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합성 접착제가 판을 치지만 예전에는 자연의 재료를 이용하여 집짓기나 생활용품을 만들때 천연 접착제를 사용했지요. 다음의 펌정보를 활용하여 회원분들도 가능하면 직접 친환경 접착제를 만들어 보급하는 전도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번역: 콩으로 만든 접착제는 주택건축이나 가구제작시 사용되는 목재에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감소시킬수 있다.
콩을 쪄 찧으면 단백질성분의 진이 나오는데 이것을 사용하면 쇠를 붙인것같이 절대 안떨어 집니다.
이하 펌글:
중국에서는 BC 4000년, 이집트에서는 BC 3000년 무렵부터 옻·아교·우유응고물 등을 접착제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강력한 접착제가 발달하기 전까지는 쌀이나 밀기울의 풀·옻·송진·석회·녹말풀 등이 도구나 직물등의 접착에 이용되었다.
석기시대 고대인은 흑류석 등으로 창, 칼 등을 만들어 나무나 대나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아스팔트를 사용했다.
- 고대의 접착제는 고대에서부터 그릇, 활 등의 제조에 정교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3300년전 티벳의 조각 얇은 무화과판이라고 생각되어지는 판에 작은 조각이 접착되어 있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 크레타섬 소노소스 궁전벽에 칠하기 위해서 쵸크, 철황토, 동청프리트 안료에 BINDER로 이용되었다.
- 이집트인 아카시아 나무에서 채취한 아라비아 고무, 계란, 풀, 반액상의 발삼, 수목에서 채취된 수지 등을 사용하였다. 목재관은 쵸크와 풀의 혼합물로서 조각회화용 석고로 장식되었다.
- 창세기 피튜맨이 바벨탑건축용으로 우소한 몰타르라고 씌여져 있다. 이것을 만든 사람이 최초의 접착 기술자이다. 피튜맨 수목은 지중해 사람들이 생활에 사용할 용기를 위한 실링제이다. 이 시대에도 접착제는 현재와 같이 피착재별로 특유의 것이 아니면 안되었다. -
로마인은 배를 송진이나 밀랍으로 만들었다.
PLINY는 금박을 달걀 흰자로 종이에 접착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또 고대 중국인과 같이 기생목의 수액에서 만들어진 접착제로 끈끈이를 만들었다.
- 9세기 물고기, 치즈에서 만들어진 접착제는 Theophilus의 시대에 목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카제인 접착제 말랑말랑한 치즈를 가늘게 잘라서 작은 유발층에 넣어 온수를 가해서 유봉으로 혼합한다. 때론 물을 가해서 넘치는 물이 깨끗하게 될 때까지 계속 혼합한다. 다음에 이 치즈를 손으로 반죽해서 냉수 중에 담근다.
그후 평활한 나무테이블 위에 놓고 다른 나무를 사용해서 조심스럽게 으깨어 석회를 용해한 물을 알맞은 농도가 되도록 가한다. 제단의 타블렛은 이 접착제로 붙이면 건조한 후에 잘 접착해서 열이나 기온 변화시 떨어지지 않는다.
- 현재의 접착제 100년전 고무와 화약이 만들어 졌다는 것 외에는 접착제 공업은 20세기가 되기까지 진전되지 않았다. 최근 수년간 천연계 접착제는 개량되어 합성접착제가 여러 연구실에서 집중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 접착제의 향후 개발전망 접착제는 그 자체가 최종 사용하기 위한 제품이라기 보다는 주로 최종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보조재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접착제도 최종 제품의 변화 요구에 자연스럽게 개량, 개발되어 왔다.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제품 및 제조방법, 자동화에 의한 제조 단가의 저하, 경량화, 고기능화 소재 개발 및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도 무용제형의 개발, 고기능성 접착제의 개발 등 만능 접착형 접착제로부터 특정기능 부여의 다품종 소량생산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접착제의 요건 물체를 접착시키려면 접착제를 물체에 도포하고 서로 붙인 후에 접착제가 고화(固化)되어야 한다. 따라서 접착제는 처음에는 액상이다가 나중에 고화되는 경우 떨어지지 않고, 또한 접착제 자체가 파괴되지 않는 고분자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 물에 녹인 녹말풀, 가솔린에 녹인 고무풀, 시너에 녹인 폴리아세트산비닐계(系) 등과 같이 고분자를 용액으로 사용하는 접착제 - 시아노아크릴레이트·비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이 처음에는 저분자의 액상이던 것이 붙은 다음에 중합반응으로 고분자가 되는 접착제 - 고분자의 고체를 가열하여 용융시켜 붙이는 접착제(핫멜트법)가 있다.
바인더:코르크의 분말로 큰 성형물을 만드는 경우, 섬유를 모아 부직포(不織布)를 만드는 경우에 사용된다.
- 화학구조에 의한 분류 1) 천연물계 접착제 : ① 녹말풀, ② 혈단백질·핏가루[血粉] 및 소·돼지의 혈청을 포르말린처리한 것, ③ 우유·콩의 단백질, ④ 아교, 소·돼지 등의 가죽·뼈의 수용물(水溶物), ⑤ 해초로부터 추출한 알긴산나트륨, ⑥ 석유로부터 제조되는 아스팔트, ⑦ 송진·아라비아고무·옻 등의 천연수
|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집짓기~~ (0) | 2010.05.11 |
---|---|
[스크랩] 무난방으로 겨울 나는 방 (0) | 2010.04.18 |
[스크랩] 17평형 스트로베일 온실 하우스 (0) | 2010.04.12 |
[스크랩] 17평형 스트로베일 온실 하우스 (0) | 2010.01.05 |
[스크랩] 아파트와 텃밭, 온실이 합쳐진 `애그로 하우스` (0) | 201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