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

[스크랩] 충북 충주 목계나루 전통견지"낚싯대만한 물고기 잡는 건 이것 뿐이여~"

그린테트라 2013. 8. 15. 14:51

 

 

  

 

충북 충주 목계나루 전통견지"낚싯대만한 물고기 잡는 건 이것 뿐이여~"

 

 

 

 

 

 

견지낚시를 해온 노인(고전선박 제작 장인 손낙기 옹)

한판 사투(死鬪)라기 보다, 한폭의 그림 같다.

물고기 제 깐에야 온힘으로 버티며 사투를 벌이는 모양새지만,

 몇십년 견지낚시를 해온 노인(고전선박 제작 장인 손낙기 옹)에겐

 당할 제간이 없다.

 한손으론 노를 젓고 한손으론 견지채를 풀었다 끌었다 하는 모습은

 고도의 기술을 넘어 예술에 가깝다.

 햇빛 스펙트럼이 부서질 듯 목계나루를 비추고,

등 돌린 낚거루(전통 낚싯배)와 노인은

 그곳이 마냥 편안한 듯 물에 흐르고 또 물길을 거스른다.

"먹고 살라고 했지 뭐"라고 말하는 노인은

그 와중에도 손 놀림이 바쁘다.

 그리곤 이내 신이 났다.

 배 아래로 위로 물수제비를 뜨면서 무언가 달려오는 걸 보니

제대로 걸렸나 보다.

낚싯대 길이만한 누치를 낚아채곤 신이 났다.

칠순 노인은 일곱 살 미소를 보인다.

 "이 맛에 하는 거여…. 이 맛에.".

 "눈치(누치) 한 마리만 잡히면 추운 것도 모르고 힘든 것도 몰러…".

칠순 노인을 아이로 만들고, 스무살 청년을 도통한 신선으로 만드는 견지낚시

한때 플라이낚시가 유행처럼 번졌던 때가 있다.

 영화 <흐르는 강물처럼> 포스터처럼

강물에 서서 낚시를 던지는 그림은

보기만 해도 운치있고 평화로워 보인 게 사실.

 하지만,

 견지낚시를 즐기는 이들 열에 아홉은

"낚시대 크기만한 물고기를 낚을 수 있는 건 견지낚시 밖 에 없다"며

 이내 견지낚시 자랑에 열을 올린다.

 오묘하지만,

과학적이라고,

단순하지만 지혜롭다고 말한다.

견지낚시 찬가라 할만하다.

 견지낚시.

그 매력이 무엇이길래 칠순 노인을 아이로 만들고,

스무살 청년을 도통한 신선으로 만드는 걸까.

한국민속전통견지낚시협회의 도움말로

 견지낚시에 관해 알아봤다.

 

 

견지낚시 하는 모습1 

 

 

견지낚시 하는 모습2 

 

 

현재 견지낚시는

 여울견지와 배견지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여울견지는 사람이 낚시대와 소량의 미끼,

안전 장구를 갖추고 직접 흐르는 물에

 하체부분까지 몸을 담그고 물고기를 잡는 방법이다.

배견지는 소량의 미끼와 낚시대,

 안전 장구를 갖추고 배를 타고

흐르는 물에서 어느 한부분에 배를 고정시켜

 배 위에 앉아 여유롭게 고기를 잡는 것을 말한다.

 이 외에 사슬낚, 챌낚, 얼음낚 등

 여러 종류의 견지낚시법이 있었지만

오늘날엔 몇몇 원로들에 의해

 명맥만 간신히 유지되는 수준이다.

 

 

 

 

견지체

 

우선,

견지채를 살펴보자.

옛 견지채에는 명주 세올실 한타래를 감았고

 길이는 30발(대략 50m)가량이다.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줄에는 옻을 먹여 사용했으며

 마찰열을 줄이기 위해 견지 채 섶대엔 절피를 감았다.

 하나부터 열 까지 모두 사람손을 거쳐 만들어 진다.

다음은 낚시 기법에 관한 얘기다.

 견지 낚시의 대표적인 기법은 사슬낚, 삼봉낚 , 흘림낚으로 나뉜다.

한국민속전통견 지낚시협회 의 설명을 기초로 정리했다.

 

 

견지낚시 하는 모습1

 

 

견지낚시 하는 모습2

 

《사슬낚》…

 기술을 넘어, 예술같고 마술같은 외노에 외견지

얼음이 얼지 않은 하천에서

 낚시의 시작부터 끝까지 노를 저어 이동하며

 낚시를 연속적으로 한다.

 고기가 모여있을만한 강바닥의 낚바탕(포인트) 골을 찾아 이동해 드리우고

 잡아당기고를 반복해 고기 몸 아무 곳에나 꿰어 잡는 낚시다.

 미끼없이 서너개의 낚시(바늘)와 추를 이용하는

 상당히 고되고 숙련을 필요로 하는 낚시 기법이다.

전후 좌우 물길을 따라 또 물길을 거슬러 노를 저으면서도

 한손으론 낚시바늘을 드리우고 잡아당기기를 반복 해 물고기를 잡는다.

 흔히들 "(미끼 없이) 훌쳐당긴다" 표현한다.

기술만 갖춰지면 큰 홍수때와 결빙기를 제외하고는

아무 때나 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는 사라진 견지기법이다.

