줄눈과 같은 틈새가 있으면 더욱 효과적이다.
덩굴식물에 알맞는 그물망의 크기
그물눈의 크기(Cm) |
넝쿨식물 |
그물눈의 크기(가로 5-10, 세로 5-10) |
캐롤라이나 자스민, 마삭줄, 사네가즈라, 헤데라류(넝쿨감기로 사용할 경우), 담쟁이넝쿨(넝쿨감기로 사용할 경우), 멀꿀, 으름 등 |
그물눈의 크기(가로 20, 세로 20 이상) |
능소화, 포도, 등나무(가로 100 세로 100 정도로도 가능), 키위(가로 100 세로 100 정도로도 가능), 산포도 등 |
그물눈의 크기와 상관없음 |
인동덩쿨, 노박덩쿨, 비그노니아 등 |
덩굴식물의 종류와 보조재 종류의 관계
강(충분히 올라감), 중(올라감), 약중(어느정도 올라감), 불(올라가지 못함)
올라가는 형식 |
덩굴식물 |
보조재 없음 |
헤고등의 부착표면 처리 |
네트 |
조직이 촘촘한 철선등의 격자 |
조직이 성긴 철선등의 격자 |
울타리형 기둥 |
부착형 |
왕모람 |
강 |
강 |
중강 |
약중 |
불 |
불 |
줄사철나무 |
중 |
강 |
중 |
중 |
불 |
불 |
마삭줄 |
중 |
강 |
중강 |
약중 |
불 |
불 |
담쟁이덩굴 |
강 |
강 |
중 |
중 |
불 |
불 |
미국능소화 |
약중 |
약중 |
중 |
중 |
중 |
약중 |
알제리아 아이비 |
약중 |
중 |
중 |
중 |
불 |
불 |
아이비 |
중 |
강 |
중 |
중 |
불 |
불 |
휘감는 형 |
으름덩굴 |
불 |
불 |
중 |
중 |
중 |
중 |
미국담쟁이 덩굴 |
불 |
약중 |
강 |
강 |
중 |
약중 |
캐롤라이나 자스민 |
불 |
불 |
강 |
강 |
중 |
중 |
남오미자 |
불 |
불 |
중 |
중 |
약중 |
약중 |
인동덩굴 |
불 |
불 |
강 |
강 |
강 |
강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불 |
약중 |
강 |
강 |
강 |
강 |
노박덩굴 |
불 |
불 |
중 |
중 |
중 |
약중 |
등나무 |
불 |
불 |
강 |
강 |
강 |
강 |
멀꿀 |
불 |
불 |
중 |
중 |
중 |
중 |
늘어지는 형 |
빈카 |
불 |
불 |
불 |
불 |
불 |
불 |
주요 덩굴식물의 년간 생장도
년간 성장도 |
종류와 생장률(Cm) |
극대 |
담쟁이 덩굴(150-550), 인동(동일), 등나무류(동일) |
대 |
노박덩굴(100-400), 키위(150-550), 비그노니아, 카르레올라타(100-350),
미국담쟁이덩굴(100-350), 능소화(100-200) |
중 |
알제리아 아이비(70-250), 멀꿀(50-200), 으름(50-200) |
소 |
모람(10-150), 남오미자(50-200), 마삭줄(50-150), 줄사철나무(50-200)
헤데라 소형종(30-100) |
덩굴식물의 식재적기
상록성 덩굴식물(왕모람, 캐롤라이나 자스민, 남오미자, 인동, 베고니아, 줄사철나무, 빈카, 마삭줄, 아이비류, 멀꿀 등)은 4-6월과 9월
낙엽성 덩굴식물(으름, 담쟁이덩굴, 노박덩굴, 미국능소화, 등나무 등)은 3-4월초
비교적 관리하기 쉬운 식물
왕모람, 캐롤라이나 자스민, 남오미자, 빈카, 아이비류, 섬향나무 등
벽면, 천장 & 파티션 녹화에 사용하는 식물
1. 타고 올라가는 식물
특징 |
식물명 |
상록 |
왕모람, 송악, 아이비류 등 |
상록이며 꽃이 아름다운 식물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리타, 만데빌라, 마삭줄, 붉은꽃인동 등등 |
상록이며 열매가 아름다운 식물 |
멀꿀 등 |
낙엽 |
담쟁이덩굴 등 |
낙엽이며 꽃이 아름다운 식물 |
바위수국, 클레마티스류, 등수국, 덩굴장미, 돌가시나무, 시계초, 폴리고눔, 아우제트티, 능소화, 등나무류 등 |
낙엽이며 열매가 아름다운 식물 |
으름, 키위, 노박덩굴 등 |
2. 아래로 늘어지는 식물
특징 |
식물명 |
상록 |
섬향나무, 아이비류 등 |
상록이며 꽃이 아름다운 식물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만데빌라, 마삭줄 등 |
상록이며 열매가 아름다운 식물 |
홍자단류, 남오미자, 멀꿀 |
낙엽이며 꽃이 아름다운 식물 |
클레마티스류, 능소화, 덩굴장미류, 시계초 |
