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

[스크랩] 생태자급자족퀴즈 163번 퀴즈 정답 - 수직농장의 장점은?

그린테트라 2013. 3. 8. 16:23

 

 

 

 

 

 

 

 

 

 

 

 

2주동안 시간나는 대로 번역작업을 하여 오늘(토요일)밤 9시에 마무리 하였습니다. 라디오 방송 다시듣기는 첨부파일내 URL을 클릭하여 녹취록 원문과 번역문을 동시에 보면서 감상하면 생생한 세계인들의 세상견문 넓히는 동정을 엿볼수 있을것입니다^^

 The Diane Rehm Show' 대담후 청취자 소감과

딕슨 데포미어 교수의 미국 경제시사 라디오 토크쇼 ‘모트리 풀 머니’ 인터뷰 전문-아쉽게도 Mp3파일을 찾을수가 없네요-

도 추가로 번역했습니다.

 

 

 

비결이 미래의 식량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한 축인 수직농장에 관심이 있어 10년전부터 전세계를 돌며 인류의 식량위기 해결책인 수직농장을 홍보하고 있는 데포미어 박사가 수직농장이라는 책을 출간한후 미국 10대 라디오 토크쇼인 'The Diane Rehm Show'-주당 210만명이 청취한다는-의 녹취록을 입수하여 번역해 봤습니다.

 

미국에는 수경재배농장을 대단위로 운영하는 장애인으로만 구성된 사회적 기업도 있습니다.

다이앤과 데포미어 박사가 미래의 농업의 한축인 수직농장이 세상에 어떻게 영향을 줄수 있는지 감상해 보기 바랍니다.

 

비결은 작년부터 전국을 돌며 수직농장 설명회를 개최하였고 내년에 수직농장 몇개를 건설할 예정입니다.

비결이 전문 번역가가 아니어서 번역에 오타와 오역이 있을수 있으니 넓으신 양해 바랍니다.

 

수직농장의 장점을 서술한 다이앤쑈 사이트 The Diane Rehm show http://thedianerehmshow.org에 들어가면 녹취록 번역문을 보면서 대담을 청취할수  있습니다.

 

Advantages of Vertical Farming 수직농장의 장점

미국 콜럼비아 대학, 미생물학, 공중환경보건학과 딕슨 데포미어 박사(Dr Dickson Despommier) 주장: 11년전 환경 관련 대학수업중 2050년경에는 지구 인구가 90억 정도까지 증가되는데 이중 약 75-80%가 도심에 거주할것으로 예상되어 식량대비 주제로 촉발된 수직농장임

 

Year-round crop production; 1 indoor acre is equivalent to 4-6 outdoor acres or more, depending upon the crop (e.g., strawberries: 1 indoor acre = 30 outdoor acres)

년중 수확: 실내 1 에이커(4046.955㎡, 1224.204평)는 경작물 종류에 따라 외부경작지 4-6 에이커에 필적합니다.(예: 딸기 1 에이커는 외부경작지 30에이커)

 

No weather-related crop failures due to droughts, floods, pests

가뭄, 홍수, 병해충, 폭설, 태풍, 냉해 같은 기후관련 흉작과 무관

 

All VF food is grown organically: no herbicides, pesticides, or fertilizers

농약, 제초제나 비료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 식품 생산

 

VF virtually eliminates agricultural runoff by recycling black water

오폐수 재활용을 통한 농지 침식 예방

 

VF returns farmland to nature, restoring ecosystem functions and services

생태계의 기능과 장점을 복구시켜 농지를 자연으로 되돌려줍니다.

 

VF greatly reduces the incidence of many infectious diseases that are acquired at the agricultural interface

농업분야에서 발생하는 병해충 발생을 대폭 감소시킵니다.

 

VF converts black and gray water into potable water by collecting the water of

evapotranspiration

오폐수를 증발산 회수를 통해 유용한 수자원으로 전환시킵니다.

 

VF adds energy back to the grid via methane generation from composting non-edible parts of plants and animals

동식물의 비식용 부위를 퇴비화, 메탄가스 발생을 시켜 재생 에너지를 보강합니다.

 

VF dramatically reduces fossil fuel use (no tractors, plows, shipping.)

트랙터, 쟁기질, 장거리 운송을 통하지 않기에 석유에너지 사용을 대폭 감소시킵니다.

 

VF converts abandoned urban properties into food production centers

도심의 방치된 부지와 사람이 거주 안하는 건물들을 식량 생산처로 전환시킵니다.

 

VF creates sustainable environments for urban centers

도심에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을 조성합니다.

 

VF creates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도심에 새로운 고용기회를 창출합니다.

 

We cannot go to the moon, Mars, or beyond without first learning to farm indoors on earth

지구에서 실내농업 기술을 획득하기 전에는 달, 화성 또는 그보다 먼 천체에 갈수 없습니다.

 

VF may prove to be useful for integrating into refugee camps

피난민촌에 유용한 통합지원책이 될수 있을 것입니다.

 

VF offers the promise of measurable economic improvement for tropical and subtropical

열대와 아열대 농작물 수확에 예측가능한 경제적인 개선책이 될수 있습니다.

 

LDCs. If this should prove to be the case, then VF may be a catalyst in helping to reduce or even reverse the population growth of LDCs as they adopt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sustainable food production.

이점들이 입증이 된다면 개발도상국들이 지속가능한 식량생산을 위한 전략으로서 도심농업을 채택할것이기에 개도국들의 인구증가를 늦추거나 인구감소에 도움이 될수 있을 것입니다.

 

VF could reduce the incidence of armed conflict over natural resources, such as water and land for agriculture

농업용수와 농지확보같은 천연자원 때문에 발생하는 무력 갈등 발생을 감소 시킬것입니다.

 

비결의 추가 의견 :

국내의 낮은 귀농 정착율(약 30%)로 인한 막대한 시간적, 정신적, 금전적, 생태환경적, 지자체 지원금 낭비 예방, 예: 농가, 토지, 농기계 구매, 집짓기, 정착 관련 교육 프로그램, 지자체 정착 지원금 등등

 

도시 관청이 수직농장을 도심공원화 사업지원-텃밭제공, 생태수영장, 체육관내 전기농장(전기발생 운동기구를 통한 전기생산량을 IT에 접목, 수직농장 산품과의 맞교환) 등등-을 통해 도시민들의 정서, 체력, 생태자급자족 증진 및 식자재 쇼핑-도보 10분거리면 가능-과 주말 교외 나들이로 인한 화석연료 사용 및 교통 체증 대폭 감소

 

도심의 생태 관광명소로 화하여 도심 국내외 관광업 활성화

 

도심 음식물 쓰레기 처리 1 :

호텔, 식당, 관공서 등등에서 써빙하고 남은것, 가공후 남은 식재료, 커피간것, 음식조각들중 멀쩡한 것들은 사료화, 사람 입에 댄 것들은 재생에너지화, 퇴비화 로 인한 자원 재활용

 

도심 음식물 쓰레기 처리 2:

아파트 및 가정의 음식물 쓰레기량 최대 98.7%에서 최소 41%-평균 60%-를 지렁이로 처리,

a. 음식 쓰레기 절감 효과 유발 및 지렁이 분변토-퇴비-와 액비 생산,

b. 지렁이를 가축 사료로 공급,

c. 참여한 주민들의 식습관과 소비습관 변화,

d. 지렁이가 처리 가능한 채식위주로 식단 꾸려 가족 건강 상승 및 아이들의 환경 교육에도 도움.

e.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야 겠다는 의식의 정착화. 예-광주시 북구 신안 모아타운 ‘10년 현재 180가구중 75 가구 동참

 

도심 음식물 처리 1+2를 통하여 도심의 쥐, 바퀴벌레, 도둑고양이의 증식을 원천 차단하여 막대한 방역 비용, 행정 처리 비용-도둑고양이 중성화수술, 동물보호단체 활동 지원비 등등-등을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습니다.

예: 미국 뉴욕시는 해마다 80-90개의 식당이 미 보건국 검사에 의해 바퀴벌레 서식으로 인한 환경 불량으로 인한 불합격으로 판정을 받아 문을 닫고 있습니다.

 

관행농업에 사용되는 막대한 석유 에너지 절감, 예: 파종, 육묘, 냉난방, 저장, 비료, 농약, 각종 농기계, 조명, 환기, 수확, 관개, 수송 등등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하에 도심 빈곤층-취약계층-에 대한 전면적인 무상 친환경 식자재 공급을 가능케 합니다.

 

얼마전 배추가격 대란같이 수많은 예측불가능한 변수들의 함수관계에 의한 가격 폭등과 가격 폭락을 항구적인 근절과 예방을 할수 있는 정부와 지자체 주도의 계획농정과 수직농장에서 근무하는 농민들의 더 나은 수입창출-현 불안정한 농산물 수급상황에서 농산물 가격이 폭등이 될 시점에-을 절대적으로 가능케 합니다. 예; 배추대란

 

중동의 산유부국들과 서구권 국가들및 전세계에 청정 무공해 유기농 농수축산물을 무진장-농업대국 네덜란드 이상으로- 수출하여 세계 최대의 농업부국으로 성장할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참고: 대한민국엔 전세계 국가엔 없는 수직농장에 활용할수 있는 무진장한 천연자원들이 여럿 있습니다.

 

관행 농축수산업에서 발생하여 하천과 강, 바다를 오염시키는 농약, 비료,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 자연 보호 및 국내 수산자원의 항구적인 수확성 확보, 불안전한 해외 수산물 수입 감소 및 외화 유출 방지가 가능합니다.

 

참조: 1. 제초제 성분중 Atrazine 이라는 성분이 기형어를 만드는 주범으로 알려졌는데 잡초와 곤충들을 죽이는 농약의 제 성분들이 직간접으로 기형어를 생기게 한다고 할수 있으며 기형어가 아니더라도 이런 오염된 수자원에서 살아가고 있는 수산물들을 섭취하는 국민들이 기형아를 생산-현재 정상적인 부부가 출산하는 아이들중 1/10이 기형아로 탄생되는 기막힌 현실임-할수 있는 개연성-공기오염, 먹거리 오염등도 직간접으로 영향-이 있습니다.

2. 현재 오폐수 방출 방지시설을 갖춘 농축수산업체는 제외되며 하천, 강, 바다를 오염시키는 공장과 가정 오폐수도 상당한 원인을 제공

3. 올 여름 비결이 여주 남한강변에서 야영을 했는데 강물의 악취로 수영은 물론 잠들기도 곤란했습니다^^

 

수직농장 부근의 식당과 요식업소-반경 1Km 인근-에 유통마진을 제외한 식자재 공급가격을 산지 직거래 가격의 1/2 수준으로 공급할수 있으며 식당과 요식업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와 수직농장내 축분을 치어사료 및 지렁이 사료-수직농장의 닭 및 물고기 사료용-용으로 공급할 때 수직농장 생산품과 맞교환하는 동기부여 정책을 통해 발생하는 식자재 구매 대체 효과를 통해 메뉴가격을 줄여 소비자 물가 안정 및 식품 투기 근절에 기여할수 있습니다.

예: 배추 한포기 산지가격 1,000원, 소매시장 가격 3,000원 또는 그 이상(10배 가격까지도) 될 때도 많습니다.

 

위에 데포미어 박사가 새로운 종류의 고용창출이 된다고 언급했는데 그 직업군으로서는 수직농장용 관리직, 수직농장 개발업자, 건축가, 제어공학직, 건축직, 설계사, 폐자원 기술직, 영업직, 교육직, 보안직, 연구직(미생물학, 분자학, 생물학, 설계학, 감독직 등등), 생산직, 감독직 등등이 있습니다.

 

 

미국에서 주당 210만명이 시청한다는 미국 10대 라디오 토크쇼중 하나인 The Diane Rehm show http://thedianerehmshow.org 에서 10년10월5일자 방송을 클릭하면 아래 녹취록 원문을 보면서 다시 청취할수 있습니다.

 

대담 초대손님: 수직농장 (The vertical Farm) 저자,

DR Dickson Despommier 딕슨 데포미어 박사

 

and Bob Young, the chief economist at the American Farm Bureau

밥 영, 미국농무부 수석 경제학자

 

MS. DIANE REHM

Thanks for joining us, I'm Diane Rehm.

반갑습니다. 다이앤 림입니다.

 

By 2050, there'll be approximately nine billion people on earth. Three-quarters of them will likely live in urban areas.

2050년까지 전세계 인구는 90억이 될것 같은데 그중 3/4은 도심에서 거주할것 같습니다.

 

It seems clear our traditional farming models will have to change.

전통 농업방식이 변화해야 할것은 명백한것 같습니다.

 

Professor Dickson Despommier of Columbia University says we may be able to find the answer by looking up for more land instead of out.

콜럼비아대 딕슨 데포미어 교수의 말씀에 의하면 우리들은 외부보다 상층부를 찾아보면 더 많은 땅을 찾을수 있는 대안이 있을 거랍니다.

 

MS. DIANE REHM

In a new book, he describes how abandoned buildings and vacant lots can and should be used to grow food.

그는 신간서적에서 방치된 빌딩들과 공터들이 어떻게 하면 농사에 이용될수 있는지 기술하고 있습니다.

 

His book is titled, "The Vertical Farm" and as part of our ongoing environmental outlook series, Professor Despommier joins me in the studio to talk about feeding ourselves and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그의 신간 서적명은 ‘수직농장’- 환경관련 예상물-이며 데포미어 교수가 인류와 21세기를 먹여살리는 주제로 스튜디오에 오셨습니다.

 

You are, of course, as always welcome to join us, 800-433-8850. Send us your e-mail, join us on Facebook or send us a tweet. Good morning to you, sir, it's good to have you here.

청취자 여러분도 800-433-8850에 전화주실수 있으며 이메일이나 페이스북 또는 트위팅을 주실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와주셔서 반갑습니다.

 

MR. DICKSON DESPOMMIER

It's a pleasure to be here, Diane. 만나서 반가워요 다이앤씨

 

REHM

I know that this project began as a class endeavor. Tell us about that. 제가 들은 바로는 이 프로젝트가 수업의 결과물로서 시작되었다는군요.

더 상세히 알려 주시길 바랍니다.

 

DESPOMMIER

Yes, some time ago, around 11 years, as a matter of fact,

네 사실은 약 11년쯤 전에

 

I began teaching a course at our School of Public Health called Medical Ecology which has as its theme, if you damage the environment there's a health risk involved.

제가 주제로서 의학생태학이라 불리우는 공중보건학 과정에서 ‘환경을 파괴하면 공중보건의 위험이 수반된다’는 주제로 강의를 시작했었지요.

 

For instance, if you deplete the ozone layer in the stratosphere, there's a likely increase in skin cancer, that sort of thing.

예를 들면 성층권에서 오존층이 고갈되면 피부암 발생률이 증가된다는 등 이었지요.

 

DESPOMMIER

I got about halfway through that course and the students got very depressed.

절반 정도 진행이 되던중에 학생들은 아주 우울해 졌답니다.

