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의 국내 땅콩의 소비형태는 간식용 볶음땅콩으로 대부분 이용되고 일부는 제과및 제빵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소비형태가 단순하였다. 최근에는 수입땅콩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산 땅콩의 수요를 잠식할 뿐 만 아니라 아몬드 등 외국산 견과류의 수입량 증가로 인하여 땅콩 전체 수요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관행의 땅콩재배는 4월중순 파종하여 9월하순에서 10월 상순경에 수확하기 때문에 경지이용율 저하로 인하여 농민들이 땅콩재배를 회 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새로운 용도개발의 일환으로 풋땅콩용 품종선발 및 수확적기 등을 구명하므로서 풋땅콩 수요확대 및 재배기간 단축에 의한 경 지이용율 향상으로 인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1. 품종선발
풋땅콩용 품종은 협의 병반이 적고 협색이 깨끗하며 크기, 균일도 및 식미가 우수하여야 한다. 풋땅콩용 품종으로 선발한 새들땅콩의 풋땅콩 수량은 807㎏ /10a로 대비품종인 사도노가(일본에서 풋땅콩 전용품종) 806㎏/10a과 비슷 하 였으며, 풋땅콩의 외관품질을 좌우하는 협병반(0 : 무, 9 : 심) 은 새들땅콩( 1)이 대비품종(7)보다 낮아 상품성이 우수하였고 풋땅콩 수량과 관련있는 상 협수 비율도 87%로 대비품종보다도 약 6%정도 높았다.
<표1> 풋땅콩 수량 및 협특성('95∼'97)
(조사시기 : 개화기후 71일)
품 종 명 | 수 량 | 협 병 반 | 협 색 | 외관특성 * | 식 미 ** | 상협수 비 율 |
|
㎏/10a | 0 - 9 |
|
|
|
% |
새들땅콩 | 807 | 1 | 흰살색 | 상 | 0.4 | 87 |
유데라카 | 726 | 3 | 연황색 | 상 | 0.2 | 80 |
사도노가 | 806 | 7 | 연황색 | 하 | 0.1 | 81 |
*외관특성 : 협의병반, 색깔, 크기, 균일도, 그물무늬, 끝우그러짐 등의 평균
**식 미 : 외관, 질감, 단맛, 풍미 등의 평균(+2(아주좋음)∼-2(아주나쁨)
2. 수확시기별 주요특성 및 수량성
풋땅콩 수확시기에 있어 개화기후 71일(파종후 약 130일)은 수량의 증가 추 세가 완만해지는 시기로서 이때의 상협수 비율은 83%로 가장 높았으며 식미검정 도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2> 새들땅콩의 수확시기별 수량 및 주요특성('97 호시)
개화기후일수
구 분 |
57일 | 64일 | 71일 | 78일 | 85일 |
수 량(㎏/10a) | 344 | 618 | 750 | 769 | 809 |
상협수비율(%) | 41 | 71 | 83 | 83 | 76 |
식 미 * | - | - | 0.5 | 0.4 | 0.4 |
*식미 : 외관, 질감, 단맛, 풍미 등의 평균(+2(아주좋음)∼-2(아주나쁨))
3. 파종기에 따른 수량성
풋땅콩 공급 확대를 위한 적정 파종시기는 4월상순∼6월중순이었고 수량성은 870∼712㎏/10a였다. 또한 풋땅콩은 재배기간이 짧아 풋땅콩 수확후 새로운 작 물을 재배할수있으며 후작으로 마늘, 양파 재배시는 4월상순∼중순, 보리, 유채 재배시는 6월중순, 마늘 후작으로 풋땅콩 재배시는 5월중순에 파종하는 것이 좋 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3> 남부지역 풋땅콩 공급확대 및 윤작체계 확립을 위한 적정파종시기 ('97∼'98, 호시)
파종기(월.일) 구 분 | 4. 4 | 4. 20 | 5. 20 | 6. 20 | 7. 20 |
수 량(㎏/10a) |
855 | 870 | 822 | 712 | 409 |
협 장(㎜) |
33.9 | 34.3 | 31.3 | 33.0 | 31.1 |
협 수(개/주) |
38 | 38 | 42 | 37 | 22 |
추천 윤작체계 | 풋땅콩+ 마늘,양파 | 풋땅콩+ 마늘,양파 | 마늘+ 풋땅콩 | 보리(유채)+ 풋땅콩 | - |
4. 적정재식밀도
풋땅콩 수량향상을 위한 적정재식밀도는 조간40cm, 주간20㎝이며, 수량성은 관행재배(40×25㎝)의 933㎏/10a에 비하여 12% 증수 하였다.
<표4> 풋땅콩 수량향상을 위한 적정 재식거리
재식거리 | 수 량 | 지 수 | 협 수 | 협 장 | 협병반 | 100립중 |
㎝ | ㎏/10a |
|
개/주 | ㎜ | 0 - 9 | g |
40×25 | 933 | 100 | 42 | 35.0±2.4 | 1 | 95 |
40×20 | 1,043 | 112 | 37 | 35.6±2.4 | 1 | 95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풋땅콩용은 새들땅콩, 수확시기는 개화기후 70일경, 파종기는 작부유형에 따라 4월상순∼6월중순이었으며 재식밀도는 관 행(40×25㎝)에 비하여 다소 밀식한 40×20㎝가 수량성 향상 그리고 새로운 작부체계 도입에 의한 경지이용율 향상으로 농가소득향상 및 땅콩의 재배면적 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1. 생육특성 및수량성 사진
사진 2. 품종별 협병반 정도
<참고문헌>
- 관동, 동해농업시험연구 성적. 계획개요집(1993)
- "ゅでうツカ", "あれこれ"(1989, 천엽현농업시험장 낙화생연구실 보고서) : 15∼20.
- "鄕の香" 육성경과와 특성(천엽현농업시험장) : 19∼34
'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특별한 맛이나는 콩 심을 터를 찾습니다 2만평이상 농지 (0) | 2012.07.10 |
---|---|
[스크랩] 블랙커런트와 레드커런트 (0) | 2012.05.10 |
[스크랩] 하얀민들레 모종들이 무럭무럭 (0) | 2012.04.15 |
[스크랩] 수경재배(박막수경)의 시설 모습 (0) | 2012.04.12 |
[스크랩] 아름다운 핑크 네모네이드 귀농인에 귀중한정보 (0) | 2012.04.12 |