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

[스크랩] 흰다리새우 양식

그린테트라 2011. 9. 27. 15:10

흰다리새우 양식


                                                        서해특성화연구센터

                                             해양수산연구사 김 봉 래

Ⅰ. 새우양식 현황

 가. ‘06 전국 양식현황

  ○ 전국 331개 양식장(1,208.3ha)에서 1,833.9톤 생산

  ○ 지역적으로 생산량의 기복이 심함(전남/전북)

  ○ 전국 평균 생존율은 20.0% 로서 최근 5년간 중 가장 높으며, 단위

     면적당 생산량 최대(1.5톤/ha)

  ○ ´05년에 비해 양식장수(72.5%) 및 양식면적(52.2%)이 축소 되었으나 생

     산량 및 생존율 향상

  ○ 전국 종묘입식량은 437,860천마리(대하 280,380천마리, 흰다리새우

     157,480천마리)

  ○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대하 1.8/ha, 흰다리새우 1.0/ha


구  분

2002

2003

2004

2005

2006

전국

생산량(톤)

2,850

2,727

2,368

1,614

1,833.9

양식면적(ha)

2,563

2,556.4

2,333

2,310.5

1,208.3

생존율(%)

20.0

19.7

19.4

13.3

20.0

단위면적당

생산량(톤/ha)

1.1

1.0

1.0

0.7

1.5


나 폐사 원인

입식초기 지속된 장마로 인한 수질환경 악화 및  아가미 섬모충 발생 등으

    로 일부지역 폐사율 증가

 ○ 흰다리새우의 입식 지연(6월중순~7월중순) 및 고밀도 입식에 의한 성장

    둔화

 ○ IHHNV, TSV 등의 외래바이러스 질병발생에 의해 흰다리새우 폐사 발생

 ○ 종묘의 건강도 저하(바이러스감염)로 폐사 증가

표 1.  2006년도 지역별 새우양식 최종현황(대하, 흰다리새우)

지역

양식장수

(개소)

양식면적

(ha)

입식량

(천마리)

생산량

(톤)

생존율

(%)

단위면적당

생산량

(톤/ha)

인천

40

115.8

26.240

109.8

20.9

0.9

경기

12

49.6

15,730

35

11.0

0.7

충남

66

347.7

117,990

366

15.5

1.0

전북

30

85.3

28,750

32.8

5.7

0.3

전남

176

566

258,750

1,260.8

24.4

2.2

경남

7

43.9

11,400

29.5

12.9

0.6

331

1,208.3

458,860

1,833.9

20.0

1.5

 


표 2.  2006년도 지역별 대하 양식 현황

지역

대  하

양식장수

(개)

양식면적

(ha)

입식량

(천마리)

생산량

(톤)

생존율

(%)

단위면적당

생산량

(톤/ha)

충남

33

171.3

38,920

156.1

20.0

0.9

경남

4

38.7

9,700

25.5

13.2

0.7

전북

17

47.8

13,650

16.2

5.9

0.3

전남

131

386

194,920

1,038.2

26.6

2.6

경기

4

22.3

9,500

-

0

-

인천

28

55.4

13.690

71.3

74

1.3

217

721.5

280,380

1,307.3

23.3

1.8


표 3.  2006년도 지역별 흰다리새우 양식 현황

지역

흰다리

양식장수

(개)

양식면적

(ha)

입식량

(천마리)

생산량

(톤)

생존율

(%)

단위면적당

생산량

(톤/ha)

충남

33

176.4

58,070

209.9

18.0

1.1

경남

3

5.2

1,700

4.0

11.8

0.7

전북

13

36.1

15,100

16.8

5.6

0.4

전남

45

180

63,830

222.6

17.4

1.2

경기

8

27.3

6,230

35

20.0

1.3

인천

12

60.4

12,550

39.5

16.0

0.6

114

485.4

157,480

527.8

16.7

1.0


Ⅱ. 양식준비작업

가. 호지

1. 호지바닥 준비 및 정비작업

수확이 끝난직후 호지의 중앙 및 주변에 모인 퇴적층은 필히 제거되어야 한다.