 

They started to say, we would like to work on something more positive.

학생들은 좀더 긍정적인 대처방안을 하고 싶다고 말하는 것이었어요.

 

So I said, sure, it's your money and your time. Tell me what you'd like.

그래서 내가 자네들의 돈과 시간으로 하고 싶은것을 말해 보라고 했지요.

 

About a week later, they came back to me and told me they would like to work on rooftop gardening.

약 1주 후 학생들이 돌아와서는 옥상정원을 연구해보고 싶다는 것이었어요.

 

REHM

Ha. 아!

 

DESPOMMIER

As a sort of a thinking globally, but acting locally activity, so we worked our way through the problem.

지구적 차원의 사고방식이지만 지역적 활동으로 해결하기 위해 저희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시작했지요.

 

We're trying to feed Manhattan by farming on the rooftops.

저희는 맨해튼 지역을 옥상농장을 통해 해결하려 했습니다.

 

And at the end of the day, there's not enough land on the rooftops to feed New York City, not even Manhattan.

그날 끝무렵 옥상에는 뉴욕시는 물론이고 맨해튼지역 조차도 해결할수 있는 충분한 땅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But I said, you know, if we took that idea and moved it inside and made it by floor in multiple stories.

그때 제가 말했지요. 그 아이디어를 실내로 끌어 넣어 다층구조에 만들면 어떻겠냐고

 

For instance, a lot of apartments are abandoned in New York City.

예를 들면 뉴욕시에 많은 아파트들이 방치되어 있잖느냐

 

What if we turned them into indoor farms?

우리가 빈 아파트들을 실내농장으로 전환하면 어떻겠냐고?

 

What would that look like?

그 실내농장들은 어떻게 보일까?

 

And that idea started (laugh) this roller coaster that I've been on.

그 아이디어가 제가 지금까지 해왔던 말많은 청룡열차를 가동(웃음)하게 된거지요

 

REHM

Tell me how many rooftop gardens there are right now?

얼마나 많은 옥상정원이 있나요?

 

DESPOMMIER

Well, it's a surprisingly large number if you look around.

음, 찾아보면 놀랍게도 많이 있습니다.

 

This idea wasn't even in anybody's heads 20 years ago.

이 생각은 어떤 한사람이 홀로 20년동안 궁리해낸 것이 아닙니다.

 

Ten years ago, a few people were thinking about it and today, everybody's considering the opportunity.

10년전 소수의 사람들이 생각해냈고 지금은 모든 사람들이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I think the word has gotten out that, you know, I've got some unused space and maybe I can grow something.

주제에서 벗어난것 같은데 제게 약간의 공터만 있으면 무엇이라도 키울수 있습니다.

 

REHM

Yeah, yeah, but now this idea of moving gardens indoors, explain how that would work?

네, 네, 그렇지만 정원을 실내로 이동한다는 생각이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해주시죠

 

DESPOMMIER

Sure, well, it's actually a proven technology.

물론이죠. 사실 이 생각은 검증된 기술입니다.

 

In fact, there's no new technologies needed to make this idea come to fruition.

실제로, 이 생각을 현실화 시키는데 새로운 기술들을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We just have to apply what the greenhouse industry has learned over the last 50 years.

단지 온실업계에서 지난 50년동안 체득한 방법들을 적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Hydroponic farming, for instance, is the mode that we would grow most of the food with.

예를 들면 수경재배 농법은 대부분의 식량을 재배 할수 있는 방법이지요

 

But also a newer technology called aeroponics, which is even more water conservative.

그렇지만 새로운 공중재배(기경법)같은 물을 더 절약하는 새로운 기술도 있습니다.

 

You can grow food as long as you give them the right nutrients.

적절한 영양분을 주는 한도에서는 농사를 제대로 지을수 있습니다.

 

They don't need soil, actually. What they need is nutrients and the nutrients are locked up in the soil.

사실 토양도 필요 없고 필요한 것이라면 영양분이지요.

 

 

DESPOMMIER

So if we just grow them hydroponically with all of the right things, including the things that we need, we can supply both the nutrition for the plants and for us as well.

우리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들이 제대로 구비되어 수경재배를 할수 있다면 식물과 우리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수 있습니다.

 

REHM

But I'm looking at a photograph, a drawing, not a photograph and an illustration of a multi-storey building, all of which would house these kinds of gardens.

그렇지만 사진에는 사진이 아닌 다층건물 삽화가 모든 종류의 정원을 포함하고 있어 보이네요.

 

DESPOMMIER

Yes. 네

 

REHM

Tell me first where would the light come from?어디서 빛이 들어오는지 말씀해 주시죠

 

DESPOMMIER

Well, you know, a lot of people ask that question...

음, 많은 분들이 그 질문을 해주십니다.

 

REHM

...there? 저긴가요?

 

DESPOMMIER

They imagine a big, tall building. How are you going to get light into the inside of a building?

그들은 크고 긴 빌딩을 연상시키는데 어떻게 그런 빌딩 안으로 빛을 집어넣을수 있을까요?

 

REHM

Yeah? 네?

 

DESPOMMIER

It turns out it's not such a difficult problem if you design the building properly.

건물을 제대로 설계하면 그다지 어려운 문제가 아니게 됩니다.

 

So you're designing these buildings totally transparent, for instance.

예를 들어 이 건물들을 완전히 투명하게 설계하면요.

 

And they don't necessarily have to be 30 storeys tall if you've got the room to make them long and narrow.

실내를 길고 좁게 하면 30층이나 높게 지을 필요가 없게 됩니다.

 

REHM

 

DESPOMMIER

So in a lot of cities, including New York, there's a lot of land available for that sort of thing.

따라서 뉴욕같은 수많은 도시에는 그런 용도의 많은 땅들이 있습니다.

 

Like for instance, Floyd Bennett Air Force Base in New York City is abandoned and it's been abandoned since 1967.

예를 들어 뉴욕시에 있는 플로이드 베넷 공군기지는 1967년이후 지금까지 방치되어 있습니다.

 

That's three and a half square miles of city property that no one's using right now.

그곳은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3.5평방마일(9,413,699㎡, 2,847,614평)의 시 부지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You can design long, narrow transparent buildings maybe five or six storeys tall and then by using reflective mirrors and solar tubes and lots of other clever technologies when you use,

5,6층정도 되는 길고 날씬한 투명건물을 설계하고 반사경과 태양광 덕트와 그 외 필요시 첨단 테크놀로지 제품들을 활용하여

 

for instance fiber optics can be used with solar tubes to direct light to each individual plant, if that's what you want to do.

예를 들면 희망시, 광섬유와 광덕트를 활용하여 태양광을 식물들에게 비추게 할수 있습니다.

 

REHM

So you're saying these would not use more energy?

그래서 교수님 말씀은 그런 시스템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건가요?

 

DESPOMMIER

That's what I'm saying, exactly.

그래 제가 말하는 바입니다.

 

And if you go to some place which has lots of sunlight, for instance the Middle East or Australia or some of the other countries that are blessed with lots of sunlight, not necessarily the northern hemisphere countries, but around the tropics.

태양광이 많은 지역으로 간다면, 예를 들어 중동이나 호주, 기타 태양광 혜택을 많이 받는 나라들은, 반드시 북반구 나라들일 필요는 없지만 열대지방의 경우

 

These are pretty easy to design to take advantage of the natural setting.

천연자원을 활용하여 설계하긴 누워 떡먹기죠

 

And don’t forget you've got lots of leftover plant material that you're not going to eat, so you can recycle that energy back into the energy grid for that farm if you could employ some, let's say, high technology incineration devices.

잊지 말아야 할것은 비식용의 식물폐자원이 참으로 많으며 재활용하면 농장에서 활용할수 있는 재생에너지로 전환된다는 점입니다.

즉 고성능 소각장치같은 것을 말하지요.

 

REHM

And how does the water get there?

물은 어떻게 구하지요?

 

DESPOMMIER

Well, you drill really deep and you get the --

음, 통상 땅속 깊이 구멍을 파서 물을 확보하지만요

you don't need a lot of water when you farm hydroponically.

수경재배시 그렇게 많은 물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 답니다.

 

In fact, normal farming, outdoor farming, uses about 70 percent of the available fresh water on this planet.

사실, 관행 농업-야외 농업-은 지구에 있는 신선한 물의 70%를 소비합니다.

 

And hydroponic farming uses 70 percent less of that water.

수경재배는 그 물의 70%나 적게 사용합니다

 

So that's a real advantage if we can...

그래서 우리가 할수만 있다면 대단한 장점이지요.

 

REHM

Explain how that works?

어떻게 그게 가능한지 설명해 주시죠

 

DESPOMMIER

Sure it's called nutrient film technology and it's actually quite old.

물론이죠 이 기술은 영양박막술로서 상당히 오래된 기술입니다.

 

I mean, I think that if you look around the world for examples of hydroponics, you can see water lilies, for instance, and you can see a lot of natural plants growing this way already.

제 말은 제 생각엔 전세계의 수경재배 사례를 보면 예를 들어, 수련같은 천연 식물들을 이미 재배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So we've actually taken advantage of that. Back in the 1930s at U.C. Davis, hydroponic farming was actually brought into being as we know it now.

U.C 데이비스에서 1930년도에 이미 그 장점들을 이용했으며 수경재배농법은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이미 현실화 되었습니다.

 

So it's around for a long time.

따라서 여러분 주변에 오랫동안 함께 해 왔습니다.

 

And as long as you put the right minerals in the water to begin with, if you dissolve them in the right proportions, plants are very happy to grow that way.

그리고 올바른 미네랄들을 물에 집어 넣어 적정 비율로 용해시키기 시작하면 식물들은 잘 자랄것입니다.

 

REHM

And it would seem that that could be an answer to a growing population.

그렇게 하는 것이 인구증가에 대한 대책이 될수 있겠군요

 

DESPOMMIER

Indeed. 물론이지요

 

REHM

But how open do you think societies would be now with this idea?

그렇지만 우리 사회가 이 생각들을 받아들이기에 얼마나 개방적일까요?

 

DESPOMMIER

Well, you know, it's -- that's a great question because I've actually spent the last three or four years traveling throughout the world giving this kind of presentation on, what if we could farm in big, tall buildings inside cities?

음, 그 질문이 훌륭한 이유는 제가 지난 3,4년동안 세계를 돌아다니며 도심내 고층 빌딩내에서 농업을 하면 어떨까라는 점에 대해 설명회를 개최했기 때문입니다.

 

And I've been to places like Beijing and to Bangalore, India and to all over Europe and I've yet to make my trip to South America, but I'm planning on that soon.

저는 북경, 인도 뱅갈, 유럽전역을 다녀왔지만 남미에는 가보지 못했지만 곧 다녀올 계획입니다.

 

And no matter where I've gone, I've found a very receptive audience to this concept...

어디를 갔었어도 이 개념을 받아들일 준비가 큰 관중들을 만났습니다.

 

REHM

Hmm. 흠

 

DESPOMMIER

...because traditional farming appears to be in such dire straits right now.

그 이유는 전통농업은 큰 곤경에 빠져있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REHM

Why? 왜지요?

 

DESPOMMIER

Well, we can blame it on a lot of things, okay, but if you go to th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음, 여러 탓을 들수 있습니다. 하지만 세계건강기구의 식량 농업기구를 참조한다면

 

their biggest reason for explaining the current food crisis revolves around soil erosion.

현재의 식량위기의 가장 큰 원인은 토양침식에 근거합니다.

 

And soil erosion can be caused by two different things all related to climate.

토양침식은 두 개의 개별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 둘다 기후와 관계가 있습니다.

 

So climate change is the central key issue here.

기후 변화가 핵심적인 논제가 됩니다.

 

You have soil erosion because of floo

ds and you have soil erosion because of droughts.

토양 침식은 홍수와 가뭄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So it seems as though you've got the ying and the yang of soil erosion where the wind will blow the soil away or the water will wash it away, but in either case, what's left afterwards is the lack of soil.

따라서 토양침식의 음양현상으서 바람이 토양을 불어내 버리거나 물이 씻어내갑니다. 그러나 어느쪽이나 남는것은 토양부족이 됩니다.

 

DESPOMMIER

So that where will you grow your food then?

그러면 대체 어디서 농사를 지어야 할까요?

 

I'll give you an example.

제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bout four years ago, Bangladesh -- the country of Bangladesh suffered a terrible flood that washed away enough soil to grow enough food to feed 2 million people.

약 4년전에 방글라데시는 끔찍한 홍수를 겪어 2백만명은 충분히 먹여살릴 토양을 씻어갔습니다.

 

Now, those two million people had to find food from some other place so that another 2 million people now had to feed them.

지금은 그 이백만명이 다른 지역에서 식량을 구해야 했고 또다른 2백만명은 그들을 먹여 살려야 했습니다.

 

So that's -- if you had enough food already, but not enough to feed everybody in addition to that, you've just cut your food supply in half.

따라서 충분한 식량이 있지만 모든 이들을 먹일 추가로 먹일수 없다면 식량 공급은 절반으로 줄여야 합니다.

 

REHM

But doesn't this country have a sufficient amount of farmland, soil, water right now to continue production of food?

하지만 우리 나라는 충분한 농지, 토양, 농수가 있어 식량생산을 지속할수 있지 않나요?

 

DESPOMMIER

Of course we do, of course we do. We're blessed.

물론 저희는 그렇습니다. 축복받았지요.

 

This country is absolutely blessed with a heartland that is rich in soil.

우리나라는 토양이 비옥한 정말 축복된 곡창지대입니다.

 

In fact, I got my graduate degree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in Indiana and all you had to do was just drive south to find out how blessed this country really is.

사실 저는 인디아나주 노틀담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땄고 우리나라가 얼마나 축복받았는지는 남쪽으로 운전하며 보기만 해도 되지요.

 

We've got feet-deep worth of topsoil, however, we've had three major floods in the last 10 years that's washed away a lot of that and has polluted all of the gulf.

저희 주는 30센치 깊이의 좋은 표토가 있지만 지난 10년동안 3개의 큰 홍수를 겪어 많은 표토를 씻어내갔으며 만을 오염시켰습니다.

 

And now we've got a dead zone that goes from New Orleans all the way down to Brownsville, Texas.

지금은 뉴올리언즈에서부터 텍사스 브라운스빌까지 이르는 지역이 불경지가됐습니다.

 

Where you used to have lots of larval fish and crustaceans growing up in these estuaries, you've got dead zones now created by this agricultural runoff that occurs every now and then because of these horrible floods.

이 끔찍한 홍수들로 인해 한때 이들 강어귀들에서 번성했던 갑각류와 치어들이 지금은 때때로 떠내려 오는 농업침식물로 인해 살수 없는 죽음의 지역으로 변했습니다.

 

REHM

What would happen if you had a multi-storey building?

다층 건물농장이 생긴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What would -- what would it produce, agricultural runoff or not?

어떤것들을 생산하며 농업 침식물들은 발생할런지요?

 

DESPOMMIER

Well, certainly not. In fact, it's called closed-loop agriculture because we recycle everything including the water.

