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스크랩] 피라루크- 세계 최대 민물고기

그린테트라 2010. 7. 24. 10:19

오스테오글로시목 오스테오글로시과 물고기. 세계 최대 담수어로, 1속 1종이다. 브라질에서는 피라루크, 기아나에서는 아라파이마라고 하는데, 모두 <붉은 물고기>란 뜻이다. 전체길이 4.5m, 몸무게 200㎏이라는 기록이 있지만 현재 일반적으로 어획되는 것은 1.25m, 40㎏ 정도의 것이 많다. 머리는 가로로 넓적하고 입은 크다.

 

몸통은 원통모양이며 뒷부분은 세로로 넓적하고 비늘에는 선명하고 붉은 얼룩무늬가 있다. 부레는 크고 길며 폐포모양의 구조를 하고 있고 이것을 이용해 공기호흡을 한다. 물밑에 지름 50㎝ 정도의 쟁반모양 산란상(産卵床)을 만들어 수십개의 대형 알을 낳고 어미가 알을 보호한다. 산지에서는 가장 중요한 식용어로써, 주로 염장하여 출하하는데 최근 남획으로 자원량이 감소됨과 동시에 몸이 소형화되고 있다. 종의 보호를 위해 워싱턴조약 부속서 Ⅱ에 의해 국제거래가 규제되고 있다.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오리노코강 유역과 기아나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는 피라루크 연구소가 별도 설립되어 있는 상태로 번식과 양식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남미아마존의 피라루크는

붉은 고기란 뜻이며, 붉은 꼬리가 상당히 매력적인 녀석이다.

몸길이만도 7M나 되고 무게는 200kg짜리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산지의 아마존강에서 잡히는 것은 큰 것이 길이 2.5M, 체중100kg정도여서 7M라는 것은 어쩌면 환상속의 물고기 인지도 모른다.

피라루크는 담수어의 왕자라는 별명에 걸맞게 성질이 급하며 치어때는 물위로 뛰어오르는 버릇이 있습니다. 수면 위로 머리를 내어 공기 호흡도 하며 산란은 모래에 직경 50cm, 깊이 20cm의 구멍을 파서 18만개 전후의 알을 낳습니다. 치어 때는 어미고기의 주변에 모여서 유영을 합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엄청난 대형어임에는 틀림없고 현지인들은 식용으로 귀중하게 다루고 있다고 한다. 입은 크고 아래턱이 조금 튀어나와있으며 몸 빛깔은 머리쪽이 약간 녹색을 띤 것 외에는 꼬리쪽으로 나감에 따라 점점 적색을 띠어가고, 꼬리지느러미는 깨끗해 보이는 진홍색으로 보기에 아름답다.

일반적으로 담수물고기는 해수어에 비해 몸집이 작은데 아로와나의 무리인 피라루크는 담수어 가운데 세계최대로 알려져 있다.

피라루크(pirarucu)라는 이름은 현지인들이 부르는 이름으로 “피라”는 물고기, “아루크”는 새빨간 열매를 맺는 식물이름에서 따와 합성한 것 이라한다.

피라루크의 산란기는 1 ~ 5월이지만 4 ~ 5월이 최성기로 많은 번식을 한다. 번식기의 피라루크는 암컷은 암갈색이 되고 수컷은 머리가 검어지면서 꼬리는 불타는 듯한 빨강색으로 바뀐다. 이때 현지는 우기에 해당하는데 아마존강의 강물이 넘쳐 냇가의 낮은 곳은 온통 바다처럼 물을 덮어쓰게 된다. 그러면 피라루크는 얕은 곳으로 옮겨가 입이나 턱, 또는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바닦에 구멍을 판다. 구멍크기는 직경50cm 깊이 20cm정도 인데 한 마리의 암컷은 이 구멍에 18만개 정도의 알을 여러번에 걸쳐 낳는다. 알의 크기는 직경이 보통 4mm이고 5일이면 부화 한다. 치어들은 검은색을 띠는데 몸길이는 1cm나 된다. 치어들은 태어난 곳 부근에 있는 아비의 머리위에서 헤엄치고 노는데 놀리기라도 하면  아비의 머리위에 일제히 모여든다. 이때 어미고기는 조금 떨어진 곳을 헤엄치면서 가까이 오는 적을 내쫓는다.

공기호흡

피라루크의 특징 중 하나는 공기를 직접 빨아들여 호흡을 보조하는 것이라 한다.

보통은 물이 얕은 곳을 천천히 헤엄치는데 가끔은 머리를 내밀어 공기를 빨아들여 부레에 공기를 모은다. 피라루크의 부레는 목뒤에 붙어 있는데 폐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부레의 내부는 폐처럼 해면조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혈액을 응고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소판이 피라루크의 경우 사람의 그것처럼 크다는 것과 관계가 있는 것 같다.

실제로 피라루크의 혈액은 공기와 접촉하면 응고된다. 이것은 동물이 진화 하면서 물에서 나와 육상생활을 하는 것으로서 피라루크가 그 모델이 되고 있는 것 같다. 같은 경우로 조상이 양서류로 추정되는 폐어도 공기호흡을 할수 있으므로 흥미롭다.

대륙이동설

아로와나의 무리는 오스테오그로섬과에 속하는데 모두가 담수어 이다.

남아메리카산의 아로와나와 피라루크 외에도 아프리카의 나일강, 콩고, 세네갈, 잠비아 등에서 볼수 있는 헤테로티스와 동인도, 보르네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나는 스쿠레로파게스의 2종류도 오스테오르로섬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분포는 역시 원시적인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폐어류와 같으며 이와 같이 원시적인 형태를 하고 있는 무리가 남반구의 열대지방의 동서방향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는 것은 남반구의 대륙이 같은 대륙으로 이어져 있다가 그후 지각변동으로 지금처럼 여러 덩어리로 분리되었다는 학설, 즉 대륙이동설을 나오게 한 증거로 내세워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무리가 북아메리카나 유럽의 비교적 새로운 지층에서도 나오고 있으므로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던 것이 어떤 이유로 열대지방에서만 한정되게 되었다고 추정된다.

출처 : 로드넷
글쓴이 : 비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