퇴적층의 제거방법은 아래의 2가지 방법이 있다.


1) 바닥을 건조 시킨후 건조된 퇴적층을 인력과 장비를 동원하여 완전하게 제거

2) 수확 후 50㎝정도 물을 채운후 바닥의 유기물 잔해 및 유독성물질을 울궈     낸 후 배수하거나 싸이폰방식으로 저면에 쌓인 찌거기를 제거하고 건조시킴


2. 건조

호지의 건조는 저질의 정상화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호지의 바닥에는 완전히 산화된 물질, 암모니아, 질산염, 황하수소 등 독성물질이 잔재 해 있다.

일광소독은 저질의 유독성 물질을 없애고 저질에 무익한 곰팡이, 박테리아 등을 없애는 역할을 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소독방법이며 건조기간은 화창한 날을 기준으로 3-4주가 적당하다.


3. 석회살포

수확을 마친 호지의 토질은 대부분이 유기물의 산화로 산성화 되어 있어 산성토질을 중화시키고 알카리도를 올리기 위하여 석회살포가 필수적이다.

석회살포전 토양 pH 측정기로 저질의 pH를 검사하며, 이때 호지당 최소 6개지점에서 저질pH를 검사하고 평균 pH를 산출하여 석회의 살포량을 결정해야 된다.


표1. 토양의 저질개선을 위한 석회 살포량

저질의 pH

석회살포양(㎏/ha)

소석회

석회석(일라이트)

6.5〜7.0

700

1,000

6.0〜6.5

1,125

1,500

5.5〜5.9

1,500

2,000

5.0〜5.4

1,870

2,500

5.0 이하

2,250

3,000

4. 기타

수차 및 펌프의 정비, 수질측정장비, 호지주변의 소독 및 차단벽 설치


나. 사육수 준비


1. 사육수는 일차적으로 저수지에 저장되어 소독과정을 거친후 호지내에 주수하게 되며 저수지는 사육호지 면적의 60%이상이 되어야 안정된 사육수 확보가 가능하다.



그림 1. 흰다리새우 양성호지의 기본 구조


2. 흰다리새우 양식에서 수질환경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최상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침전, 여과는 여러단계를 거친후 물만들기를 하는것이 효과적이며, 물만들기 과정에서 Biofilter(틸라피아, 밀크피쉬 등)를 이용하여 수질정화에 활용 되기도 한다.

좋은 물은 맑기와 색깔을 보았을때, 맑고 투명하며 색상은 엷은 초록색이 좋다.


3. 저수지의 침전 및 여과에 있어서 필터(screen) 설치는 물을 통해 침입 가능한 해적생물(어류, 게류, 각종 알 및 유생 등)과 바이러스 중간숙주를 차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수시로 확인 점검해야 하며, 상태가 좋지 않을시에는 즉시 교환해야 한다. 또한 육상으로 침입 가능한 게류, 수달, 뱀 등의 호지내 침입방지 및 비나 흙탕물의 유입 방지를 위하여 호지주위를 플라스틱등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울타리를 설치 하는 것이 좋다.


4. 호지의 준비과정이 마치면 물을 빨리 채워(100〜120cm) 이끼가 끼는 것을 억제한다

해적생물의 구제 및 소독을 마치고 물만들기 과정에 필요한 미생물을 배양하여 호지마다 매일 2ppm의 농도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미생물의 배양방법

 

   ○ 호지면적 : 12,000평

   ○ 담수 : 120ℓ

   ○ 당밀 : 4ℓ

   ○ 소금 : 0.8kg

   ○ 미생물 : 2.4ℓ

   ○ 산소공급

   ○ 배양시간 : 24시간

 



5. 물만들기가 잘 안될때는 유기비료를 자가에서 만들어 호지면적 1,500평 기준으로 20〜30kg 정도 공급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 유기비료 제조방법

        

       ○ 정제된 왕겨 : 100kg

       ○ 분말사료 : 20kg

       ○ 복합비료 : 10kg

       ○ 담수 : 적당량(혼합물이 젖을정도)

       ○ 미생물 : 2ℓ

       ○ 발효방법 : 상기의 재료를 고르게 혼합후 비닐 등으로 덮어 보            온하여 3일동안 매6시간마다 다시 혼합하고 굳어지면 물을 보충            하여 습기가 있게 유지한다.