아닙니다. 실상 수직농장은 물을 포함 모든 것들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폐쇄농업이라고 불리웁니다.

 

You can actually collect the water by dehumidification devices that will actually give you that water back that the plants put in the atmosphere.

식물이 배출하는 습기를 제습기로 물을 모아 식물에게 되 돌려 주어

 

So you can reuse it to make the nutrient solutions that you run by the root systems, so people are actually doing this now.

재사용하여 뿌리를 통한 영양분 해결을 하게 되는 것이 요즘 시도되는 방식입니다.

 

I'm not suggesting anything that's not being done.

저는 사용안하는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습니다.

 

If you go, for instance to Wilcox, Ariz. and visit Eurofresh Farms, there's 318 acres worth of indoor farm there and it's in the middle of the desert.

예를 들어 아리조나주 윌콕스에 있는 318에이커(389,296평, 1,286,931㎡) 규모의 실내농장이 사막 가운데에 있는 유로프레시 농장을 방문해 보시길 바랍니다.

 

REHM

Indoor farm. 실내농장이라!

 

DESPOMMIER

It's an indoor farm. It's one storey, it's not a multiple storey farm, but it manufactures delicious tasting tomatoes, cucumbers, green beans. In fact, it'll produce anything you'd like.

네 실내농장입니다. 단층이죠. 다층농장은 아닙니다만 맛있는 토마토, 오이, 콩을 재배하며 실제로 소비자가 원하는 어떤 작물이든 생산할수 있습니다.

 

REHM

I guess that is certainly a question lots of people would have namely, you know, the quality of the food...

제 추측에는 다수의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즉, 농산품의 질

 

DESPOMMIER

That's right. 맞습니다.

 

REHM

...that would be produced. 그런 것들이 생산될수 있는지요

 

DESPOMMIER

That's correct. I think there's an early history of hydroponics failing to deliver on that level.

맞습니다. 제 생각엔 초기 수경재배작물들은 그런 수준의 작물생산엔 실패했다고 봅니다.

 

What they produced was a beautiful looking tomato which tasted mushy and it wasn't very good, so people began to reject them and favor the local crops,

생산되었던 예쁜 토마토들은 물컹했고 품질도 아주 형편없어서 소비자들은 거부하였고 지역 농산물들을 선호했었죠.

 

of course, and I'm a New Jersey resident, so we're very, very proud of our Jersey tomatoes.

물론 저는 뉴져지 주민이어서 우리 주 토마토들이 대단히 자랑스럽습니다.

 

And -- but you can have bad crops of Jersey tomatoes, also.

그렇지만 수확이 나쁜 뉴저지 토마토도 생산될수 있지요.

 

It just depends on the weather.

그 것은 날씨에 달려 있습니다.

 

So eventually, the hydroponic industry figured out how to make the food taste good as well as look good and this...

궁극적으로는 수경재배는 맛과 모양 두가지를 해결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REHM

Dickson Despommier, he's author of "The Vertical Farm: Feeding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딕슨 데포미어, 그는 ‘수직농장: 21세기에 세계를 먹여 살리기 ‘의 저자입니다.

 

He's professor of microbiology and public health at Columbia University. Short break, we'll be right back.

콜럼비아 대학 미생물학과 공공보건학 교수입니다. 잠시 쉬고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REHM

And welcome back. Dickson Despommier, who is at Columbia University, has written a new book.

다시 돌아왔습니다. 딕슨 데포미어 박사는 콜럼비아 대학에서 재직중이며 신간 서적을 냈습니다.

 

It's titled "The Vertical Farm: Feeding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서적명은 ‘수직농장: 21세기에 세계를 먹여 살리기 ’입니다.

 

I hope you'll join us. We have many, many callers waiting.

청취자 여러분도 참여 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많은 청취자분들이 대기중입니다.

 

Here is an e-mail and this individual says, "I'm wondering if this type of farming would be geared toward places like Manhattan or if it would be geared toward those in low-income families.

이메일이 도착했는데 이분의 말씀은 ‘수직농장방식이 맨해튼 지역과 연계되는지요 아니면 저소득층과 연계되는지요’

 

It would seem in today's society, green healthy living is geared only toward those who can pay."

즉 현대사회에서 녹색건강생활은 단지 재력이 탄탄한 사람들만 연계될수 있는것 같군요.

 

DESPOMMIER

Well, I agree with the premise that all new technologies usually end up in the hands of those who can afford it first.

음, 새로운 기술들이 통상 재정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에게 넘어간다는 전제에 동의합니다.

 

The idea here, though, is, of course, to popularize this so much so that it becomes as common place as cell phones, so -- or other things which find their way throughout the general population.

이 아이디어는 물론 대중화시켜 핸드폰같은 공공영역같이 되게 하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대중화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And I know the first ones will be expensive, but I...

제 생각엔 처음에는 비쌀것이나

 

REHM

Yes. 네

 

DESPOMMIER

...the hope is that once they're accepted and you can modularize them and make them cheap, everybody can use them.

일단 받아들여지게 된후 표준화를 거쳐 값싸게 대중들이 이용할수 있게 될수있기를 희망합니다.

 

REHM

You talked about soil erosion and runoff.

교수님은 토양침식과 씻겨내림을 언급하셨죠.

 

How, in the future, do you see that climate change might actually affect our ability to farm?

미래엔 기후변화가 현재의 농업능력에 영향을 얼마나 끼칠것으로 보십니까?

 

DESPOMMIER

Sure. Well, it already is.

물론이죠. 벌써 시작되고 있습니다.

It's estimated for every degree centigrade increase in the earth's temperature, and that is atmospheric temperature, it rearranges the landscape to the extent of about 10 percent of where you can now farm.

통계로는 1도의 대기 온도증가가 현재의 농업생산지역의 10%까지 재배치 시키는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You can't farm anymore, you move somewhere else.

더 이상 농사를 지을수는 없습니다.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합니다.

It moves either north or south from where you are, so it rearranges the landscape and farmers have to stay put, so it creates a conundrum.

현지의 농토에서 북이나 남쪽으로 옮겨가고 있어 농지지도가 재편성되고 있으며 농부들이 가만히 있게 되야 한다면 곤란한 문제에 봉착되게 됩니다.

 

REHM

All right. We'll open the phones, 800-433-8850.

좋습니다. 전화번호 800-433-8850으로 전화주세요

 

First to St. Louis, Mo. Good morning, David.

첫 번째로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전화주신 데이비드씨입니다.

 

DAVID

Hi. How are you, Diane?

다이엔씨 안녕하세요

 

REHM

Fine, thanks

안녕하세요

 

DAVID

I was interested in your caller's book and I had the same idea.

예약 전화를 걸고 싶었습니다. 저도 같은 생각을 해봤습니다.

 

I did not know that somebody had already thought of this and I nicknamed it skyscraper farming.

누군가가 그런 생각을 해본적이 있다는것을 몰랐는데 저는 ‘마천루 농업’이라고 명명했지요.

 

I'm a graduate student in St. Louis, as a criminal justice major, but I was wanting to get into environmental things.

저는 세인트 루이스에서 범죄정의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인데 환경관련으로 전환하고 싶었습니다.

 

And I had an idea of bringing the skyscraper farming down to the local level for peoples in countries like Haiti that can't afford these mass,

저는 마천루 농업방식을 재정적 여유가 없는 아이티 같은 나라의 지역적 수준으로 이전하는 것을 생각해 봤습니다.

 

you know, scaled and produced industrial farming, as your caller is talking about -- or as your guest is talking about.

있잖습니까, 규모가 크게 생산되는 산업농업은 통화인이 말하다시피 또는 대담손님이 말씀하다시피

 

I thought maybe we could take products like bamboo and, you know, people that don't have the area,

아마도 대나무같은 산품을 이용할수 있을것 같아요, 땅이 없는 일반인 있잖습니까.

 

they can at least use the area that's around their house and can also use this bamboo to irrigate so you can plug the end of the bamboo and make your scaffolding like they use in China for their building.

집주변에 있는 땅을 이용하여 생산한 대나무들로 중국에서 건물지을때 사용하는 대나무 비계같은 만들어 대나무 한쪽 끝을 구멍을 뚫어 관개용품으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해 봤습니다.

 

And then this -- you could maybe make your layers out of that and use the bamboo as your structural integrity and strength and also for some irrigation purposes on a small scale.

건축적 완성도와 내구력, 소규모의 관개용의 대나무층을 만들수도 있겠지요.

 

DAVID

11:23:30

On the large scale, I was thinking if you had your girders for a skyscraper that you could hang your machinery for the planting of the seeds and the irrigations from the girders above and have everything on a rail system,

큰 규모로는 파종이나 관개용 기계들을 마천루용 도리(대들보)가 있다면 이것에 걸거나 레일시스템에 걸쳐 놓는 것도 생각해 봤습니다.

 

but I was just very interested and wanted to -- I'll take the rest of the information off the air. Thank you.

저는 아주 궁금했었습니다. 나머지 정보들은 나중에 비공식적으로 얻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REHM

How interesting. 흥미롭군요

 

DESPOMMIER

You're hired. 청취자 손님을 고용하고 싶네요

 

REHM

Really a great idea. How sustainable is that bamboo?

정말 좋은 생각입니다. 대나무가 얼마나 튼튼할까요?

 

DESPOMMIER

In fact, it's very sustainable.

사실 아주 튼튼합니다.

 

We've even thought about it -- using it in the substitute for the PVC piping that you use for normal hydroponic farming in an indoor setting.

저희도 실내 수경재배에 사용중인 일반 PVC 파이프 대체품으로 사용할것을 생각해 봤습니다.

 

REHM

So you think this is... 교수님 생각에는 그것이

 

DESPOMMIER

Oh, yeah, it's a great idea. 네 아주 좋은 생각입니다.

 

REHM

...fella has a great idea? 이 분이 대단한 생각을 갖고 계신겁니까?

 

 

DESPOMMIER

He certainly does. 물론입니다.

 

REHM

Go for it, David.

시도해 해보세요. 데이비드씨

 

Let's go to Washington, D.C. Good morning, Jeremy.

수도인 워싱턴으로 가죠, 제레미씨. 안녕하세요

 

JEREMY

Good morning, Diane. How are you today?

안녕하세요 다이앤씨 잘 지내시나요?

 

REHM

Well, I'm pretty well. This...

잘 지냅니다. 이

 

JEREMY

Good. 저도 잘 지냅니다.

 

REHM

...voice has not come back yet.

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군요.

 

JEREMY

I thank -- well, I'm glad to hear that.

고맙습니다. 듣고보니 기분이 좋습니다.

 

I am calling because I'm very grateful to your -- to the professor for all the work he's doing on aeroponics and hydroponics and these solutions.

제가 전화건 이유는 교수님이 수경재배, 공중재배(기경법)와 여타 해결책들을 연구해 주셔서 감사해서입니다.

 

I've actually launched a small company in Washington, D.C. called Compost Cab and

저는 실은 워싱턴에서 작은 ‘콤포스트 캡‘이라는 회사를 시작했는데

 

we're in the business of taking food waste, coffee grounds, food scraps, things that people have gotten used to calling trash and making sure that they get into the hands of the people who can put them to their best and highest use and those are urban farmers.

영업방식은 음식 쓰레기, 커피간 것, 음식조각들로서 사람들이 쓰레기라고 불리우는 것들로 이것들을 최상의 상품으로 가공하는 사람들-도심 농부들-에게 공급하는 것입니다.

 

And so while the professor is talking about these amazing and, you know, futuristic long-term solutions to this urban food problem,

교수님이 도시문제에 대한 대단한 미래의 장기적인 해결책을 소개하고 있는 동안

 

we're looking at an ancient solution, which is basically taking advantage of nature's organic breakdown of organic matter and its ability to let loose -- nutrients loose that can allow you to grow food in the city.

저희는 고대의 해결책이 기본적으로 자연의 유기적 분해를 이용하는 것과 영양분을 분해하는 자연의 능력으로 도심에서 식량생산을 할수 있음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And so I was curious as to the professor's thoughts on traditional farming in pocket farms, community gardens and the like supplied by the waste -- in part, by the waste stream of the city itself.

그래서 제가 궁금한것은 도심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들로 공급되는 소규모 농원, 지역 정원, 그같은 것 등등이 전통농업과 어떤 연관이 되는가입니다.

 

DESPOMMIER

That's a great idea. In fact, I'm a big fan of Will Allen who has a big farm in the middle of Milwaukee

대단히 좋은 생각입니다. 사실 저는 밀워키 중부에 큰 농장을 소유하고 있는 윌 알렌씨의 왕팬입니다.

and he employs load technology composting to produce worms.

그는 쓰레기를 활용한 퇴비기술로 지렁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The worms are then fed to Yellow Perch.

그 지렁이들은 농어에 먹이지요.

 

He gets his water right out of Lake Michigan and then uses the worm casts,

그는 물을 미시건 호수에서 끌어내와 지렁이 퇴비를 만듭니다.

 

which is a byproduct of the worm's metabolism, as the fertilizer for his farm.

그 퇴비는 지렁이 신진대사의 부산물로서 그 농장의 비료로 사용됩니다.

 

He's now thinking of actually building that up into a five-story building

그는 지금 5층 건물을 지을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and he's been very successful with it.

아주 성공적이었습니다.

 

So, you know, I’m in favor of all varieties of urban farming because I think that's where we live and that's where our food should come from.

음, 제가 도심 농업의 다양성을 좋아하는 이유는 그곳이 우리가 사는 곳이며 우리의 식량이 와야 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And the more you can see where your food comes from, the more you trust it.

여러분의 식량이 오는 곳을 더 많이 볼수 있다면 더 많이 신뢰감이 생길것입니다.

 

And the less likely it is that there'll be a disease outbreak.

그러면 질병발생도 더 적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REHM

And joining us now is Bob Young. He's chief economist at the American Farm Bureau Federation.

밥 영씨가 참가중입니다. 그는 미국농무부 연방 수석 경제학자입니다.

 

Good morning to you, sir.

안녕하세요

 

MR. BOB YOUNG

Good morning, Diane. How are you today?

안녕하세요 다이앤씨 잘 지내시나요?

 

REHM

Well, I'm pretty well. Bob,

네 잘 지내고 있습니다, 밥

tell us in what ways you think traditional farming methods are going to have to change to meet the demands of a growing world population.

증가하는 세계 인구의 수요를 맞추기 위해 전통농법이 어떤 방식으로 변화해야 할지 말씀해주세요

 

YOUNG

Well, I think we recognize that we're gonna have to work to get the, you know, two blades of grass where before we got one.

음, 제 생각엔 우리는 한가지 해결책보다는 유리창의 양면같이 여러 방면의 공정을 거쳐야 한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I would also say that, you know, we're strongly supportive of local food production, of the local farmer's market, of recognizing that, you're -- to the extent that we can end up with food production around the city.