낙엽이며 열매가 아름다운 식물 |
키위, 포도나무 등 |
3. 에스팔리에형에 이용되는 식물
특징 |
식물명 |
상록 |
꽝꽝나무 등 |
상록이며 꽃이 아름다운 식물 |
동백 등 |
상록이며 열매가 아름다운 식물 |
주목, 애기주목, 홍자단류, 피라칸사 등 |
낙엽 |
화살나무 등 |
낙엽이며 꽃이 아름다운 식물 |
박태기나무, 명자꽃, 개나리, 산딸나무 등 |
상록 덩굴식물
식물명 |
부착형 |
피복속도 |
내음성 |
내건성 |
내한성 |
내조풍 |
식재지역 |
특기사항 |
모람 |
부착근 |
보통 |
강 |
중 |
중 |
강 |
중남부 |
부착력 강함, |
왕모람 |
부착근 |
느림 |
중 |
강 |
약 |
강 |
중남부 |
담쟁이덩굴보다 부착력 강함 |
캐롤라이나자스민 |
넝쿨감기 |
빠름 |
중 |
강 |
중 |
약 |
중남부 |
꽃에 옅은 향이 있음, 따뜻한 곳을 좋아함 |
송악 |
부착근 |
보통 |
강 |
강 |
강 |
강 |
중남부 |
얼룩종 있음 |
홍자단 |
기는성질 |
느림 |
중 |
강 |
강 |
중 |
북중부 |
새들을 모이게 함 |
남오미자 |
넝쿨감기 |
빠름 |
강 |
강 |
중 |
중 |
중남부 |
붉은 열매(10-12월),
자웅이주 |
인동 |
넝쿨감기 |
빠름 |
중 |
강 |
강 |
강 |
북중남부 |
꽃에 향기가 있음 |
붉은인동 |
넝쿨감기 |
빠름 |
중 |
강 |
강 |
중 |
북중남부 |
따뜻한 곳에서 붉은 열매 결실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리타 |
넝쿨손 |
빠름 |
중 |
중 |
중 |
약 |
중남부 |
꽃이 아름다움 |
보리장나무 |
기는성질 |
느림 |
중 |
중 |
강 |
강 |
중남부 |
과일 식용(4-5월) |
빈카 |
기며 감김 |
빠름 |
중 |
강 |
강 |
강 |
북중남부 |
|
줄사철나무 |
부착근 |
느림 |
강 |
중 |
강 |
강 |
북중남부 |
대기오염에 강함, 열매 |
마삭줄 |
부착근 |
빠름 |
강 |
강 |
강 |
강 |
북중남부 |
늘어짐 가능, 꽃에 향기 |
니시키테이카 |
기는 성질 |
빠름 |
중 |
강 |
강 |
강 |
중남부 |
홍엽, 적설에 강함 |
섬향나무 |
기는 성질 |
느림 |
약 |
강 |
강 |
강 |
북중부 |
|
팻츠헤데라 |
기는
성질 |
느림 |
강 |
강 |
중 |
중 |
중남부 |
얼룩종 있음 |
좁은잎빈카 |
기는 성질 |
빠름 |
강 |
중 |
강 |
|
북중남부 |
|
부겐빌레아 |
기는 성질 |
빠름 |
약 |
강 |
약 |
중 |
남부 |
양지를 좋아함 |
알제리아 아이비 |
부착근 |
빠름 |
강 |
강 |
중 |
강 |
중남부 |
부착력이 거의 없음, 늘어지는 형 |
헤데라 콜치카 |
부착근 |
보통 |
중 |
강 |
중 |
강 |
중남부 |
|
아이비 |
부착근 |
보통 |
중 |
강 |
강 |
강 |
북중남부 |
|
멀꿀 |
넝쿨감기 |
빠름 |
강 |
강 |
중 |
강 |
중남부 |
열매(8-11월), 자웅이주 |
로사 방크시아에 |
기는 성질 |
빠름 |
약 |
강 |
중 |
강 |
중부 |
가시 없음, 춥고 건조한 바람을 싫어함 |
낙엽 덩굴식물
식물명 |
부착형 |
피복속도 |
내음성 |
내건성 |
내한성 |
내조풍 |
식재지역 |
특기사항 |
으름 |
넝쿨감기 |
빠름 |
중 |
강 |
강 |
중 |
북중부 |
과실, 자웅이주 |
나팔꽃 |
넝쿨감기 |
빠름 |
약 |
강 |
약 |
중 |
|
1,2년생 |
바위수국 |
부착근 |
보통 |
강 |
중 |
강 |
중 |
북중부 |
|
큰꽃으아리 |
권엽병 |
빠름 |
중 |
중 |
강 |
중 |
중부 |
|
키위 |
넝쿨감기 |
빠름 |
중 |
중 |
중 |
약 |
중부 |
자웅이주 |
칡 |
넝쿨감기 |
빠름 |
약 |
강 |
강 |
강 |
북중부 |
꽃부착이 나쁨 |
클레마리스류 |
넝쿨감기 |
빠름 |
중 |
중 |
중 |
중 |
중남부 |
꽃이 아름다움 |
다래 |
넝쿨감기 |
빠름 |
중 |
중 |
강 |
약 |
북중부 |
식용과실(새콤달콤) |
줄수국 |
부착근 |
빠름 |
강 |
중 |
강 |
중 |
북중부 |
높은 공중습도 선호 |
노박덩굴 |
넝쿨감기 |
빠름 |
중 |
중 |
강 |
중 |
북중남부 |
과실, 자웅이주 |
덩굴장미류 |