 



6. Pro-Biotic 의 사용 및 수질검사

미생물제재의 사용목적은 수질의 개선과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무익한 박테리아(주로 비브리오)를 감소시키는데 있으며, 종묘입식 2일전 1ppm의 농도로 호지에 살포 한다.

본양성이전의 수질검사는 종묘입식 15일전에 해야하며 수질의 조성내용 즉, 염도, pH, 암모니아, 질산염, 인산염, 수온, 플랑크톤의 조성상태, 탁도, 비브리오균 등을 알고자 함이다.

이시기에는 플랑크톤의 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하여 종묘입식 초기단계의 물의 탁도는 50〜180cm가 되어야 한다.


다. 종묘입식


호지에 입식되는 종묘는 반드시 건강한 SPF(specific pathogen free)종묘 이어야 성장률이 좋고, 생존율을 높일 수있다. 종묘입식시에는 밀도를 정확히 계산하여야 하며 종묘장으로부터의 운송거리 및 시간,  그날의 일기도 고려해야 한다. 방양밀도는 양식 초기단계부터 수확시까지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양적인면과 질적인면을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되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초기폐사를 고려하여 100〜150마리/평당 정도의 밀도로 입식하고 있으나, 집중출하시기를 고려한 경제적인 밀도는 80〜100마리/평당 가 적당할것으로 보인다.

종묘입식시 종묘장에서 운송해온 종묘는 포장된 상태에서 최소한 2시간정도는 호지내의 수질환경에 적응시킨후 방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방법은 방양된 종묘의 상태를 확인 할 수없어 생존율을 추정하기가 곤란하므로 정확한 사료의 공급량 결정과 적정한 FCR의 유지가 곤란하여 수질악화로 이어져 경제적손실로 이어질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양식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보다 과학적인 생존율의 확인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1. Net Cage Test를 이용한 생존율 추정

종묘입식시 Net Cage(1.2×1.2×1.5m)를 수차앞에 설치하여 방양밀도에 준하여 10/1, 100/1의 종묘를 정확하게 계수하여 수용하고 일주일 경과후 Net Cage을 끌어올려 생존개체수를 확인한다. 생존율의 계산은 호지에 방양된 양에 비례하여 계산한다.  Net Cage Test의 목적은 생존율의 계산과 이를 토대로한 사료의 투여가 적정한 FCR을 유지하도록하여 사료가 정확한 소요량에 의해 투여되도록 하는데 있다.

Net Cage Test에 의한 생존율 추정은 절대적 기준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호지내의 생존율 추정 자료로 활용한다.




그림. Net Cage의 구조 및 설치 위치


2. 중간육성(Nursery Culture Test)

우리나라의 경우 종묘장에서 판매되는 종묘는 PL10〜PL20기 전후이며, 100만미 기준으로 800〜3,000g의 범위내에서 분양되고 있으며 크기와 중량은 배양장의 종묘사육 특성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며, 배양장에서는 안정된 사육환경내에서 고밀도로 사육되었고 판매과정 및 수송과정중에 스트레스요인이 작용하여 생물의 건강도가 좋지 못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지에 바로 입식할 경우, 초기감모가 우려되지만 방양후에는 확인할 방법이 없어 생존율 추정이 곤란하다. 따라서 중간육성의 중요성은 치하의 정확한 생존율 파악은 물론 7〜10일정도 더성장시켜 활력이 좋은 종묘를 입식하는데 있다. 중간육성의 수조는 콘크리트수조나 FRP수조 10톤 용량에 500,000마리가 적당하며, 중간육성수조는 종묘입식시간을 최소화 하기위해 입식호지 가까이에 설치 하는 것이 좋다. 사육수는 입식될 호지의 물을 이용하여 사육하며 입식시에는 정확하게 계수하여 입식밀도 및 생존율을 구한다.