저희는 ‘도심 식량생산과 지역 농민시장에 매우 협조적이며 도심 근교에서 식량생산을 할수 있는 범위까지 인식하고 있다‘ 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That's a fine thing. But

훌륭한 일입니다, 허나

 

I think we also recognize that there's also a very definite need and a very definite requirement for us to be able to produce food out in the countryside as well

제 생각엔 시골에서도 식량을 생산할수 있다는 명백한 필요와 요구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and recognize that we're gonna have to move some food around the country and around the world in order to satisfy all the demands.

모든 수요를 채우기 위해 식량을 국내외에서 이동시켜야 한다는 점도 인식하고 있습니다

 

REHM

You've got 75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projected to live in urban areas.

선생님의 통계에는 75%의 세계인구가 도심에서 거주할것이라고 예상합니다.

 

So if you've got that kind of a shift, how is the farming industry going to keep up with that?

그런 변화가 발생된다면 농업계가 어떻게 그 추세를 따라 잡을수 있을까요?

 

YOUNG

Well, I think as we have before. You know, again, we're -- and as we are now.

제가 말씀드렸다시피 다시 말하자면 현재처럼 말이죠.

 

You know, we'll continue to be productive, we'll continue to investigate new production techniques and new production technologies, et cetera and different transportation systems and things of that nature and provide that food and provide the product that the consumer's after.

생산성을 유지할것이며 신 생산기술 및 기타 등등과 다른 운송시스템을 연구할것이며 소비자가 추구하는 식량과 산품을 공급할것입니다.

 

REHM

What do you think about the idea of creating more urban centers for the growth of food?

더 많은 도심 건물에서 식량재배를 창출한다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YOUNG

You know, again, I think you've got to look at the cost associated with that.

다시 말하자면 제 생각으로는 관련된 생산단가를 고려해야 한다고 봅니다.

 

You know, real estate, last time I checked in Manhattan, was pretty ex

pensive, certainly quite a bit more expensive than real estate in, you know, rural Virginia or Iowa or Montana, for example.

제가 맨하탄을 점검했을때 부동산이 대단히 비쌌는데 예를 들어 버지니아 시골 또는 아이오와 또는 몬타나 지역보다 상당히 더 비쌌습니다.

 

REHM

What about that point, Dickson?

그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데포미어 교수님

 

DESPOMMIER

Well, I agree that I wouldn't dissituate a farm in the middle of Wall Street, but

음, 저는 월가 한가운데 있는 농장을 배제하지는 않습니다만

 

there are plenty of open areas of New York City that are going -- begging for use.

뉴욕시에는 사용을 간절히 기다리는 많은 공터들이 있습니다.

 

And one of them is Governor's Island, another one, as I mentioned before, is Floyd Bennett Air Force Base.

그중 하나가 거버너 섬이며 또 다른 하나는 언급한것처럼 플로이드 베넷 공군기지입니다.

 

So if you look around to cities and ask the mayors of those cities, where would you like a vertical farm, that they'd be ready to show you where.

따라서 시를 둘러봐서 시장님들에게 어디에서 수직농장을 하고 싶은지 문의해보면 시장님들은 보여줄 준비가 되어 있을것입니다.

 

REHM

One last question, Bob Young.

마지막 질문입니다. 밥 영씨

 

What about the projections regard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대한 예상은 어떤것인가요?

 

How do you think that climate change could affect what farmers do today and shift their thinking to tomorrow?

기후변화가 현재 농부들의 농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미래에 대한 사고방식의 변화를 끼칠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YOUNG

Well, I think farmers have been dealing with climate change,

음, 제 생각엔 농부들은 기후변화에 대해 대처해 오고 있습니다.

 

you know, go back to whenever.

아무때나 되돌아 보세요

 

You know, farmers adapt, they adjust, they change production technologies, change the way that they farm.

농부들은 적응하며 조절하고 생산기술을 변화시키며 농법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You know, where before, you know -- for example, and this would be within the very recent past,

음, 전에, 아주 최근의 사례를 들면

 

it used to be that we planted an awful lot of wheat in North Dakota, for example.

북 다코다에서는 예를 들어 아주 많은 밀을 심었었습니다.

 

We still plant a lot of wheat, but we used to not plant any corn or soybeans up there at all.

여전히 많은 밀을 심지요, 예전에는 그렇지만 옥수수나 콩을 전혀 심지 않았지요

 

They've grown their corn and soybean production substantially over the course of the last five, six, seven, eight years as different production technologies, different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m.

그들은 최근 5-8년동안 다른 생산기술과 다른 품종이 개발되었기에 콩과 옥수수를 상당량 수확했습니다.

 

We're actually planting soybeans up in Canada at this stage of the game, so again, farmers adjust, adapt and move on. That's what they do.

요즘 캐나다에서는 콩을 심고 있으며 또 역시나 농부들은 적응, 수정하며 나아가고 있는 것이 요즘 농부들의 관행입니다.

 

REHM

What about that, Dickson?

그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데포미어 교수님?

 

DESPOMMIER

Well, I think we're -- as I said,

에, 제 생각엔 말씀드린바와 같이

 

we're blessed in this part of the world to have so many farming environments to take advantage of,

지구의 한쪽인 미국 에는 도움될만한 수많은 농업환경의 축복이 있지만

 

but when you travel throughout the world, like for instance, to China or to India where half of the world lives, they've got some unique problems that we don't share with them.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는 중국이나 인도를 여행하다보면 그들은 미국인들이 겪고 있지 않는 독특한 문제가 있습니다.

 

For instance, their monsoons are changing daily almost and washing away tons of topsoil or not coming at all and creating these enormous droughts, so in that sense, I think they've got some real problems ahead of them.

예를 들어 그들의 우기는 거의 매일 변화하여 수톤의 표토를 씻어내가거나 우기가 안와 심대한 가뭄을 유발하며 그런 면에서 그들 앞에는 큰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REHM

What about that, Bob?

그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밥씨

 

YOUNG

Well, you know, again, I'd have to let farmers in that part of the world, you know, make their own comments about that, but again,

음, 저는 그 지역의 농부들에게 언급하게 하고 싶습니다만

 

it does get down to we've made some tremendous strides here in this country about how we deal with soil erosion and work on keeping the dirt actually on the field itself.

저희 나라에서 어떻게 토양침식 대책과 토양을 유지하는 대단한 발전을 이루었냐는 것에 귀결됩니다.

 

Actually, for a national average basis,

실제로 전국 평균기준상,

 

we're now to the stage where the soil -- the fields are regenerating about as much soil as is coming off the field on a national average basis.

전국적인 규모로 침식이 되는 만큼의 농토가 재생되고 있는 단계입니다.

 

They've got a long way to go in some of those other countries where they do still rely substantially on tillage methods that do break the soil surface,

타국에서는 먼길을 가야 하는데 그쪽은 여전히 표토를 파괴하는 쟁기질에 상당히 의존해

 

that do generate quite a bit of -- allow the field to erode substantially.

상당한 농지가 침식되는것을 초래합니다.

 

So again, they need to think about that, but that's going to require very different adoption, very different production technologies than they're using today.

다시 말해 그들은 그점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만 그들의 농법보다 아주 다른 생산기술과 다른 방식을 채택 해야 할 것입니다.

 

REHM

Bob Young, he's chief economist at the American Farm Bureau Federation. Thanks very much for joining us.

밥영씨, 미국농무부 연방 수석 경제학자였습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YOUNG

Any time.

언제든지 불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HM

Thank you. And we've got many more callers waiting.

감사합니다. 많은 통화가 기다리고 있네요.

 

Let's go to Boston, Ga. Good morning, Martin. You're on the air.

보스톤입니다. 안녕하세요 마틴씨, 통화됩니다.

 

MARTIN

Hi, Diane. I'm so glad to be on your show.

안녕하세요 다이앤씨 당신 프로그램에 출연하게 되어 기쁩니다.

 

It's good to hear your voice again, too.

다이앤씨 목소리를 다시 듣게 되어 반갑습니다.

 

REHM

Thank you.

감사드립니다.

 

MARTIN

I was just calling because I'm a farmer down here in South Georgia

제가 전화드린것은 남조지아에 사는 농부이기 때문입니다.

 

and a lot of the farms down here are very large industrial farms

이지역의 많은 농부들은 대규모 산업 농부들이지요

 

and, you know, I've talked to farmers around here and, you know,

이 농부들에게 말해봤습니다.

 

they claim that, you know, all the chemicals that they spray on the vegetables and the cotton and everything, you know, it's not going into the -- it's not affecting the plants and it's not going into our water sheds.

그들의 주장으로는 이 지역 농부들이 채소와 면화 그리고 모든 것에 살포하는 농약들이 식물에 영향을 안 끼칠 것이라고 하며 지하수맥에 스며들어가지 않을 것이랍니다.

 

Well, I just -- I highly disagree with that.

저는 그점에 상당히 동의하지 않습니다.

 

And my wife is graduating this semester from Appalachian State University with a major in appropriate technology

저의 아내가 이번 학기에 애퍼래치언 주립대 응용기술학을 졸업하는데

 

and whenever she gets down here,

아내가 여기 올때마다

 

we are definitely looking at, you know, large, you know, the size, let's say like chicken houses, large indoor hydroponic vegetable farms and, you know, organic vegetable farms

저희는 큰, 음, 치수 예를 들어 계사, 큰 실내 수경재배 농장, 음, 유기농 채소농장과

 

and stuff like that and I talk to all these other farms about this

그런것들을 생각해서 지역 농부들에게 이야기 해봅니다.

 

and they -- you know, they just laugh at me.

그런데 그 농부들이 웃기만 하네요

 

And the problem down here is that they've been doing the same thing for so long that they don't want to change.

문제는 그들의 변함없는 오래된 관행을 그들 스스로 변화할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REHM

That's really a good point.

잘 지적하셨습니다.

 

And just to remind, you're listening to "The Diane Rehm Show."

여러분은 지금 ‘다이앤 림 쑈’를 청취하고 계십니다.

 

Farmers do things the way they do and they don't want to change. What do you think of that, Dickson?

농부들은 관행대로 하고 있고 변화를 원치 않습니다. 교수님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DESPOMMIER

Well (laugh), I think whether they want to change or not, sooner or later the environment...

음(웃음) 제 생각엔 변화를 원하던 아니던 환경은 조만간에..

 

REHM

They're going to have to.

농부들은 변화를 해야 할것입니다.

 

DESPOMMIER

I'm afraid so.

우려스럽지만 그렇습니다.

 

They're already changing in many parts of the world as we speak,

저희가 언급했다시피 세계 도처에서 이미 농부들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so change is the only constant in nature, so to speak.

변화는 즉 자연의 유일한 상수입니다.

 

We've changed ever since farming first came on this planet.

지구상에서 농업이 시작된 이래 저희들은 변화해 왔습니다.

 

And, by the way, it hasn't been here that long.

어찌됐던 그 변화가 최근 없었습니다.

 

If you look at geologic history,

지질학적 역사를 본다면

 

we've been a species for about 200,000 years and for only the last 11,000 of our years' history

20만년동안 살아왔던 인류는 만천년동안의 지난 역사동안

 

have we farmed, so this is an experiment that, in terms of nature, hasn't lasted that long.

농사를 지어와서 자연에 비유하자면 그다지 오래 지속이 안된 실험인것이죠

 

REHM

All right. And joining us now from Stockholm is Perchant Rambaut (sp?).

네, 스톡홀름에서 퍼션트 램?씨가 통화합니다.

 

He's head of International Business Development at Plantagon International. Good morning to you, sir.

이분은 플랜타콘 인터내셔널 국제영업발전부장입니다. 안녕하세요

 

PERCHANT RAMBAUT

Good morning, Diane.

안녕하세요 다이앤

 

REHM

I gather your company has made a model for a vertical farm. Tell us about your company.

선생님 회사가 수직농장 모델을 세웠다고 들었는데 그 회사에 대해 말씀해 주시죠

 

RAMBAUT

Plantagon International has developed a spherical dome, transparent. And internally, we have a helical vertical greenhouse.

‘플랜타곤 인터내셔널’은 반구형 돔에 투명하며 실내는 나선형 수직 온실을 개발했습니다.

 

REHM

And what is in that dome?

그 돔에 무엇이 있나요?

 

RAMBAUT

The vertical greenhouse, basically the core is a spiral shaped mechanism that slowly moves hundreds and thousands of soil-filled plant boxes upwards.

수직 온실 기본적으로 중심부가 나선형 모양의 구동 원리이며 천천히 수천개의 토양이 채워져있는 식물상자를 위로 움직입니다.

 

As they move up, they get more access of light.

그것들이 위로 움직일때 빛을 받게 됩니다.

 

I think that was the first issue you brought up, where does the light come from in a vertical greenhouse.

제 생각은 여러분이 제기한 첫 번째 주제로서 수직온실에서 빛이 들어 오는 것을 말합니다.

 

So what this -- our innovation is one that delivers a solution, which is very automated and brings about a number of different technologies into one,

그래서 우리의 혁신은 해결책을 전하는 것이며 매우 자동적이며 여러 다른 기술들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며

 

whereby we can actually economically develop internally in a greenhouse.

이 시스템에 의하여 경제적인 온실을 발전시킬수 있는 것입니다.

 

REHM

Tell me what sort of interest there is in Stockholm at this point for that kind of innovation.

스톡홀름에서는 그런 혁신이 이 시점에서 어떤 흥미를 유발하는지 말씀해 주시죠

 

RAMBAUT

Well, at this point of time, we have had a lot of interest.

음, 이 시점에서는 여러 흥미로움이 있습니다.

 

We have three metropolitans in Sweden which have requested such a building.

스웨덴에는 수직온실을 요청한 3개의 도시가 있습니다.

 

We have been approached by -- in Shanghai. We have been a part of the Expo 2010.

저희가 참가했던 샹하이 엑스포에서 제안이 들어왔습니다.

 

We have been showcased by the Globe Forum and had awards.

저희는 지구 포럼에 전시되었고 상을 받았습니다.

 

We have had Singapore, India and even U.S.A.

저희는 싱가폴, 인도, 미국에도 지부가 있습니다.

 

REHM

So how soon...

얼마쯤이면.

 

RAMBAUT

There's a lot of interest and I think Professor Despommier,

많은 흥미로움이 있는데 제 생각엔 데포미어 교수님을

 

I would like to applaud his vision in this because

이 분야에서 그분의 비젼을 칭찬하고 싶은데 그분의 통찰력은 지금까지

 

it has been a driving force in the vertical farming and urban agriculture.

수직농업과 도심농업의 원동력이였습니다.

 

REHM

How soon realistically do you think there could be one of these vertical farms in operation?

얼마쯤이면 그런 수직농장이 가동될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RAMBAUT

As a business development head, I have already -- we have set up some framework for about two years -- two to three years,

영업발전부장으로서 저는 이미 2-3년동안의 구도를 확립했습니다.

 

we should have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hosting such a building.

세계 각지역에서 그런 농장빌딩을 지어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REHM

How wonderful. Perchant Rambaut , thank you so much for joining us.

잘 됐네요. 퍼션트 램?씨, 참석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And he is...