《삼봉낚》…"잔인혀? 먹고 살려니까 이렇게라도 잡아야지. 허허"

 

삼봉낚

 

 

삼봉낚은

한겨울 얼음이 두텁게 언 강 이나 호수에서 이뤄지는 낚시형태다.

얼음 구멍을 뚫은 뒤

 바닥엔 삼발이 형태를 띤 자작 삼봉낚 바늘을 가라 앉히고,

어신(물고기가 미끼에 입질을 할때

 찌나 낚싯대에 전달되는 움직임)을 감지키 위해

 물에 뜨는 가벼운 나무 재질로 찌를 만들어 사용했다.

방한을 위해 썰매 위에 앉아서 어신이 오길 기다렸다가

 찌가 흔들리는 방향을 보곤

 물밑에서 고기가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해 채낚는 방식이다.

 물고기의 어느 부위건 상관없이 채낚는다고 한다.

 사슬낚과 마찬가지로 주 대상어는 잉어.

남한내의 한 수 이북과

북한의 대동강 수계에서 많이 사용했던 낚시 기법이다.

《흘림낚》…

누치야, 잉어야. 밑밥향이 좋더냐. 네 녀석들 덕분에 뻐근한 손맛 제대로구나!

 

견지낚시 하는 모습3

 

 

흐르는 물에 닻으로 배를 고정 시키고 미끼를 사용하는 견지기법.

봄부터 늦가을까지 행해졌던 견지낚시이며

현재도 청평 인근에서 많은 견지인들이 즐기고 있다.

 명맥을 이어 오고 있는 견지낚시중 가장 일반화 돼 있는 방법이다.

예전에는 미끼로 메뚜기, 귀뚜라미, 거머리 등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곤충이나 생물을 사용했다.

 요즘은 요즘은 파리의 유충인 구더기를 양식해서 미끼로 쓴다.

물고기를 모으기 위해 밑밥용으로 사용하던 작은 그물주머니는

 썰망 혹은 설망이라고 한다.

 흘림낚으로 잡는 고기는 누치, 잉어, 붕어, 끄리, 강준치, 모래무지 등

여러 종이 낚인다.

《장어잡이》

…힘좋은 장어도 명주실엔 젬병일세!

 

뭉이대이로 사용한 견지낚시

 

 

뭉이대라 하는 간단해 보이는 막대가 장어잡이의 결정적(!) 도구다.

움켜쥔 손 안에서 막대가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깎아 두었다.

이 뭉이대로 장어를 잡을 수 있는 적기는

 장마가 다녀가 큰 물이 나간 다음 물이 가라 앉을 무렵.

방법은 이렇다.

장어가 몰려 있는 곳을 찾아 뭉이대 끝에 말지렁이 30마리 정도를 꿰어 달아

물속에 드리우면 장어가 득시글득시글 몰려들어 지렁이를 물게 된다.

 이때 장어의 날카로운 옥니가 명주실에 걸려

뭉이대 끝에 대롱대롱 달려 올라온다는 것.

전통 낚싯배인 낚거루(마상이) 제작기술 보유자인

편수 손낙기 선생의 표현에 의하면

 "한참 때는 잡는 게 아니라 장어를 뽑아 올렸다"고 한다.

그정도로 뭉이대 장어 잡이가 잘됐다는 의미다.

 

 

미끼를 꿰는 모습

 

《견지정보》

◎준비물~! 견지채, 낚시대, 줄패, 낚시줄, 봉(추), 미끼, 낚시찌, 낚시바늘.

 

◎미끼는 요런 것

구더기, 담수새우, 말거머리, 물지네, 미꾸라지, 송사리,

 땅강아지, 잠자리, 애벌레, 메뚜기, 귀뚜라미, 고등어살,

개구리살, 지렁이, 말지렁이, 청지렁 이, 들깻묵밥, 곡물류 등.

 

◎대상어종

붕어, 잉어, 납자루, 모샘치, 몰개, 참마자, 누치, 어름치, 새미,

배가사 리, 모래무지, 끄리, 눈불개, 피라미, 갈겨니, 강준치,

 살치, 종개, 미유기, 종어, 동자개, 빙어, 숭어, , 꺽지,

쏘가리, 농어, 구굴이, 무치, 가물치 등 어종 구분없이 다양하다.

 

◎낚시줄

삼줄, 면사, 명주실, 말총(말꼬리털) 등을 사용했다.

 

◎견지 낚시터

 홍천강 수산유원지, 한강 잠실 수중보, 대청호 보조댐,

충주 목계나루, 단양고수대교 여울 금강유원지,

임진강 임진교, 한강 늪실여울 등.

 

한국민속전통견지낚시협회( www.ktga.or.kr ) 02-2281-0424

개여울( www.gaeyeoul.com )에서도

 견지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

 자료·도움말: 한국민속전통견지낚시협회

 

※사진 속 인물은 고전선박 제작 장인 손낙기 옹입니다.

출처 : 좋은길로
글쓴이 : ♡º˚빵꾸난발통˚º♡ 원글보기
메모 :

'수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층빌딩 양식  (0) 2013.08.27
[스크랩] 해삼에 관한 이야기  (0) 2013.08.15
[스크랩] 사료코팅기 통돌이 및 선별기  (0) 2013.07.29
[스크랩] 한국어병연구  (0) 2013.07.01
[스크랩] Re:다슬기?  (0) 2013.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