Ⅲ. 양식관리


흰다리새우 양식 관리는 종묘의 입식부터 출하까지의 기간을 말하며, 이기간 동안에는 사육호지를 하나의 생태계(Ecosystem)로 보고 새우의 건강상태, 수질환경의 변화, 플랑크톤의 변화, 합리적인 사료의 공급 등을 통해 생태계를 유지 관리 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과학적인 데이터자료를 근거로하여 보다 세밀하고 진지한 양식관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묘의 입식부터 어떻게 하면 생존율을 최대로 유지시키고 사료공급을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조절해야하는지, 좋은크기, 수확량, 수확시기 등의 효율적이며, 과학적인 양식경영의 자세가 필요하다.


가. 사료공급


흰다리새우 양식에 있어 성장이 좋으려면 질좋은 사료를 충분히 공급해야 하며, 사료의 수급조절을 정확히 확인하여 관리 조절해야한다.

먹이 섭이량 조절은 Feeding Tray(먹이망)을 이용하며, 새우의 크기가 작을때(입식〜30일)때는 사료조절이 곤란하므로 이시기에는 아래의 표(표준사료공급량)를 참고하여 공급하면 효과적인 사료관리가 용이하다. 새우의 크기가 어릴때는 사료의 입자가 작은 분말사료를 주게되므로 그냥주게 되면 바람에 날리므로 물에 섞어서 공급하면 사료효율이 좋아지며 새우의 성장도 고르게 된다

표 초기단계의 표준사료 공급기준(일령 30일까지, 100,000마리 기준)

새우일령

(일)

사료공급량

(㎏)

새우일령

(일)

사료공급량

(㎏)

새우일령

(일)

사료공급량

(㎏)

1

1.0

11

3.2

21

7.4

2

1.2

12

3.6

22

8.0

3

1.4

13

4.0

23

8.6

4

1.6

14

4.4

24

9.2

5

1.8

15

4.8

25

9.8

6

2.0

16

5.2

26

10.4

7

2.2

17

5.6

27

11.0

8

2.4

18

6.0

28

11.6

9

2.6

19

6.4

29

12.2

10

2.8

20

6.8

30

12.8

총사료공급량

170㎏


1. 표준 사료소모량(Feeding Rate)

실질적인 사료의 공급량은 새우의 성장과 조절 가능한 미섭이량의 결과이며 이것은 사료소요량을 계산하는 기준이 되므로 아래의 표준사료 소모비율 표를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표 . 흰다리새우의 크기에 따른 표준사료 소모비율(Feeding Rate)

평균체중(g)

섭이율(%)

평균체중(g)

섭이율(%)

2.0

8.0

11.0

2.90

3.0

6.5

12.0

2.7

4.0

7.4

13.0

17.0

5.1

4.44

14.0

2.4

6.0

4.05

15.0

2.25

7.0

3.85

16.0

2.2

8.0

3.65

17.0

2.15

9.0

3.3

18.0

2.1

10.0

3.1

19.0

2.05

10.6

2.98

19.8

2.01



2. 사료공급 방법

호지내의 새우는 전지역에 골고루 흩어져 있으므로 사료공급도 전지역에 골고루 뿌려 주어야 한다. 그러나 호지의 중앙 퇴적층이 많이 쌓이는 지역(Dead Zone)은 새우가 없으므로 사료를 주지 않는 것이 사료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질관리에 유리하다.



그림. 흰다리사육 호지내에서의 사료공급지역


3. 사료공급 시간

새우는 장의 형태가 직장이어서 계속 섭식을 하며 배설을 하는 생물이기 때문에 먹이를 먹기 시작하여 소화까지 2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따라서 하루의 사료공급량은 효율적인 FCR 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수회에 걸쳐 공급해야 한다. 일간 사료공급횟수 및 배분비율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새우일령별 사료공급 회수 및 시간대별 투입비율

사육경과일수

(일)

회수

(회)

먹이공급시간 및 공급비율

1〜7

3

 07:00=33.3%, 15:00=33.3%, 22:00=33.3%

8〜30

4

 06:00=25%, 11:00=28%, 19:00=27%, 23:00=20%

31〜60

5

 06:00=20%, 10:00=22%, 15:00=23%, 19:00=20%,   23:00= 15%

61〜수확

5

 06:00=20%, 10:00=22%, 15:00=23%, 19:00=20%,   23:00= 15%

 

4. 사료 공급량의 조절관리

공급된 사료의 완전 소모 또는 잔여량의 파악은 명확한 사료공급량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며, 사료 섭이의 관찰은 먹이망(Feeding Tray)을 활용하며 양식호지면적 0.5ha 기준으로 호지 제방주변에 4개를 설치한다.