그는

 

RAMBAUT

Thank you. 감사합니다.

 

REHM

...head of International Business Development at Plantagon International. Short break. We'll be right back.

플랜타곤 인터네셔널의 국제영업발전부장입니다. 잠시 쉬고 다시 돌아 오겠습니다.

 

REHM

And we're back. Dickson Despommier, would you be good enough to read for us a couple of the e-mails that we've just gotten?

다시 돌아왔습니다. 데포미어 교수님, 방금 접수된 몇건의 이메일을 읽어주시겠습니까?

 

DESPOMMIER

Sure. Here's one that says, uh,

물론이죠 여기 메일의 내용은, 음

 

"Two questions. How will the system provide for pollinators?

질문이 2개입니다. 이 시스템이 수분곤충들에게 어떻게 작동될까요?

 

Will there be beehives inside these farms?"

그 농장내에 벌집들이 있게 될까요?

 

And the answer's yes.

대답은 네입니다.

 

If you go to England, for instance,

실례로 영국에 간다면

 

there's a wonderful farm that makes green peppers and lots of other produce for the local markets.

지역에 공급되는 피망과 다른 많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훌륭한 농장이 있습니다.

 

And they employ bumblebees.

그 농장은 뒝벌들을 이용합니다.

 

And they're quite efficient in pollinating all kinds of things,

그 벌들은 아주 효율적으로 모든 종류의 식물들을 수분시키어

 

so bees are very happy to live inside as long as you give them their food, so it's being done as we speak.

그 벌들은 자기들 먹이만 제공된다면 실내에서 사는것을 행복하게 여기며

말하디시피 그렇게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So that's great. I'm glad I could answer that question, actually.

따라서 잘 됐지요. 그 질문에 대답할수 있어 반갑습니다.

 

But the next question is,

그런데 다음 질문은

 

"Why is it that roots of plants in pots may rot with too much water, but roots in hydroponic systems do not?"

화분내 많은 물이 있는 경우 뿌리가 썩을수 있는데 수경재배에서는 뿌리가 왜 안 썩나요?

 

REHM

Good question. 좋은 질문이에요

 

DESPOMMIER

It is a good question... 좋은 질문입니다.

 

REHM

Yes. 네

 

DESPOMMIER

…'cause root rot is a big problem with home growers for all kinds of decorative plants, et cetera.

가정에서 장식용 식물이나 그 외 식물 종류에서는 뿌리썩음병이 큰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Well, the answer to that is that too much of anything is not good for anyone.

그 질문에 대한 정답은 너무 많은 것은 누구에게나 좋지 않습니다.

 

And I think that was first said by Socrates (laugh).

제 생각엔 소크라테스가 먼저 말했다고 봅니다(웃음)

 

REHM

Yeah. 네 ?아요

 

DESPOMMIER

So, you know, overdoing anything for plants --

따라서 식물에게 과도한 어떠한 영양공급은

 

but the thing that makes it work for hydroponics is the fact that you're giving them just the right amount of nutrients and the root systems are very healthy.

수경재배의 제대로 된 운영법은 적정량의 영양분만 준다면 아주 건강한 근권계가 형성된다는 점입니다.

 

And they've worked all this out.

그래서 잘 유지가 되었다는 점이지요.

 

I mean, actually, I mean, I'm not a plant scientist,

제 말씀은 저는 사실 식물학자는 아니여서

 

so I can't give you the technical reason for that,

기술적 이유를 댈수는 없지만

 

but it does work and you don't get root rot with hydroponic plants.

수경재배식물에 대해서는 뿌리썩음병이 발생하지 않는것에 대해서는 맞습니다.

 

REHM

All right. Let's go to Raleigh N.C. Good morning, Bart, you're on the air.

자. 노쓰캐롤라이나주 라레이로 가보죠. 바트씨 방송가능합니다.

 

BART

Hi, Diane. Thanks for taking my call. I'm a...

안녕하세요 다이앤씨 제 전화를 받아주셔서 고마워요 저는..

 

 

REHM

Sure.

저도 반가워요

 

BART

...huge fan of your show.

당신 쇼의 왕팬입니다.

 

REHM

Thank you.

감사합니다.

 

BART

I just wanted to bring up a 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that's produced for livestock production and topsoil erosion in this country.

제가 제기하고 싶은 논지는 가축용 사료와 우리나라의 표토침식과의 관계입니다.

 

Supposedly 85 percent of topsoil erosion in this country is related to the food that's being fed to livestock.

추정컨대 우리나라의 85%의 표토침식은 가축사료 공급과 연관이 되어 있다고 봅니다.

 

80 percent of our corn, 90 percent of our soy, 95 percent of our oats are being fed to livestock,

옥수수의 80%, 콩의 90%, 귀리의 95%가 가축에게 먹여집니다.

 

so one issue that's not brought up I think frequently is

그래서 자주 거론되지 않은 주제는

 

the fact that changing our eating habits and switching to a more vegetarian or vegetarian leaning diet would be -- have a huge impact on our food.

우리들의 식습관 변화와 채식으로의 전환 또는 채식에 의존하는것이 우리들 음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입니다.

 

Which even though I applaud, you know,

이점은 제가 환영하지만, 있잖습니까

 

people who come up with creative solutions to the situation that we can't meet our food demand,

우리들이 충족하지 못하는 식자재 수요에 대한 상황에 창조적 해결책을 들고 나온 사람들은

 

would like to see more attention being paid to changing our eating habits perhaps to meet our demands.

우리들의 식습관 변화가 식자재 수요를 채울수 있다는 점을 더 주목하고 싶을겁니다.

 

REHM

Dickson?

데포미어 교수님의 의견은요?

 

DESPOMMIER

Well, yeah, there is a movement afoot now particularly in urban centers for fresher produce, for healthier diets, for locally grown things.

음, 맞습니다. 특히 도심지역에서는 지역 농산물, 더 신선한 식자재와 더 건강한 다이어트식을 원하는 운동이 진행중입니다.

 

The books produced by Michael Pollan certainly address this issue.

마이클 폴런이 저술한 책이 그 점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And, in fact, one of his called "The Omnivore's Dilemma" is required reading in my course that I teach,

그리고 그의 ‘다식주의자의 곤경‘이라는 저서는 저의 강의 필독서에 포함되어 있어

 

so I totally agree with this listener that says that our food supplies being diverted off into,

저는 전적으로 우리들의 식자재 공급이 정상궤도를 이탈하였다고 말씀하시는 청취자분과 동의합니다.

 

let's say, commercial meat producing ventures.

말하자면 상업적 육류 생산 사업체들말입니다.

 

I think if we had open range buffalo, bring back the buffalo (laugh), you know,

제 생각엔 우리가 들소 방목 목장이 있다면, 들소들을 다시 방목시킨다면(웃음), 있잖습니까

 

Ted Turner's approach to raising livestock on open land,

테드 터너의 방목지에서 가축 키우기 시도의 경우처럼

 

you'd restore the grasslands and

초지를 복구하게 되고

 

you'd still have your meat at the same time

그래도 여전히 동시에 육류를 공급할수 있게 될것이며

 

and you wouldn't have to feed them all these other things.

가축에게 다른 사료를 먹이지 않아도 될것입니다.

 

And by the way, you should've also mentioned --

어찌?쨈彭??여러분도 또한 언급하셨을겁니다.

 

I'm sure you're aware of this,

제가 청취자 여러분들이 잘 알고 계시리라 믿는것은

 

that if you feed cattle, particularly in cattle stalls where they're being held just before going off to the slaughter house, a high corn diet, that you'll select for E. coli 0157 strain H7,

가축에게 사료를 먹일때, 특히나 도축장에 가기 전에 대기소에서 고함량 옥수수 사료를 먹이면 E.coli 0157 변종인 H7 균을 발생시킨다는 점이며

 

which is, of course, a kidney toxin producer and people die from this thing,

그 질환은 신장에서 독소가 발생하여 사람들을 사망하게 만드는 것이며

 

so we've had outbreaks of food diseases traceable back to the way we treat our animals.

이미 우리는 식재료관련 질병발생을 겪어 어떻게 가축을 키우는지도 조사도 가능했지요.

 

REHM

All right. Thanks for calling, Bart.

자 통화해줘서 감사합니다, 바트씨

 

Let's go to Maggie in Fort Worth, Texas. Good morning to you.

이제 텍사스주 포트워쓰의 매기씨입니다. 안녕하세요

 

MAGGIE

Thank you. Such a wonderful topic.

안녕하세요. 훌륭한 주제입니다.

 

I am an urban organic gardener.

저는 도심 유기농 농부입니다.

 

I have a half acre, which doesn't sound like a lot, but on a couple of a hundred square feet of that,

저는 반 에이커-2023.4㎡, 1,224평-가 있는데 넓게 보이지는 않지만 2백 평방피트입니다.

 

I can grow way too much for just myself and I give it away, I freeze it, I can it.

저는 저한테는 차고 넘치는 양을 재배할수 있는데 넘치는 농산물은 나누어 주고, 냉동시키고 통조림을 만듭니다.

 

And there are a lot of good approaches.

많은 시도가 있는데요

 

I practice little things around the yard.

땅에 약간의 시도들을 해본답니다.

 

I have put in a little keyhole garden, which is great in Africa you hear about and I'm trying that.

제가 작은 구덩이 정원을 팠는데 여러분도 아프리카에서는 효과가 좋았다고 들어본바 있듯이 저도 시도하고 있습니다.

 

Mine is an edible estate.

제것은 식재료용 텃밭입니다.

 

I do all this gardening in my front yard because

제가 앞마당에서 텃밭재배를 하는 이유는

 

my dogs would tear it up if I put it in the back,

제가 뒷마당에 지어 놓으면 강아지가 물어뜯기 때문입니다

 

so I'm experimenting with a lot of these things, but

저는 여러 다른 방법들을 실험하고 있는 중이지만

 

what I discovered as an urban gardener is that I don't think Americans really understand the cost of our food.

제가 도심농부로서 파악한점은 미국인들은 식자재의 가격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And when you grow your own, you know what goes into it and what involves healthy soil and all and kind of riffing back to the last hour,

직접 키울때는 땅에 어떤 재료가 투입되며 무엇이 건강한 토양인지 알수 있게 됩니다.

 

I think our whole economy is based on misunderstood costs and things.

제 생각엔 미국의 전 경제는 잘못 인식된 가격과 관행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I think we're not spending enough on our food, good food, and we're spending more stuff -- 제 생각엔 미국인들은 우리의 식자재, 좋은 식자재에 제대로 지불하지 않고 있으며 다른 것들에 대해 더 소비하고 있는데

 

we're buying more stuff from other places that are subsidized by other people.

타인들이 보조금을 지불한 지역으로부터 더 많은 산물을 구입하고 있다고 봅니다.

 

Do you understand what I'm saying? Our economy is kinda messed up and part of it is our food cost.

제말을 이해하시나요? 저희 경제는 다소 엉망이며 그 문제들 중 일부는 식자재 가격입니다.

 

DESPOMMIER

Right. Well, your -- I have to agree with you on many of the things that you've said.

맞아요. 음, 당신의, 말씀하신 여러 사항에 동의해야 할것 같군요.

 

I think we -- we're a commercial food producing nation and

제 생각엔 우리나라는 상업목적의 식량생산국가이고

 

we actually export about 80 percent of what we gr

ow to other countries, so

우리가 재배한 80%의 식량을 외국에 수출하고 있어

 

we are considered the world's bread basket.

미국은 세계의 식량바구니라고 할수 있습니다.

 

We actually import 80 percent of our seafood, however.

하지만 해산물의 80%를 수입하고 있지요.

 

So why do we have this disconnect between what you grow in the soil and what you collect from the ocean?

따라서 왜 우리는 땅에서 재배하는 것과 근해에서 잡는 해산물과 단절될까요?

 

And the answer is, of course, from agricultural runoff that we've produced based on all this farming,

정답은 물론 관행농업에 의해 발생하는 농업 방출물로서

 

that we've now polluted our estuaries to the point that they're no longer harvestable.

더 이상 수확할수 없을 정도로 근해를 오염시켰기 때문입니다.

 

So we get all of our seafood from other places because we've despoiled all of this.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바다를 오염시켰기 때문에 해산물을 타국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And if you look around the world, the same thing's going on.

세계를 바라보면 똑같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So all forms of urban agriculture are viable, provided of course, that you have safe soil to begin with.

모든 형태의 도심농업은 형성이 된다면 자생력이 있으며 거기서 안전한 토양을 확보하게 됩니다.

 

And in inner cities, you know, with all the leaded gasoline that was used before they banned it, those soils are tainted.

도심 내부에서는 말이죠, 금지시키기기 전에 유연 석유에 의해 토양이 오염됩니다.

 

So you have to be really careful about what you do in terms of soil based agriculture.

따라서 관행농업의 관점에서는 정말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REHM

There is another e-mail there...

다른 이메일이 도착했네요

 

DESPOMMIER

Indeed.

그렇군요

 

REHM

...for you to read.

읽어주시죠

 

DESPOMMIER

Okay. I'm gonna put my glasses on here (laugh).

좋아요. 안경좀 써야겠어요(웃음)

 

REHM

Okay.

읽어보세요

 

DESPOMMIER

And this one says, "I heard the guest say that the Midwest is blessed with topsoil.

여기 적혀져 있기로는 ‘ 저는 초대손님이 중서부는 축복받은 표토 지역이라고 말씀하신 것으로 들었습니다’

 

Here in Illinois, the farmland has been planted with corn year after year."

여기 일리노이주에서는 농토가 매년 옥수수를 경작하고 있습니다.

 

I'm sorry, "The farmland that has been planted with corn year after year is about five feet lower than virgin land, has to be enriched with fertilizer.

죄송한 말씀이지만 매년 옥수수 농사를 짓는 농토는 처녀지보다 30센티 낮아 비료로 보강해야 합니다.

 

And meanwhile, the corn subsidies have caused farmers to plant corn in lieu of other crops.

반면에 옥수수 보조금은 다른 품목 대신에 옥수수만 재배토록 야기시켰습니다.

 

And ways have to be found to use all that corn. This has to change."

그 옥수수들을 활용하는 방법들을 찾아내야 하며 기존 시스템은 변화해야 합니다.

 

You know, I'm not gonna start attacking the commercial growers of this country.

에, 저는 상업농부들을 공격할 의도는 없습니다.

 

I think they've done a wonderful service for this country in terms of generating income for people and creating jobs and things like this.

그들은 임금창출, 직업창출 그 외 여타등등 분야에서 미국을 위해 훌륭한 일들을 했다고 봅니다.

 

I also have deep empathy for people that are in dire need of fresh produce every day and

저는 매일 신선한 농산물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깊은 공감을 합니다.

 

I think there's no conflict here as long as we can solve the problem by moving some of the kinds of farming that produce food for people rather than cattle or rather than the value added products to places where we live.

제 생각엔 문제 해결을 목축업이나 가치가 증가된 농산물을 거주지에 공급하기보다는 식량 생산농법에 변화를 주는한 갈등은 없다고 봅니다.

