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기후와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미래형 식물농장 선보여 기후와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미래형 식물농장 선보여 【뉴시스와이어】- 경기도 농업기술원, 로봇을 이용한 빌딩형 수직농장 '미래농업연구센터' 개관 경기도농업기술원내에 국내 최초로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시스템이 적용된 식물농장이 들어섰다. 이 시스템이 상용화될 경우 채소 재배 농가들은.. 작물 2010.12.15
[스크랩] 빌딩 농장, 국내에도 뿌리내린다 빌딩 농장, 국내에도 뿌리내린다 초고층 빌딩 농장은 공상과학? 대도시 한복판에 자리 잡을 빌딩 농장의 상상도. 미국 컬럼비아대 공공보건학과의 딕슨 데스포미어 교수 연구팀이 그렸다. [버티컬팜(www.verticalfarm.com) 제공] 20년 뒤인 2030년 10월의 어느 날. 서울 양재동의 한 고층건물 주차장에 5t 트럭 .. 작물 2010.12.15
[스크랩] 조경수 초보자가 기억해야 할 것들/2 조경수 초보자가 기억해야 할 것들/2 백영호/산림환경컨설턴트 며칠전 경기도에 사신다는 어느분이 이렇게 물어왔다 < 나무를 심고픈데 심어만 놓고 손이 덜가고 몸이 매여있지 않아도 되고 땅이 알아서 키워주고 한달에 한두번 주말에 가서 둘려보고 그리고 5~6년 놔두면 커서 잘 팔려나가는 나무.. 작물 2010.12.12
[스크랩] 나무농사 성공가이드 핵심정리 실패끝에 찾은 나무농사 성공가이드 핵심정리 백영호/ 산림환경 컨설턴트 2010 봄날이 가고 있다 나무농사의 계절이다 들판에 나가 쑥향기 만지면서 배수로를 손질하는 나의 이마에 굵은 땀방울이 흐른다. 그동안 얄팍한 나의 나무농사 이야기들을 글로서 말로서 몸으로 행동으로 공개함에 관심있는 .. 작물 2010.12.12
[스크랩] 아끼고픈 나무 얼룩식나무^ 아끼고픈 나무 얼룩식나무 백영호 왠지 정이 가고 끌리는 나무 얼룩식나무,혼자있어도 태가 나며 여럿이 모아 심엇을 때 더욱 빛나는 나무 얼룩식나무 얼룩식나무는 그늘진곳에서자라는 몇 안되는 음수 남부수종 조경수이다. 그늘진 큰나무 밑에서 자기 색깔내며 자기자리 지키며 주위를 아름답게 .. 작물 2010.12.12
[스크랩] 국유림서 약용수 재배 가능 국유림서 약용수 재배 가능 산림청 ‘국유림 경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 7월26일부터 시행 [93호] 2010년 02월 09일 (화) 09:54:58 백안진 기자 rrotto@latimes.kr 앞으로 국유림에서 나무 생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농어업인이 약용수를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산림청은 9일 “농어업인의 소득.. 작물 2010.12.12
[스크랩] 나무농사 성공가이드 핵심정리 실패끝에 찾은 나무농사 성공가이드 핵심정리 백영호/ 산림환경 컨설턴트 2010 봄날이 가고 있다 나무농사의 계절이다 들판에 나가 쑥향기 만지면서 배수로를 손질하는 나의 이마에 굵은 땀방울이 흐른다. 그동안 얄팍한 나의 나무농사 이야기들을 글로서 말로서 몸으로 행동으로 공개함에 관심있는 .. 작물 2010.12.12
[스크랩] 2010에 심은 피라칸다 여름철 관리핵심^ 2010 봄에 심은 피라칸다 여름철 관리핵심 백영호 /산림환경컨설턴트 몹씨 무더운 계절이 이어지고있다 묘하다, 더우면 풀들이 자라는 만큼 나무도 더불어 자라는 이치,묘하다. 나무를 키우기위해서는 비료를 줘야하고 그랬더니 잡초가 좋은것은 먼저알고 덤비며 빨대세워 빨아먹으며 몸집 불리는 형.. 작물 2010.12.12
[스크랩] 나무농사는 6개월짜리다. 나무농사는 6개월 짜리다 백영호/산림환경칼럼니스트 나무농사는 6개월 짜리다, 밑도 끝도 없이 무슨말이냐고요? 나무농사의 성패는 6개월동안에 일년의 성과가 모두 나타난다는 것이다 일년은 열두달인데 초기 6개월만 바짝 땀흘리면 그속에서 웃음과 눈물이 다 나타난다는 말이다 수십년 나무농사.. 작물 2010.12.12
[스크랩] 내 농장 무엇이 문제인가/ 잘되는 농장 안되는 농장 내 농장은 무엇이 문제인가?/잘되는 농장 안되는 농장 백영호/조경수농장컨설턴트 글쓴이는 최근 한 5년간 넉넉한 출장비를 받아가며 전국을 돌며 잘되는 농장은 더 잘되게, 안되는 농장은 문제를 찾고 개선하기 위해 100 여 군데를 넘게 다니며 진단과 처방을 해오면서 느낀점과 문제의 공통점을 분석.. 작물 201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