그림. Feeding Tray(먹이망)의 구조


새우의 평균체중에 따라 먹이망에 공급되는 사료의 양 및 사료공급후 확인시간이 달라지며 새우가 클수록 먹이망의 사료 점검시간이 짧아진다.

새우의 사육일령 및 평균체중에 따라 먹이망에 공급되는 기준사료량 및 점검시간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흰다리새우 크기에 따른 먹이망(Feeding Tray)의 사료공급비율 및 시간

사육일령

(일)

평균체중

(g)

먹이망의 사료공급비율

(%)

확인시간

(hr)

30〜50

3.0〜6.4

0.4

3

51〜55

6.5〜7.2

0.5

2.5

56〜70

7.3〜9.8

0.6

2

71〜80

9.9〜11.5

0.7

2

81〜100

11.6〜14.9

0.8

1.5

101〜105

15.0〜15.8

0.9

1.5

106〜130

15.9〜20.0

1.0

1


5. 사료공급 조절

사료공급량의 증가 및 감소는 Feeding Tray(먹이망) 점검결과를 토대로 0.5ha(1,500평)기준 으로 4개소 점검결과에 따른 조절은 다음과 같다.

     ✲ 먹이망의 관찰결과에 따른 사료공급량의 조절방법

       ○ 4개소 모두 비었을때 : 사료투입량 증가

       ○ 3개소는 비었으나 1개소의 사료가 남았을때 : 10% 감소

       ○ 2개소는 비었으나 2개소의 사료가 남았을때 : 10-15% 감소

       ○ 3개소는 남아 있고 1개소만 비었을때 : 20-30% 감소

       ○ 4개소 모두 남았을때 : 50% 감소, 1회 절식시킴


일반적으로 4개소의 먹이망이 다 비었을때는 새우의 섭식량이 충분하여 일간 성장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며 사료공급량의 증가는 하루씩 증가시키며, 감소는 그때그때 즉시 감소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이유는 과도한 사료공급(Over Feeding)을 제한하기 위함이며, 과잉공급시 사료잔량은 수질환경을 악화 시키게 된다.


6. 수질관리 조절

수 온(℃)

염도(ppt)

15

20

25

30

25

7.57

7.36

7.15

6.95

26

7.44

7.23

7.03

6.83

27

7.31

7.10

6.91

6.72

28

7.18

6.98

6.79

6.61

29

7.06

6.87

6.68

6.50

30

6.94

6.75

6.57

6.39

31

6.83

6.64

6.47

6.29

32

6.72

6.54

6.36

6.19

표. 양식기간중 염도 및 수온에 따른 용존산소(DO) 기준



표. 새우의 일령별  수질관리 기준

구   분

1-30일

31-60일

61-90일

90일-수확

pH(아침, 오후)

8.0-8.5

7.8-8.3

7.5-8.0

7.5-8.0

DO(ppm)

4이상

4이상

4이상

4이상

수온(℃)

22-32

27-32

27-32

27-32

알카리도(ppm)

80-100

100-120

120-150

120-150

탁도(cm)

40-50

25-40

20-30

20

인산염(ppm)

0.25-0.5

0.25-0.5

0.25-0.5

0.25-0.5

수색

엷은초록, 엷은고동색

갈색, 초록

갈색, 초록

갈색, 초록



7. 새우의 건강상태 점검


○ 일일점검

 - 새우의 건강상태 점검은 반드시 아침, 점심, 오후, 저녁, 밤에 그때그때 상

황을 관찰하고 기록 해야 하며 새우의 관찰은 새우가 호지의 주변에서 부착하여 움직이지 않고 있는가, 수면에서 부유하고 있는가, 새우들이 모여 있는가?, 낯선 행동을 하고 있는가?, 죽은 새우가 있는가?, 인위적인 충격을 가했을때 반응상태는 어떠한가? 등의 관찰을 목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 만약 새우가 낯선 행동을 하고 있거나 죽은새우가 발견 되었을때는 즉시 육안검사 및 정밀검사를 하여 원인을 분석해야 하며 호지의 바닥, 중앙부분, 수차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정밀 관찰을 한다. 이후 폐사의 진행정도를 파악하고 죽은새우의 양과 무게를 조사 한다.