 

And we're living in cities, so why don't we move our food supplies closer.

우리는 도시에 살고 있어 식량공급을 근처에서 해 봅시다.

 

REHM

How long do you think it's going to take for these ideas to really catch on...

이런 생각들을 현실화하는데는 얼마나 걸린다고 생각하십니까?

 

DESPOMMIER

Mm-hmm.

음...

 

REHM

...really make a difference?

가능할까요?

 

DESPOMMIER

Well, you know, that's interesting because I've been in discussion with countries.

음, 흥미로운 이유는 여러 나라들과 논의를 해보아서요.

 

All right. And one of those countries is Qatar.

자. 그 나라들중 하나는 카타르입니다.

 

If you go to the Middle East, for instance, this is a non-discussion point.

예를 들어 중동에 가면, 이건 토론용 논지가 아닙니다.

 

They don't have any soil, so they're not concerned about soil erosion, because they don't have any soil.

거기에는 땅이 없어서 토양침식을 걱정 안합니다. 왜냐면 땅이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They have to import 90 percent of their produce from other places.

그 나라는 타국에서 90%의 농산물을 수입합니다.

 

They're very, very interested in something which they term food security.

그 나라 사람들은 식품 안정성에 대단히 관심이 있지요.

 

In fact, we're concerned about food security also. So you take a country like Abu Dhabi or...

실상 우리국민도 식품안전에 관심이 많는데 ‘아부다비’같은 나라를 예를 들어 보죠

 

REHM

Jordan.

요르단.

 

DESPOMMIER

...Qatar or Jordan, particularly.

특히나 카타르나 요르단

 

I've actually been to Jordan as well.

요르단에 한번 가봤습니다.

 

And all of those countries

 are very concerned about where their food comes from and how safe it is to eat.

이 나라들은 어디서 식품이 오는지와 식용하기에 얼마나 안전한지에 관심이 많아

 

So they're all considering these other approaches. And of course, they have no water, either.

다른 시도들도 고려하고 있는데 물론 물은 전혀 없지요

 

REHM

I was about to say...

저도 그점을 말할려던 참이었습니다.

 

DESPOMMIER

Sure.

물론이지요

 

REHM

...they're gonna have to import that...

수입을 해야

 

DESPOMMIER

That's right.

맞아요

 

REHM

...as well.

하지요

 

DESPOMMIER

Well, if you drilled deep enough, you can find water, but you don't have enough to supply an outdoor farming...

땅을 깊게 파, 물을 발견한다고 칩시다, 그런데 실외농업을 지탱해줄 충분한 물이 없습니다.

 

REHM

I see.

아! 네

 

DESPOMMIER

...situation.

그런 상황에서는

 

REHM

I see. 아! 네

 

DESPOMMIER

But you do for the hydroponic farming because it uses 80 percent less water to begin with.

수경재배를 하는 이유는 80%의 물을 덜 쓰기 때문입니다.

 

REHM

And because it gets recycled.

재활용하기 때문이기도 하죠

 

DESPOMMIER

And you recycle. That is exactly right, so -- and these countries, many of them are not poor.

재활용합니다. 정말 맞습니다, 따라서 이 나라들중 상당수는 가난하지 않습니다.

 

Jordan is an exception to that, but, of course,

요르단은 물론 예외입니다.

 

Qatar has one-third of the world's natural gas sitting underneath it,

카타르는 전세계 천연가스 매장량의 1/3을 갖고 있어

 

so it can afford to switch its agricultural initiatives from importing food to one of hydroponic indoor farming and they're very serious about considering doing this.

수입농산물을 수경재배 농작물로 전환할 재정적 여유가 있으며 현재 이점을 신중히 고려중입니다.

 

REHM

So how long before you think you might see something in Qatar?

그러면 카타르에서 그런 변화가 언제 생길거라고 생각하십니까?

 

DESPOMMIER

Sure. Well, I think very soon, as a matter of fact.

물론, 제 생각엔 실제로 바로 임박했다고 봅니다.

 

I think within the next two to three years, you'll see initiatives.

제 생각엔 2-3년 이내로 그런 변화를 보게 될것입니다.

 

REHM

Interesting. All right. Let's go now to Wendy in Stillwater Township, N.J. Good morning to you.

흥미롭군요. 자, 뉴저지주 스틸워터 타운쉽에 거주하는 웬디씨 차례입니다.

 

Wendy, are you there?

웬디씨 통화되시나요?

 

WENDY

Hello.

안녕하세요

 

REHM

Yes, go right ahead, please.

자, 말씀해 보세요

 

WENDY

Hello, this is Wendy.

안녕하세요. 저는 웬디에요

 

REHM

Yes.

자.

 

WENDY

Oh, I'm sorry, I couldn’t understand you. I'm sorry.

미안해요 못알아봐서요 미안합니다.

 

Yes. My name is Wendy Blanchard and I run a program called Arthur and Friends.

네 제이름은 웬디 브랜처드이고 ‘아더와 친구들’이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We have three hydroponic greenhouses in northwest New Jersey.

저희는 뉴저지주 북서부에서 3개의 수경재배 온실을 갖고 있습니다.

 

We have one in Orange, one in Hackettstown and one at the New Jersey state fairgrounds.

한 개는 오렌지, 또다른 곳은 해?타운, 그리고 세 번째 것은 뉴저지주 페어그라운드에 있습니다.

 

We've been operating these for two and a half years.

이 온실들을 2년반 운영해 오고 있는데요.

 

We employ 37 disabled individuals.

저희는 37명의 장애인들을 고용하고 있습니다.

 

We selected this as being a social entrepreneurship program

저희는 사회적 기업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선정하여

 

to provide employment and training for the disabled and at the same time,

장애인들에게 고용과 훈련을 제공하며

 

address the needs of urban food and localized food.

도시 식량과 지역 식량의 필요를 다루고 있습니다.

 

WENDY

One of the outcomes that we have found is that we, in a 1500 square acre greenhouse,

저희들 활동의 결과물로는 1500 평방 에이커-6,070,500m², 1,836,000평- 의 온실이며

 

are able to grow the equivalent of seven acres of fuel-grown produce.

7 에이커의 석유에너지로 생산하는 농작물을 대체할수 있습니다.

 

We've been incredibly successful with selling it to restaurants and to consumers.

저희들은 믿을수 없을만큼이나 성공적이어서 식당이나 여타 고객들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Our produce is excellent.

저희들 농작물은 훌륭합니다.

 

We say, try our lettuce, you'll never forget us. It's quite exceptional.

상치를 예를 들어보면 저희를 결코 잊을수 없을 것이에요. 품질이 단연코 명품입니다.

 

And we have received funding through the Kessler Foundation.

저희는 또한 케슬러 재단으로부터 기금을 받았습니다.

 

We will be putting in three greenhouses in Newark.

저희는 뉴워크에 3개의 온실을 설치중입니다.

 

We will be. putting in an additional one at the Orange school district.

저희는. 오렌지 학구에 한 개를 추가할려고 하는데

 

We have one going up next year, 20,000 square feet, at Ruckers University in New Brunswick,

내년엔 2만 평방피트-562평, 1,858m²-를 뉴브른스윅에 있는 루커스 대학에 증설할려고 하는데

 

all of which will be run by disabled individuals.

이 모든 것은 장애인들이 운영할 것입니다.

 

We're using an NFT system and -- which

is a nutrient film technique and we have found absolutely no drawbacks.

저희들의 운영시스템은 NFT 즉 영양박막술이라고 결점이 전혀 없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We use no pesticides, no herbicides and we use 10 percent of the water and we have no runoff.

살충제, 제초제는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10%의 물만 사용하고 방출물은 전혀 없습니다.

 

 

REHM

That sounds just terrific. Your comments, Dickson.

대단하게 보이네요. 데포미어 교수님의 의견은요?

 

DESPOMMIER

Wow.

야!-----

 

REHM

Yeah, isn't that terrific?

네, 대단하지 않습니까?

 

DESPOMMIER

No, that's great. And I...

네 대단하네요, 저는....

 

REHM

Try our lettuce, you'll never forget us. I love it. Good for you, Wendy.

상치를 맛보면 절대 잊을수 없을거라는 말, 맘에 들어요. 참 잘됐네요. 웬디씨

 

DESPOMMIER

Sooner or lata you'll try my tomata (laugh).

조만간에 웬디씨 제 토마토도 먹어보세요(웃음)

 

REHM

Yeah. Thanks for telling us about that.

아! 말씀해주셔서 고마워요.

And let's go now to Hartford, Conn. Good morning, Todd.

자, 이젠 코네티컷주 하트포트입니다. 토드씨!

 

TODD

Yes, good morning. Thanks for the program.

안녕하세요 프로그램 운영에 감사드립니다.

 

I'm C.T. Blossom and I've been growing for over 30 years using hydroponics,

저는 C.T. 블라썸이며 수경재배를 30여년간 해오고 있습니다.

 

which means it's working water and that's why the roots don't rot 'cause there's oxygen mixed in.

이 방법은 기능성 물을 사용하며 뿌리가 썩지 않는 이유는 산소가 섞여 있기때문입니다.

 

And I worked in poor cities.

저는 저소득 도시에서 일했습니다.

 

Hartford's one of the poorest cities in the country in the richest state 핫포드는 가장 부유한 주중 가난한 도시들중 하나로

 

and building solar green houses.

태양광 온실들을 짓고 있으며

 

And those are all actually free 'cause -- or even profitable because

온실들이 사실 공짜나 다름없는 이유는 또는 수익성이 있기도 한 이유는

 

if you need a new roof, you can put a solar greenhouse on there.

새지붕이 필요시 태양광 온실을 설치하면 됩니다.

 

And you can also do what's called integrated where you use -- grow fish as well,

또한 통합적으로 운영할수 있으며 물고기도 키울수 있는데

 

which has only a one to one feed ratio,

1대1 비율로 사료를 주는 방식이라

 

so it's very, very efficient and, you know, very, very clean

아주, 아주, 효율적이며 음, 아주 청결하고

 

and I've developed some organic techniques as well and even a little suitcase garden,

제가 유기농 기법을 개발했으며 작은 케이지 온실도 개발했는데

 

which I've made over 100 of them for just $150, I do free shipping and I sell, you know, to schools and individuals and they can just grow their own.

150$용 100여개를 제작해 무료 택배로 직접 재배할수 없는 학교, 개인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Throw a bunch of water cress, a bunch of seeds and come back a month later and just start picking.

물갓냉이 한다발, 열매 한 움큼을 뿌려놓으며 한달후 돌아오면 수확할수 있습니다.

 

REHM

Todd, you're just a genius, clearly. You're doing wonderful work.

토드씨 당신은 진짜 천재군요. 정말 대단한 일을 하고 있어요.

 

And you're listening to "The Diane Rehm Show."

여러분은 지금 다이앤 림 쑈를 청취하시고 계십니다.

 

Let's go to Naples, Fla. Good morning, John, you're on the air.

플로리다 네이플즈으로 가볼까요. 안녕하세요 존씨, 방송가능합니다.

 

 

JOHN

Yeah, thanks a lot for taking my call.

네, 제 전화를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REHM

Sure.

천만에요

 

JOHN

I just wanna say thanks to everybody that

모두에게 고맙다고 말하고 싶은것은

 

you've talked to this morning who's doing such a great job working on this issue and trying to make an impact

여러분들이 오늘아침 훌륭한 일을 하고있으며 영향을 끼치고 있는 분과 대화를 나누며

 

and I couldn't say how appreciative I and a lot of other people are of that, but

저와 많은 다른이들이 얼마나 고마운지 말할수 없지만

 

I wanna talk to the two-thirds of America that's either overweight or obese

제가 2/3의 과체중이나 비만의 미국인들에게 말하고 싶은것은

 

and I wanna talk about the Twinkie and it seems to me like the Twinkie at one point was nutrition.

스펀지 케이크이며 이것은 나로서는 영양덩어리였지요.

 

At one point, it was plants and other pieces of nutrition that was put together into this piece of poison that's now killing our country and there's a million examples of it, but

어느땐가 식물과 다른 영양성분들이 이 해로운 식품에 넣어져 이젠 미국인들을 죽게 만들고 있으며 수많은 사례가 발견되지만

 

the Twinkie's just an easy one because not only of the corn and the food that you took and you poison, but

스펀지 케이크는 옥수수뿐만 아니라 여러분이 먹고 오염시키는 음식이기 때문에 발견하기 쉬운 종류이지만

then we had to truck it here and fly it here and get it here.

저희는 지상과 공중으로 수송해야 하며 구해야 했지요

 

I just think individuals in our country,

제 생각엔 미국인들 각자가

 

if they could just make a couple healthier choices, try to get in better shape, try to eat right, try to eat in a healthy, lean fashion

두배로 건강한 선택, 더 낳은 몸매, 바르게 먹기, 건강하고 산뜻한 방식으로 먹기를 한다면

 

and then the people of the marketplace will start buying all these products that your wonderful guests and callers have been talking about all day.

시장고객들은 여러 훌륭한 대담손님들과 통화 시청자들이 종일 말하고 있는 제품들을 구매하기 시작할것입니다.

 

So I just want people to know that turning food into poison is a big part of the problem, too.

이에 저는 식품을 불량식품으로 만드는것이 큰 문제라고 국민들이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DESPOMMIER

Well, this is -- sounds like you could help me teach my course (laugh) in medical ecology.

음, 그 사실은 저의 의학 생태학 강의에서 저를 도와주실수 있을것 같군요.

 

I mean, that's the big point is that the longer the shelf life of a product,

제 말은 제품의 유통기한이 길수록

 

the probability is that it doesn’t do much for your nutrition except to add a few more calories to an already over-caloried diet.

영양공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과칼로리 식단에 칼로리를 추가할 개연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Michael Pollan, again, harking back to him and people like Alice Waters as well for the slow food movement, for pushing the idea of at least eating organically.

마이클 폴런과 앨리스 워러스같은 사람들의 슬로우 푸드운동 이야기와 유기농식 추구를 다시 들어볼때

 

And that's a loaded term, too, because if you go to the USDA website,

부담이 되는 조건인 이유는 미국농무성 홈피에 들어가 보면

 

they can't tell you what organic means. It's got about 15 different definitions, but

무엇이 유기농인지 알수가 없다는 것인데 약 15개의 다른 정의가 있습니다만

 

when you're controlling everything in an indoor farm with all the nutrients that you know are sitting there in front of you and

여러분이 실내농장에서 모든사항을 조절하고 여러분이 알고 있는 영양분들이 눈앞에 있을때

 

you add them to the water and you give them to the plants, there's nothing else in that plant except what you know.

물에 그것들을 집어 넣고 식물에 주면 여러분이 아는것 외엔 다른 것들은 일체 없게 되지요.

 

In fact, you can do a chemical analysis afterwards to prove that there's no harmful heavy metals or pesticides or things like this

실제로 화확분석을 후에 실시해서 입증하면 유해 중금속, 살충제, 또는 그런것들이 없어

 

that we really don't have a readout on in the food that we have to buy now

현재 구입해야 할 식품에는 그런 성분 정보가 없게 됩니다.

