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이 활동을 시작하는 3월부터 월동준비에 들어가는 9월까지 개화하는 밀원식물이 그 치지 않도록 조합을 짜는 표
<표1>
주년 벌꿀 생산을 위한 밀원식물의 조합표(2002년 류장발)
밀원 식물명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
초 |
중 |
말 |
초 |
중 |
말 |
초 |
중 |
말 |
초 |
중 |
말 |
초 |
중 |
말 |
초 |
중 |
말 |
초 |
중 |
말 | |
오리나무 |
0 |
|
|
|
|
|
|
|
|
|
|
|
|
|
|
|
|
|
|
|
|
생강나무 |
|
0 |
|
|
|
|
|
|
|
|
|
|
|
|
|
|
|
|
|
|
|
산수유 |
|
|
0 |
|
|
|
|
|
|
|
|
|
|
|
|
|
|
|
|
|
|
회양목 |
|
|
|
0 |
|
|
|
|
|
|
|
|
|
|
|
|
|
|
|
|
|
매실 |
|
|
|
|
0 |
|
|
|
|
|
|
|
|
|
|
|
|
|
|
|
|
아카시아 |
|
|
|
|
|
|
0 |
|
|
|
|
|
|
|
|
|
|
|
|
|
|
쪽제비싸리 |
|
|
|
|
|
|
|
|
0 |
0 |
|
|
|
|
|
|
|
|
|
|
|
찔레 |
|
|
|
|
|
|
|
|
|
|
0 |
|
|
|
|
|
|
|
|
|
|
클로버 |
|
|
|
|
|
|
|
|
|
|
|
0 |
0 |
0 |
0 |
0 |
0 |
|
|
|
|
모감주 |
|
|
|
|
|
|
|
|
|
|
|
|
0 |
0 |
|
|
|
|
|
|
|
좀목형 |
|
|
|
|
|
|
|
|
|
|
|
|
|
0 |
0 |
0 |
0 |
0 |
0 |
|
|
쉬나무 |
|
|
|
|
|
|
|
|
|
|
|
|
|
0 |
0 |
|
|
|
|
|
|
산초나무 |
|
|
|
|
|
|
|
|
|
|
|
|
|
|
|
|
|
|
|
|
|
붉나무 |
|
|
|
|
|
|
|
|
|
|
|
|
|
|
|
|
0 |
|
|
|
|
연백국화 |
|
|
|
|
|
|
|
|
|
|
|
|
|
|
|
|
|
0 |
0 |
0 |
0 |
#조성대상면적
밀원 조성대상면적우리나라 총 토지면적은 9,927,000ha
이중에서 농경지19%,산림64%주거 도로 기타17%이다
밀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넓고 가격이 싼 산림이 주 대상이다.
#밀원조성수
꿀벌은 반경 2km 까지 날아간다고 하므로 이 면적은 1,300ha 쯤 된다. 토지면적을 이 면적으로 나누면 7,700개쯤이고, 산림면적을 이 면적으로 나누면 5,00개소쯤 된다. 즉 밀원을 최대로 조성한다면 5,000 - 7,000개소쯤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논의는 6,00개소를 가정하고 진행시키기로 하겠다.
밀원조성을 10년간 한다면 일년에 600개소가 된다. 밀원조성은 각 시군에 있는 농업기술센터와 산림조합의 지원 혹은 협조를 받아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약 200개(시,군)이므로, 일년에 한 지방자치단체에서 3개소씩 조성하여야 될 것이다.
#밀원조성방안
-많은 투자와 장기간으로 개인은 불가능하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요구
-정부의 밀원조성 자금을 마련하여 토지는 양봉단체.양봉인 산주.지방자치단체.
-혹은 국가소유의 산림 등이 바람직하며 국유림 공유림. 사유림을 임차하는 방안을 강구
-제원은 농특개발 자금이 그 자금의 목적에 부합 ,10년간 119조원이 예정
-산림청에서 보조하는 보조조림 대상 수종에 밀원수목 포함시켜야하며
특용수 조림으로 밀원으로 이용
-논의 휴경지보상제도에서 휴경하는 농지에 자운영, 유채 등 1~2년생 초본류 식재
-지방자치 단체에서 시행하는 가로수식재, 경관조성, 도시 가꾸기 등에 밀원식물조성
(츄림.회화.유채.메밀.해바라기.산수유.모감주.쥐똥.광나무.코스모스..등)
-도로건설로 절개지에는 싸리.등나무.담쟁이덩쿨등)
“예”
경북도는 봉화군에 양봉인이 소유한 산에 군의 지원으로 츄림 나무 13,000본 조림
#무슨 밀원식물을 심을것인가?
양봉 선진국의 꿀 가격이 우리나라 꿀 가격의 10% 정도라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현재 생산량의 열 배를 생산한다면 가격 경쟁에서 밀리지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제 생산령의 열 배를 생산한다면 가격 경쟁에서 밀리지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밀원식물 종류가 600종에 이른다고 600종을 다 심을 필요도 없고, 다 심어서도 안 된다. 우선 양봉을 하고 있는 지역에 현재 있는 밀원을 조사하여, 그 밀원을 보충 혹은 보완할 수 있는 종류를 10종쯤 골라야 될 것이다. 일단 아까시 나무가 없는 지역에서는 아까시아 나무를 가장 먼저 선택하고, 밤나무가 많은 지역에서는 밤나무와 개화기간이 겹치는 밀원식물을 제외하는 등 방법으로 선택하면 될 것이다.
같은 면적에서는 목본이 초본보다, 교목이 관목보다 일반적으로 꽃의 양이 많으므로, 목본을, 목본 중에서도 교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목본은 일반적으로 몇 년 지나야 꽃이 피므로, 그 기간에 초본으로 보충하여야 될 것이다.
<표 2>. 유망한 밀원식물
개화시기 |
목 본 |
초 본 |
3월 |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회양목, 매실나무, 진달래 |
유채 |
4월 |
왕벚나무, 산벚나무,산딸기, 사과나무 |
민들레 |
5월 |
아까시나무, 쪽제비싸리, 찔레나무, 때죽나무, 말발도리, 층층나무, 칠엽수, 쥐똥나무, 오동나무 |
토끼풀, 전동싸리 |
6월 |
밤나무, 좀목형, 감나무, 싸리 |
토끼풀, 전동싸리 |
7월 |
좀목형, 모감주나무. 쉬나무, 싸리 |
옥수수, 호박, 매밀 |
8월 |
음나무, 두릅나무, 다릅나무 |
코스모스 |
9월 |
붉나무, 산초나무 |
연백국화, 향유, 방아 |
10월 |
차나무 |
연백국화, 향유, 방아 |
5.얼마만큼 심을 것인가?
아무리 좋은 밀원식물이라도 숫자가 너무 적으면 밀원으로서 가능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밀원식물을 정한 후 몇 본 혹은 면적으로 몇 평을 심어야 될 것인지 정하여야 될 것이다. 이것은 몇 군을 기를 것인지에 달려 있으며, 또한 총 가능면적이 얼마인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연채광을 이용한 건물형 농업 및 지하공간 활용의 유용성 (0) | 2009.02.02 |
---|---|
[스크랩] 토종벌의 밀원실태 (0) | 2009.02.02 |
[스크랩] 마을에 싸리를 심자 (0) | 2009.02.02 |
[스크랩] 밀원(蜜源)식물 `크레오메` (1) | 2009.02.02 |
[스크랩] 양계장습격사건, 워싱턴 박미연씨 (0) | 2009.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