기는 성질 |
빠름 |
약 |
강 |
강 |
중 |
북중부 |
늘어짐 가능, 품종다양 |
클라메티스 |
권엽병 |
빠름 |
중 |
강 |
강 |
중 |
중부 |
꽃이 아름다움, 원산지 중국 |
돌가시나무 |
기는 성질 |
빠름 |
중 |
강 |
중 |
강 |
중남부 |
가시없는 품종 있음 |
시계꽃 |
넝쿨손 |
빠름 |
중 |
강 |
중 |
중 |
중남부 |
꽃이 아름다움 |
담쟁이덩굴 |
부착반 |
빠름 |
중 |
강 |
강 |
강 |
북중남부 |
저절로 증가, 홍엽 |
미국
능소화 |
부착근 |
빠름 |
약 |
중 |
중 |
강 |
중남부 |
꽃이 아름다움 |
표주박 |
넝쿨감기 |
빠름 |
약 |
강 |
약 |
중 |
|
과실, 1년초 |
등나무류 |
넝쿨감기 |
빠름 |
약 |
약 |
강 |
강 |
북중남부 |
방향성 |
포도류 |
넝쿨손 |
빠름 |
약 |
강 |
강 |
중 |
북중부 |
식용과실 |
수세미오이 |
넝쿨손 |
빠름 |
약 |
중 |
강 |
중 |
중남부 |
과실,1년초 |
포도나무 |
넝쿨손 |
빠름 |
중 |
중 |
강 |
중 |
북중남부 |
홍엽, 과실 |
벽면, 천장 & 파티션 녹화식재 관리법
1. 전정
녹화공간외에 자란 덩굴은 미관상 문제가 되며 부속설비나 옆건축물에 뒤엉겨 고장및 사고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튀어나온 부분은 가지치기를 한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시간이 경과되면서 벽면에서의 두께가 커지므로 면 전체를 1-3년에 한 번 정도 깍아 손질할 필요가 있다.
2. 솎아내기
너무 무성해지면 잎과 가지의 내부가 공기유통이 안되어 부패되거나 생리적 장애 및 병충해의 원인이 되므로 덩굴을 솎아내준다.
최적의 덩굴을 남겨둔다.
3. 시비
거대한 벽면을 녹화하는 경우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야 한다.
특히 잎이 적어지고 잎의 색이 엷어지면서 자라나는 양이 눈에 띄게 감소하는 경우에는 비료가 다 떨어진 상태라고 할수 있으므로 비료를 주어야 한다.
정기적인 시비는 몇 년에 한번씩 완효성 비료를 주며 필요시 빨리 흡수되는 액체비료나 엽면시비를 한다.
4. 병충해 방제
피해가 커지기 전에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살균제나 살충제를 사용시 주변상황을 고려하여 약재의 선택과 살포방법을 결정한다.
5. 제초
김매기나 멀칭등을 하여 장기적인 대책을 세운다.
6. 말라죽거나 상한 줄기에 대한 대책
죽은 덩굴등이 떨어지거나 해서 기기나 교통의 장애를 초래할 위험이 있으므로 신속히 제거한다.
제거된 부분의 줄기가 있던 맨땅을 다른 줄기나 포기로 식재할수 없는 경우에는 보식한다.
7. 갱신
식재후 몇 년이 지나 생육이 왕성하던 식물의 잎이 다 떨어지고 밑의 가지가 올라오는 경우(녹화식재의 효과가 저하된 예)가 있는데 뿌리쪽 덩굴을 잘라버리고 새로운 가지들을 정리하여 갱신한다.
또는 미리 전체녹화를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로테이션하거나 일제히 갱신하는등의 계획도 고려할수 있다.
8.관수
식재용기등 식재기반의 규모가 한정된 경우에는 토양의 건조에 유의하여 적당히 관수를 할 필요가 있다.
자동관수시설을 할 경우에는 낡은 호스나, 노즐 구명의 주기적인 점검과 정비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드레인같은 배수구가 막혀 생기는 뿌리썪음을 예방하고 정기적인 청소를 해 준다.
9. 통기
토양은 관리를 안하면 굳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연 1회정도의 토양검사를 할 필요가 있다.
토양이 단단하게 굳어버린 경우에는 토양에 구멍을 뚫어 통기를 한다. 상황에 따라서는 토양을 교환해 주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자료 출처: 에코랜드 http://cafe.daum.net/bgs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