 

We have to trust the farmers and we get a lot of food produced from other places in the world, too,

우리는 농부들을 신뢰해야 하며 많은 외국 식품들도 구입해야합니다만

 

so we're not really sure of what's going into our food, to be honest with you.

솔직히 말하자면 현 식품들에 어떠한 것들이 첨가되는지 확신할수 없습니다.

 

REHM

It's interesting that First Lady Michelle Obama...

흥미로운 것은 영부인 미쉘 오바마 여사는 ...

 

DESPOMMIER

Yes.

 

REHM

...by her very example, is trying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growing nutritious food.

그녀의 사례에 의하면 영양가가 있는 식품 재배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네요

 

DESPOMMIER

Absolutely. Yes. I couldn't agree more with that, in fact. I'm a big fan.

물론이지요. 맞아요. 절대 동감합니다. 저도 사실 영부인의 왕팬입니다.

 

 

REHM

She's doing a good job. And finally, let's go to Rolla, Mo. Good morning, Andy.

훌륭한 일을 하시고 계십니다. 마지막으로 미주리주 롤라로 가보죠. 앤디씨 안녕하세요

 

ANDY

Hi, Diane. Thanks for having me on.

다이앤씨 전화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REHM

Very quickly, please.

부탁같지만 아주 빨리요

 

ANDY

Sure. I just want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n this -- with this topic that

물론입니다. 제가 중요하다고 밝힐 주제는

 

as we're talking about the farmers and maybe being unwilling to change their habits of farming,

농부들에 대해 담화할때 농업관행의 변화를 마지 못해할지도 모르는 많은 이유는

 

that a lot of this comes -- you know, it's a rough economy out here.

많은 이유는, 있잖습니까 시골은 경제가 힘든 지역이잖아요.

 

And especially with growing produce,

특히나 농작물 재배하는 곳은요

 

the labor costs are just unbelievable and that really detracts from it.

인건비가 대단해서 변화로부터 멀어지게 되지요

 

And this technology like we're talking about here is very, very important to

우리가 말하고 있는 이 신기술은 아주 아주 중요해서

 

get the extension program from universities to get this technology into the hands of farmers

대학에서 연장강좌를 개설하여 이 기술을 농부들에게 전수할수 있으면

 

so they can use this type of thing.

농부들은 이 기술을 사용할수 있겠지요

 

But with the current economy right now,

하지만 현재의 경제상황에서는요

 

you look across the state and the extension program from the universities is kinda -- it's the first things to go, such as being dismantled. And

전국적으로 대학의 이 분야 연장강좌를 찾아본다면 처음 시작하는 시도라 알려지기엔 다소 생소하며

 

it just seems really important that as our agriculture does need to be changing,

우리 농업이 변화할 필요만큼이나 아주 중요한듯 보이며

 

that we're losing the ability to change it because this information isn't gonna get from the researchers to the growers.

변화를 할 능력을 잃을것 같은 이유는 정보가 연구가들로부터 농부에게 전달되지 않을것 같기 때문입니다.

 

DESPOMMIER

I totally agree.

저도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I think the United States needs to develop a national program for urban agriculture and vertical farming figures into that very prominently, I think.

제 생각엔 미국정부가 국가적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 도심농업과 수직농업을 대폭 인식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REHM

Dickson Despommier, he's author of "The Vertical Farm: Feeding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Good luck to you.

딕슨 데포미어 교수님, 21세기를 먹여살리는 수직농업의 저자, 행운을 빕니다.

 

DESPOMMIER

Thank you very much.

감사드립니다.

 

REHM

And thanks for listening. I'm Diane Rehm.

청취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이앤 림이었습니다.

 

Comments

청취자 소감:

 

Grady Lee Howard wrote:

그래디 리 하워드씨 글:

It is better to discuss proposed solutions to unavoidable problems than to dwell on the problems and distribute blame.

회피할수 없는 문제에 대한 제안된 해결책을 문제에 머무르며 비난을 퍼트리는 것보다 토론하는 것이 더 낳습니다.

 

Books are a convenient initiator of productive discussion.

책은 편리한 생산적 토론의 동기부여 촉진제입니다.

 

No person or book can correctly predict the future, but

어떠한 사람이나 도서도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수는 없으나

 

can educate us directly and reactively, so that

직접적이며 반사적으로 교육시킬수 있기에

 

we are not complacent and in denial.

만족하지 않으며 부정하지 않습니다.

 

; Read the book, promote books, but get beyond the text.

그 책을 읽어보세요, 홍보하세요, 다만 문맥 너머를 보세요

 

Move toward tangible solutions under actual conditions.

실제 상황에서 느낄수 있는 해결책을 지향하세요

 

We doom lives when we sit on our hands and assets.

우리 자신과 자산에만 안주할 때 미래는 어두워 집니다.

 

See how Diane handles this subject matter.

다이앤씨가 이 주제를 어떻게 다루는지 보세요

 

I'll bet she's read most of the book and other material.

그녀는 책 대부분을 일독했고 다른 책도 봤을거라고 확신합니다.

 

She and her staff work hard!

그녀와 운영진들은 열심히 일하거든요

 

Remember that individual pledges counterbalance business underwriting and large gifts that may carry vested interest.

기억하세요 개인적 약속은 비즈니스 운영과 기득권이 생길수 있는 큰혜택과의 균형을 맞춘다는 사실을

 

People could speak through public radio were they of a mind to.

대중은 준비된 마음이 있다면 라디오 방송에서 의견을 표출할 것입니다.

 

 

October 5, 2010 - 10:15 am

Earla wrote:

얼라씨 글:

 

My husband and I have noticed that a lot of the farm land in Indiana is being sold for either new housing or commercial businesses.

제 남편과 저는 인디애나주의 많은 농지가 신축이나 상업용으로 팔리고 있는것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If the people don't start taking care of the farm land we're not going to be able to feed the people of the US.

농지를 돌보지 않게 된다면 미국민들을 먹여 살릴수 없게 될겁니다.

 

October 5, 2010 - 10:22 am

Linda Carter wrote:

린다 카터씨 글:

The University Church here in Toledo, OH has the calling to work on hunger issues in our city.

이곳 톨레도의 유니버시티 교회는 도심 기아문제를 해결하는 소명을 갖고 있습니다.

 

We are working on converting our land to a community garden.

저희는 저희 토지를 지역 농원으로 전환을 하고 있습니다.

 

We have received a grant to begin a vertical garden project and

저희는 수직 정원 프로젝트 허가를 취득했고

 

have a Vista volunteer working with us to make this project work.

이 계획을 실현시키는 Vista(Volunteers in Service to America-미국 빈곤 지구 자원봉사 활동) 자원봉사자과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Our church is excited about the possibilities for making a difference in our neighborhood.

저희 교회는 저희 이웃에서 이룰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기뻐하고 있습니다.

 

We pray for the hungry by devoting our resources to actually growing

food.

저희는 저희들의 자산을 투신하여 식자재를 키워 기아인들에게 도움이 되길 기도합니다.

 

We hope that our demonstration garden will spark more interest in our city to help more people to grow their own food.

저희는 저희의 시범농원이 저희 시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식자재를 재배할수 있는 도움의 손길이 퍼져나가기를 바랍니다.

 

 

Linda Carter

 

October 5, 2010 - 10:36 am

karenpool wrote:

카렌풀씨 글:

I live in Columbia IL, rural farm community of Greater St Louis.

저는 일리노이주 콜럼비아의 그레이터 세인트 루이스 전원농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My neighbor is one of many that plants corn/soybeans.

저의 이웃은 콩, 옥수수를 재배하는 사람들입니다.

 

The vast amount of land available in the bottoml

ands of the river is being wasted on products that do not FEED us.

강 저지대의 대단위의 경작 가능한 땅은 미국민들을 먹여살리지 않는 품종들 때문에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But as I understand, the farmers are stuck, regulated and fined if they do not grow these products.

제가 기억하는한 농부들은 이 품종들을 재배하지 않으면 탄압받고 규제당하며 벌금을 물고 있습니다.

 

One hand feeds the other, Monsantos of the world develop new strains, develop new pesticides/herbicides and profit from that.

저희 농부들은 한편으론 신품종과 농약을 개발하여 이득을 챙기는 몬산토 회사를 키워주고 있습다만

 

Yet, the amount of real food that could be grown on this land could feed the state of IL and MO!

이 지대에서 키울수 있는 수확량만으로는 일리노이주와 미주리주만을 먹여살릴 수밖에 없습니다.

 

 

The local supermarkets purchase as far away as Chile and S. Africa for produce.

지역 슈퍼마?은 멀리 칠레와 남아프리카 농산물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Can't the farmers be supported to urge them to grow fruits, vegetables, etc instead of corn and soybeans??

진정 농부들은 콩과 옥수수 대신 과일과 야채를 재배할수 있도록 지원받을수는 없는건가요??

 

October 5, 2010 - 10:40 am

ssallyd1939 wrote:

ssallyd1939 글:

While I applaud the concept, and fully support any ways or means of cutting down on agricultural waste,

저는 이 개면을 환영하고 농산물 폐기물을 줄이는 그 어떤 수단도 찬성하지만

 

I have to say that in my opinion hydroponic vegetables, particularly tomatoes are virtually tasteless.

제 의견엔 수경재배 야채는 특히나 토마토는 아주 맛이 없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Is there any way of improving this without involving more damaging chemicals?

유해한 화학제품을 쓰지 않고 개선시킬수 있는 방법은 있을까요?

 

Thank you,.

감사합니다.

 

October 5, 2010 - 10:45 am

maryloulistener wrote:

매리루리스너 글:

in the 60s my brother-in-law farmed in St. Joseph County, IN

60년대 인디애나주 세인트 조셉 군에 살고 있던 이복형(또는 처남)은

 

and built a hydroponics in order to grow fresh food for his cows.

자신의 소에게 먹일 용도의 신선한 풀을 키우기 위해 수경재배사를 지었으며

 

He also planted a few vegetables for his family.

또한 가족용 야채들도 약간 식재했습니다.

 

He built a particular building and

그는 특별한 건물을 지었고

 

I recall he had to maintain certain atmospheric controls as well as a purchase a particular mixture we called fertilizer for the product growth and health.

내 기억으로는 건강한 성장을 시키기 위해 비료라고 하는 특정 혼합물을 구입함과 아울러 특정 대기조절 장치를 운영했어야 했는데

 

It was wonderful for his milk cows and for the family.

가족과 젖소들을 위한 탁월한 선택이었습니다.

 

Would this type situation not be costly for the farmer in a large scale situation?

이런 종류의 상황이 대규모로 할때는 농부들의 비용지출을 덜수 있을런지요?

 

 

October 5, 2010 - 10:58 am

Diane Big Green... wrote:

다이앤 빅그린 글:

This is a brilliant idea, especially if it can be executed organically.

이 제안은 특히나 유기농으로 실행가능하다면 훌륭한 생각입니다.

 

The more we can produce food with minimal environmental impact, the better.

환경에 대한 충격을 최소한으로 줄여 식량생산을 할수만 있다면 금상첨화겠지요.

 

October 5, 2010 - 11:03 am

Rosalie Regnante wrote:

로잘리 레그낸티씨 글:

Thanks so much for the program, Diane.

다이앤씨 프로그램에 감사드립니다.

 

I have been an organic gardener/farmer for over thirty years.

저는 지난 30여년간 유기농을 해온 농부입니다.

 

So happy to hear comments from others.

다른 청취자분들의 소감을 보니 반갑군요

 

I came away with some new ideas;

몇몇 아이디어가 생각났네요

 

recently, I visited an urban greenhouse in a very poor city-Camden, NJ.

최근 저는 뉴저지주의 빈민도시인 캠든에 있는 온실을 방문했습니다.

 

As part of a Catholic school organization, Sacred Heart School, Ferry Avenue, Camden, NJ has a greenhouse.

카톨릭 학교재단인 쎄이크리드 하트 학교에는 온실이 있습니다.

 

The school children have growing projects and the products grown are distributed to the community.

학생들은 재배 과제를 수행하고 있고 수확물들은 지역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The last time I visited I commended their efforts.

지난번 방문했을때 제가 학생들의 수고에 대해 칭찬을 했습니다.

 

Hopefully, now I will have something concrete to offer in terms of advice and improvements.

제 희망은 더 구체적인 조언과 개선책을 제시하고 싶은 것입니다.

 

Maybe I can make a difference in a small way.

소규모로 한다면 아마 구체화 될수 있다고 봅니다.

 

Your show and your guests' discussions gave me the insights I needed to think their problems through.

본 토크쇼와 참여 손님들의 의논이 제게 학생들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통찰력을 주었습니다.

 

October 5, 2010 - 11:07 am

Frank Betoulaud wrote:

프랭크 버토로드씨 글:

I have been involved in aeroponic (an advanced form of hydroponics) agriculture and

저는 기경재배(발전된 형태의 수경재배)에 종사하고 있는데

 

the method we grow (without soil or a growing medium) magnifies the taste and aroma of the produce.

이 방법-무토양 또는 무배지-은 농작물의 맛과 향을 증진시킵니다.

 

When the University of Arizona needed to produce very high quality plants, they used an aeroponic system.

아리조나 대학이 고품질 농작물 생산을 필요로 할때 기경재배법을 이용합니다.

 

It's cleaner, less labor intensive, is 99% water/plant nutrient efficient.

이 방법은 더 청결하고 노동력이 더 절감되고 99%의 액체비료 효율이 있습니다.

 

It grows food up to 45% faster than in dirt.

토양재배보다 45%까지 수확률이 더 많습니다.

 

In some cases, the system is fully closed-loop, so there is zero agricultural/fertilizer run-off.

몇몇 사례에서는 이 시스템은 밀폐형 구조여서 농업용 비료 방출이 0이 됩니다.

 

If the system is vertical, there is up 4-5X higher yield per square foot.

수직농장에 적용이 된다면 평방피트당 4-5배 더 높은 수확량이 있게 됩니다.

 

As far as hydroponics being tasteless,

수경재배가 맛이 없다고 하는데

 

it has to do more with that particular grower than the method.

그 이유는 방법론보다 특정 농가들과 연관이 더 있습니다.

 

One can produce a lettuce that has very little taste if the plant nutrients are not there.

영양분이 없는 액비를 쓰면 맛이 아주 미약한 상치를 수확하게 될수 있습니다.

 

If the grower chooses to include all the nutrients that the plant really requires,

재배자가 식물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모든 영양분을 포함시키게 된다면

 

that produce will taste better than anything you can get on the shelf.

그 농작물은 선반에서 키우는 그 어떤 것보다 맛이 좋게 될것이며

 

It will be fulll of aroma.

풍미로 가득찰 것입니다.

 

At the end of the day, it makes sense to re-evaluate the way we grow food.

시대가 저물때 기존 관행농법을 재평가하는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If there is a better way to do it, why not do it?