- 만약 죽은새우의 폐사 원인이 바이러스질병으로 판단되면 일령이 30일 이하일 경우 호지소독처리후 살처분을 하고 이웃의 양식장에 알려 감염예방을 방지한다. 또한 죽은새우가 40일이상이라면(4-5g이상) 긴급 조기수확을 해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정기적인 먹이망(Feeding Tray)의 점검

- 정기적인 먹이망의 관찰은 계획대로 반드시 시행되 어야하며 먹이망에 사료가 비었는지 잔량은 공급량에 비하여 얼마나 남았는지, 새우의 다리, 안테나, 장의 색깔 등을 포함한 건강상태, 새우의 색상, 행동형태, 새우 배설물의 많고적음, 배설물의 길이, 배설물의 상태 까지를 포함하여 세심하게 관찰 해야 한다.


○ 성장도 조사 및 샘플링한 새우상태

- 주간성장도(Weekly Growth)조사는 투망으로 새우를 포확하여 평균 체중을 알고자 함이며 1주일에 1회를 기본으로하며 일령 40일부터~수확시까지 진행한다. 샘플링 결과는 주간성장 및 일간성장상태를 확인 할수 있고, 새우의 성장상태(정상, 비정상, 속성장), 점검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생존율에 맞게 적절한 사료공급이 되고있는지를 명확하게 분석될수 있다.

- 샘플링한 새우의 상태는 투망후 새우의 상태별로 나누어 육안검사로 건강상태를 확인 한다. 샘플링은 현재 문제가 있는 새우의 상태를 보다 쉽게 알기 위하여 기술적 필요에 맞게 할 수 있다.


 

   ✲ 샘플링 조사방법(예시 : 먹이섭이가 불량한 새우의 검사)

     ○ 투망후 살아있는상태에서 3종류로 구분 한다

건강한 새우

(장이 가득차 있음)

건강하지 못한 새우

장이 비어있음

아가미 상태가

이상이 있는 새우

80마리

50마리

20마리

53.3%

33.3%

13.3%

 

     ○ 위와 같은 결과가 있다면, 46%의 새우가 이상이 있으므로 반드시          새우가 건강해질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 모든 수질환경상태를 점검하고 정상적인 사육환경으로 조절해야           하며 먹이의 수급조절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 문제가 의심되는 새우는 즉시 샘플링을 하여 정밀진단을 의뢰하여          피해를 최소화 한다.

 


Ⅳ. 수확

수확시기의 적절한 결정은 새우상태, 성장, 판매가격, 경비문제, 안전문제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질병발생시 치유가 어렵거나, 안전상의 문제 등의 위기상황 발생시 더욱 중요하다.

수확시 손해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1. 예상 수확량 및 성장상태 등의 정확한 샘플링의 산정

2. 새우의 대량탈피시기인 보름전후는 수확을 피한다.

3. 투망의 위치선정 잘못으로 인한 잘못된 샘플링 결과를 피하기 위하여 관리자는 호지의 어느위치에 큰사이즈의 새우가 몰려있는지 미리 파악 해두어야 한다.

4. 저울은 사전에 영점조정 등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저울은 새것으로 구입하고 특히, 수확용 저울은 전자식 저울을 사용한다.

5. 양식관리자는 수확의 경과 및 결과를 세밀하고 정확하게 기록해야 하며 특히, 계근시 새우가 건조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

6. 그물망에 동시에 새우가 들게 되어 오랜시간 방치하게 되면 페사가 발생되므로 출하가 많을때는 인력을 충분히 동원하여 신속하게 출하를 조절한다.

출처 : dunia365
글쓴이 : dunia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