더 나은 방법이 있다면 못하란 법도 없지 않습니까?

 

Aeroponic agriculture is commercially viable on a large scale.

대규모 기경재배법은 상업적으로 통용될수 있습니다.

 

Furthermore, the produce can be grown USDA "Certified Organic" by ensuring the plant nutrients and the seeds are organic.

더더구나 유기농 식물영양분과 종자를 확보함으로써 미농무성 인증 작물로 재배할수 있습니다.

 

 

-------------------------------------------------------

 

The Motley Fool Interview with Dickson Despommier

딕슨 데포미어 교수의 미국 경제시사 라디오 토크쇼 ‘모트리 풀 머니’ 인터뷰 전문-아쉽게도 Mp3파일을 찾을수가 없네요

10/22/2010 4:15:39 PM

 

To listen to the full interview, click here (sorry the file isn't embedded!).

인터뷰 내용을 청취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미안합니다. 파일이 저장안되었군요)

 

It's an interesting topic to think about--if vertical farms become widely adopted, how will farm stocks react?

수직농장이 폭넓게 수용된다면 농장주식은 어떻게 될지 흥미로운 주제이군요.

 

Frankly, I have no idea. (How heavily should I rely on opinions of financial "experts" in light of, ahem, recent missteps?)

솔직히 모르겠습니다(최근의 음! 실책에 비추어 볼때 얼마나 크게 재정 전문가들의 의견에 의지할수 있을까요?)

 

In any case, the interview gives Chris Hill at Motley Fool a chance to ask some questions that investors will undoubtedly want to ask, as many people are now starting to see urban agriculture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growth industries for the coming decade.

여하간, 이 인터뷰에선 ‘모트리 풀’ 진행자 크리스 힐씨가 많은 이들이 도심농업이 다가오는 10년내에 전도유망한 성장산업으로 될 것으로 보기 시작하고 있듯이 투자자들이 당연히 묻고 싶은 질문들을 문의하게 됩니다.

 

In case you'd rather read the trascript than listen, find it below:

만약의 경우 다시듣기 보다는 녹취록을 읽어보세요. 아래 전문입니다.

 

Chris Hill: One of the things that you write about is that vertical farms will allow us to eliminate the use of pesticides, fertilizers, and herbicides.

교수님이 저술한 내용중 수직농장이 농약, 비료, 제초제 사용을 근절하게 해줄것이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When I hear something like that,

제가 이소식을 처음 들었을때

 

I can't help but think of chemical companies like Monsanto (NYSE: MON) or fertilizer producers like Potash (NYSE: POT), Mosaic (NYSE: MOS), Agrium (NYSE: AGU).

몬산토, 비료생산회사인 포타쉬, 모제익, 애그리엄같은 화학회사들이 생각날수밖에 없는데요

 

They can't be happy about that.

그들이 기뻐하지 않겠네요

 

Dr. Dickson Despommier: (Laughs.) Well, in the outset, I would agree with you because we have thought a lot about this, too.

(웃음)음, 처음 시작했을때, 저도 동감했던 이유는 저희들도 그점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해 봤기 때문입니다.

 

We are not in the business of putting other people out of business, and

저희들은 다른 사람들을 사업에서 몰아내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며

 

I don't see this as a disruptive technology in terms of Monsanto or other large corporations like Cargill.

저는 수직농장을 몬산토나 다른 카길같은 대기업의 파괴적 기술로 여기지 않습니다.

 

They could make other things besides what they are making now and make just as much money.

그 회사들은 현재 제조하고 있고 돈벌고 있는 만큼 외에도 다른 품목을 제조할수 있습니다.

 

For instance, they could make chemically defined diets for these plants and charge just as much for that as they now have to charge for the production of pesticides, herbicides and fertilizer.

예를 들면, 수직농장 식물용 화확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가격은 그들의 살충제, 제초제, 비료생산비 만큼 책정할수 있습니다

 

So a switch on a dime, so to speak

, for their product, using their chemical know-how to produce well-defined, toxin-free, heavy-metal-free food,

따라서 즉각 전환해보면, 즉, 그 제품들을 그들의 화학적 제법을 이용해 잘 만들어지고 독 없고 중금속 없는 식품을 만들면

 

I think they would end up as the winners; they would end up as the heroes rather than the goats that they are right now, unfortunately.

제 생각엔 그 회사들은 승자가 될것이며 아쉽지만 현재의 놀림감 처지가 아닌 영웅이 될것입니다.

 

Hill: So no one from big agriculture is leaning on you?

그러면 일부 거대 농자재 회사들이 교수님께 의존하지 않나요?

 

You are not getting late night phone calls from ConAgra (NYSE: CAG) or Archer Daniels Midland (NYSE: ADM)?

심야에 ‘콘애그러’나 ‘아처 대이얼스 미드랜드’ 같은 회사로부터 전화가 오지 않나요?

 

Despommier: Not yet, and in fact, I made these presentations to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아직까지는요. 실은 미농무부에서 설명회를 가졌습니다.

 

where I thought I would have to use a bullet-proof vest in order to go in the room,

그곳에 갈려면 방탄조끼를 착용해야 할거라고 생각했지만

 

and they not only welcomed me with open arms, but they actually lamented the fact that they hadn't thought of doing something like this sooner.

그쪽 공무원들은 저를 대환영 했을뿐만 아니라 실제론 이런 농법을 진작 생각해보지 않았던것을 탄식했습니다.

 

So the reasons wh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is concerned is that they enable other countries in their own agricultural situations to go forward.

따라서 미농무부가 관심있는 이유는 타국가들이 각자의 농업환경에서 발전하게 해줄수 있기 때문입니다.

 

There are lots of countries out there that are in great need of agricultural solutions.

세상에는 농업문제 해결책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많은 국가들이 있습니다.

Just today, for instance, I saw something on Yahoo! News,

오늘 , 예를 들어 야후 뉴스에서 뭔가를 봤는데

 

which is, of course, the ultimate setting for news stories, right?

물론 궁극적 해결책이라는것이 아니겠습니까?

 

There is an enormous outbreak of locusts right now in Australia, of all places,

호주 도처에 거대한 메뚜기떼가 발생하여

 

eating up all these wonderful crops that they finally had a good year for.

농부들이 풍작을 이루어 놓은것을 모저리 먹어치우고 있습니다.

 

Now that is not going to happen when you grow your food indoors.

이제 실내에서 경작을 함으로써 그런일은 발생 안할겁니다.

 

You can actually lock out locusts quite nicely.

메뚜기들을 아주 쉽게 못들어 오게 할수 있으니까요

 

The other thing you can do with this too is to keep out plant diseases,

또 다른 잇점은 식물병을 몰아낼수 있다는 점이 있어

 

so there is no need for pesticides or herbicides.

살충제나 제초제의 필요성이 전혀 없습니다.

 

If you can make this food supply secure indoors,

안전한 실내에서 식량공급을 할수 있으면

 

if we can do it for people isolated in hospitals that have their immune systems compromised or that have an infectious disease that you don't want to catch,

면역시스템이 위태로워지거나 위험한 전염병이 있는 병원들에 고립된 사람들을 위할수 있다면

 

if we can do that easily now in health-care settings,

건강증진책에 도움이 될수 있다면

 

we can certainly give some health care to our plants that we eat as well.

저희는 물론 식용식물들에게 도움을 드릴수 있습니다.

 

Hill: What do you think the timing is looking like and do you have a couple of finalists, for lack of a better word, in terms of a location for this pilot project?

언제쯤 실행이 될것으로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표현하기가 부족하지만 심험프로젝트 부지를 활용할 사람들은 있나요?

 

Despommier: We actually do. I was sort of hoping that you would have asked that question, and

네 있습니다, 그 질문을 해주시길 기대했고

 

I am glad you did because we have been in discussions now, and

반가운 이유는 그 점을 토의해왔기 때문이며

 

when I say "we," there are some obvious associates of mine as well who have gotten together and

저희라고 말하는 확실한 관계자들이 함께 일해왔으며

 

said this would make an interesting company if we could parlay this into a consulting firm that would teach people how to proceed in terms of making indoor food production a livelihood for them.

수직농업기술을 활용하여 실내 식량생산법을 가르치어 생계를 잇게 만드는 컨설팅 회사를 만들면 흥미진진하게 될것이라고 말했지요.

 

 

We have been fortunate to be invited to the table in Jordan and Abu Dhabi and Dubai and Khatar.

다행스럽게도 요르단과 아부다비, 두바이, 카타르에서도 초대를 해주었습니다.

 

In those situations, where those countries have virtually no soil to speak of to feed their people, and still great need for food security and food safety issues, those would be at the top of my list, for those that are going to start to do this first.

그런 나라들은 실상 사람들을 먹여 살릴 토양이 없으며 안전한 식품확보를 할 필요가 크며 저의 고객리스트 상층부에 위치하고 있고 그런 나라들부터 시작할 예정입니다.

 

But I have also been in touch with the cities of Chicago and Seattle and Portland and San Francisco and New York City, and

하지만 시카고, 씨애틀, 포트랜드, 쌘프란씨스코, 뉴욕시와도 연락하고 있으며

 

I haven't received any flak from those people at all.

공무원들로부터 어떤 비난도 받지 않았습니다.

 

They have all been enthusiastic about the concept.

공무원들은 이 개념에 푹 빠졌습니다.

 

It's just that generating the funding for this would be the biggest difficulty.

가장 어려운 점은 이것을 하기 위한 자금 조성입니다.

 

And Newark, I should have mentioned Newark also. Newark has expressed deep interest in wanting to do this.

언급했던 뉴웍시는 실현하기를 간절히 원했습니다

 

 

Hill: All right, before we let you get away,

그렇군요. 떠나시기 전에

 

we have to wrap up with a round of buy, sell, or hold.

OX△ 돌발 구매결정퀴즈를 해볼까요

 

Despommier: Uh-oh.

어!

 

Hill: No, this is going to be fun; you'll love this.

아닙니다. 재미있을겁니다. 좋아할 거에요

 

Despommier: OK.

좋습니다.

 

Hill: Let's start with the fact that you have been a professor at Columbia for more than 35 years,

먼저 교수님은 35년 이상 콜럼비아대 교수란 사실부터 시작해볼까요.

 

so buy, sell, or hold pop quizzes.

맞습니까 틀림니까, △입니까?

 

Despommier: Oh, you mean as a student or as a professor? (Laughs.)

학생으로서요 아니면 교수로서요?

 

Hill: As a professor.

교수로서요.

 

Despommier: Oh, I'd buy them. I would buy them.

맞습니다. O입니다. O입니다.

 

Hill: Is that something that is never going to go away?

그점은 변치 않을겁니까?

 

Despommier: That is never going to go away.

그점 변치 않을겁니다.

 

How else do you judge your own success at teaching, and in other words, you get feedback from the students this way?

그 외에 어떻게 교습성공을 평가할수 있을까요? 다른 표현으로 치자면 어떻게 학생들로부터 평가를 얻을수 있을까요?

 

You don't often grade them, but you have to give them.

간혹 학생들에게 평점을 주지는 않지만 주어야 할때가 있지요.

 

Hill: All right, this is the biggest scientific challenge confronting New York City today.

자. 이번엔 뉴욕시를 상대로 한 가장 만만치 않으며 과학적인 질문입니다.

 

Buy, sell, or hold bedbugs.

침실곤충이 맞나요, 틀리나요 △입니까?

 

Despommier: Aaah, now you are into a deep area of interest of mine.

아, 당신은 제 깊은 관심영영까지 침투했네요

 

I am actually a trained parasitologist.

저는 실은 잘 숙달된 기생충학자입니다.

 

I would buy bedbug control.

저라면 침실벌레 박멸을 할겁니다.

 

I wouldn't buy the bedbugs themselves, but I would certainly buy controls that actually worked.

직접 침실벌레들을 박멸하지는 않지만 박멸하는 유용한 간접 박멸법을 이용할겁니다.

 

And we are still looking for those because it is an intractable problem of dense populations.

여전히 그 방법들을 추구하는 이유는 인구밀집지역에는 난해한 문제이기 대문이지요

 

Hill: You can buy the controls, but

교수님은 간접 박멸법을 사용할수 있지만

 

from what I have read about the problem, right now I am buying bedbugs, because they look like they are not going anywhere.

제가 문제 해결책에 대해 들은 바로는, 저는 당장 직접 박멸법을 찬성하는 이유는 벌레들은 아무데나 돌아다니지 않을것 같기 때문입니다.

 

Despommier: I see your point, all right. If I am a bedbug, I'd buy into this one, no problem.

알겠습니다. 좋아요. 제가 해충이라면 그 방법이 맞겠네요 맞아요

 

Hill: This is really big on Facebook. Buy, sell, or hold Farmville.

이번엔 진짜 어려운 페이스북 퀴즈입니다. 팜빌이 맞나요, 틀리나요 △입니까?

 

Despommier: Oh, I am going to buy that in an instant.

즉각 저는 O입니다.

 

I will buy that in a second, and I will incorporate the vertical farm concept into it, and

즉각 저는 O이며 수직농장 개념을 사업화할것이며

 

we'll ride off into the sunset on that one.

저희는 한계에 달한 관행농법의 문제점들을 해결해 나갈것입니다.

 

If you throw in Lego, I will do that one, too.

레고-창작놀이완구-가 있다면 저는 그쪽(창의적 분야)을 선택할것입니다.

 

Hill: Perfect. And finally,

완벽하군요. 마지막으로

 

this is a license plate motto that has a lot of people scratching their heads.

많은이들이 머리를 귺적이는 등록된 구호판입니다.

 

Buy, sell, or hold New Jersey as "The Garden Stat

e."

‘정원의 주‘라고 불리우는 뉴저지주는 맞나요, 틀리나요 △입니까?

 

Despommier: (Laughing) I happen to live in New Jersey, and

(웃음) 저는 뉴저지주에 살게 되었는데

 

when we gave our presentation to Newark,

뉴웍에서 설명회를 개최했을때

 

we actually used the motto, "Bring the garden back to the Garden State," but

그 구호를 ‘정원을 정원의 주로 되돌리자’라고 사용하는데

 

of course we would bring it back in another form.

물론 다른 형태로 되돌릴것입니다.

 

I would leave the Garden State as a natural wonderland and incorporate vertical farming,

저는 정원의 주를 자연의 경이로운 땅으로 남게하고 싶으며 수직농업을 회사화 할것입니다.

 

so I would buy the state, but I would convert it back to what it used to be before we got there.

따라서 O입니다만 우리 선조들이 도착했던 상태로 전환하고 싶습니다.

 

Hill: Congratulations, Doctor. I think that is the first time anyone has used the words "New Jersey" and "natural wonderland" in the same sentence.

축하합니다. 박사님. 제 생각엔 한 문장에 뉴저지주와 천연의 경이로운 땅이라는 표현을 함께 사용한 사람은 처음인것 같군요.

 

 

 

 

 

 

 

 

 

 

 

 

 

 

출처 : 로드넷
글쓴이 : 비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